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신학 1217 종교 개혁자 마틴루터 유적지 ♣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여름에 갔었던 종교개혁지 중 대표주자인 "마틴루터"의 발자취를 떠올리며 마틴 루터의 유적지를 올려 드립니다. 독일에는 ‘루터의 도시’가 둘 있다. 그가 나고 죽은 아이슬레벤과 종교개혁의 기치를 올린 비텐베르크다. 비텐베르크에는 파문당한 루터가 아내와 함께 살았던 루터 하우스가 있다. 나는 안으로 들어갔다. 거기에는 두꺼운 나무로 짠 아주 오래된 함(函)이 하나 있었다. 단단한 철 자물쇠가 채워져 있고, 위쪽에는 동전을 넣는 구멍도 있었다. 종교개혁을 촉발한 도화선, 면죄부 함이었다. 종교개혁 당시 테첼이라는 가톨릭 수도사는 “금화가 면죄부 헌금함에 떨어지며 ‘땡그랑!’ 소리를 내는 순간, 죽은 자의 영혼이 연옥에서 천국으로 올라간다”고 설파했다. 그가 도시를 돌아다니며 .. 2021. 2. 4. "마틴루터의 95조항 8가지 주제 분석" 및 생애와 사상 "마틴루터의 95조항 8가지 주제 분석" 당시 면죄부 판매원들은 "면죄부를 사는 순간 영적인 은혜를 얻기 때문에 자기 죄를 회개할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설교를 하였고 "이미 죽은 사람을 위해서도 면죄부를 살 수 있으며 이때도 고해성사나 회개의 필요가 없이 오직 돈만을 가지고 오면 연옥의 영혼이 구제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마틴루터는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비판하며,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회 문에 95개 논제를 붙였고, 이것이 종교개혁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마틴루터가 작성한 95개 조항의 원제목은 "면죄부의 능력과 효용성에 관한 토론"으로, 로마 카톨릭 교회 전체에 대한 부정이라기보다는 당시 잘못된 가르침을 외치고 다녔던 설교자들을 향한 것이었습니다. .. 2021. 2. 4. 예수님의 부활은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 예수님의 부활은 왜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실까? 예수님의 ‘부활’은 십자가에 죽으심과 함께 기독교를 다른 종교와 구별시켜 주는 핵심적인 진리에 속한다. 성경은 예수님의 부활을 가리켜 ‘첫 열매’라는 독특한 표현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도다”(고전15:20) “그러나 각각 자기 차례대로 되리니 먼저는 첫 열매인 그리스도요 다음에는 그리스도 강림하실 때에 그에게 붙은 자요”(고전15:23) 예수님의 부활은 왜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실까? 그리고 첫 열매로 부활하신 예수님이 왜 그리스도가 강림하실 때에 모든 신자들에게 일어날 부활에 대한 확실한 보증이 되실까? 유대인들에게 ‘첫 열매’가 주는 의미는? ‘첫사랑’, ‘첫.. 2021. 1. 30. [성경의 식물 ]3- 몰약(沒藥, Myrrh)/ 야채과 과일들 [성경의 식물] 몰약(沒藥, Myrrh) 1. 용어 히브리어는 ‘모르’이다. 헬라어로 ‘무라’이며, 아랍어는 ‘무르’이다. 아마 히브리어를 음역한 듯하다. 뜻은 ‘몹시 쓰다’이다. 팔레스타인 동남부에 자리한 아라비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 등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암석지대나 석회암 구릉지대에 잘 자라는 관목이다. 1-1.5m까지 자란다. 몰(沒)은 ‘가라 앉다’는 뜻이다.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 잘 자라나는 식물이다. 콤미포라 나무로 불린다. 학명은 콤미포라 미르라(Commiphora myrrha)이다.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도 비슷한 품종으로 함께 몰약으로 불린다. 몰약나무에서 얻어지는 것이 몰약이다. 몰약은 고대로부터 에션션오일의 여왕으로 불렸다. 이집트에.. 2021. 1. 1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