본문 바로가기

성경과 신학 1217

조직신학의 이론과 적용 조직신학의 이론과 적용 조직신학을 하면서 신학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특히 칼 바르트의 글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중요한 부분을 짚고 가겠다. 신학을 할려고 할때에는 이것을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서론적 고찰이 필요하다. 특별히 서양학문의 전통인데 어떤 학문을 하든지 어떤 일을 하든지간에 그 일을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성찰이 대단히 서양에서 발전해 왔다. 동양은 방법론적인 성찰이 부족하다. 결국 신학이 하나님의 역사인데 삼위일체신앙이라면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을 보고 성부- 창조, 성자- 구속 성령- 성화를 다루어야 한다. 바로 시작할수 있지만 서양학문전통은 바로 들어가지 않고 과연 어떻게 해야하는지, 성찰하는 방법론적인 성찰이 대부분 해왔다. 신학도 신학을 시작하기전에 신학의 과제가 무엇이.. 2021. 1. 14.
초대교회의 성경해석연구 초대교회의 성경해석연구- 오우성 교수 초대교회의 시기 문제 premitive chruch 라고 쓰기도 한다. 원시적인 교회라고 한다. 현재 이 교회의 시기를 정확하게 정한 학자들은 없고 대충 교회가 제도를 갖추기 이전의 형태를 초대교회라 한다. 하나의 제도가 되기위해서는 세가지 구성요소가 있어야 한다. 먼저 성직계급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경전이 있어야 한다. 셋째는 공동체를 결속해 가는 의식, 예식, 신조 등이 공동체 결속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사도신경, 주기도 세례식, 성만찬 등의 의식이 있다. 이런 요소들이 온전하게 갖추어지기 이전의 공동체를 premitive chruch 라 한다. 신약성서중에 성직 계급을 규정하기위한 문서가 디모데 전후서, 디도서이다. 그렇다면 이것들의 기록시기가 언제.. 2021. 1. 14.
초대교회의 성서해석 요약 초대교회의 성서해석 요약 성서을 읽다보면 어려운 부분들이 많이 생긴다. 시대와 읽는 대상이 바뀐 상태에서 그것을 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읽는 독자가 바뀔때마다 성서는 재해석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져 왔다. 이렇게 재해석되는 이유는 성서의 문구가 기록당시의 상황과 정황에 맞게 쓰여졌기 때문이다. 지금 시대의 언어와는 많은 차이가 있는 바 재해석해서 쉽게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성서해석을 하는 것이다. 오늘은 성서해석에 있어서 초대교회는 과연 성서를 어떻게 해석했는지 한번 살펴보고자 한다. 1.예수의 성서해석 기독교 성서해석은 예수와 함께 시작한다. 예수의 메시지의 대부분이 구약신학을 토대로 구성되었음을 보면 알수 있다. 정통 유대교도 성서의 모든 말씀의 한마디 한마디를 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생각하고 있다... 2021. 1. 14.
히브리 식물 및 문화 이스라엘의 동지와 하지에 피는 꽃 투베아브 - 하지, 투베슈밧 - 동지 이스라엘의 일 년 주기를 나누는 두 가지 절기가 있는데, 이는 ‘투베아브’와 ‘투베슈밧’이다. ‘투’라는 것은 15를 의미하는데, 이는 각각 아브 월 15일과 슈밧 월 15일을 의미한다. 아브 월과 슈밧 월은 유대 달력의 이름인데, 아브 월은 8월경에 슈밧 월은 2월경에 각각 해당한다. 두 개의 절기는 한국의 하지와 동지에 해당하는데, ‘동지’를 지나면서 해가 점점 짧아지는 것처럼, 이스라엘에서는 ‘투베아브’를 지나면서 해가 점점 짧아지고 ‘투베슈밧’을 지나면서 해가 점점 길어진다. 투베슈밧과 이스라엘 들판의 변화 투베슈밧을 지나면서 이스라엘은 낮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여름이 가까워짐을 느낀다. 또한 들판의 꽃들은 붉은 꽃들이 만발한.. 2021.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