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복음서 연구223 산상수훈 - 팔복을 중심으로 - 산상수훈에 관한 연구 - 팔복을 중심으로 - 서 론 이스라엘은 오랫동안 메시야를 대망해 왔으며, 마침내 이 땅에 오신 예수께서는 공생애를 시작한 직후부터 천국 복음을 전파하고 가르치시고 백성 중에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는 등(마4:23) 구약의 약속된 메시야의 사역을 전개해 나가셨다. 온갖 병자들을 이적적 권능으로 치유하신다는 소문을 듣고서, 혹은 그 권능을 목격하고서, 수많은 무리가 예수께 몰려들었다. 그들은 한결같이 현세적이고 물질적인 축복을 구하는 자들이었을 것이다. 이에 예수께서는 공생애 초기부터 이 무리들에게 천국이나 축복의 실상이 어떠하며, 또한 그러한 축복 가운데 있는 자들이 드러내어야 할 삶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분명히 밝히고자 하셨다. 산상수훈은 주께서 이루신 구속의 복음을 듣고 .. 2020. 7. 22. 산상수훈 서론 서론 : 총론에서 각론으로 진행하는 것은 어떤 가르침을 연구할 때도 현명한 법칙이다. 몇가지 일반적인 의문을 먼저 살펴보자. 1. 왜 산상보훈을 설교해야 하는가? 1.1 성령의 강권하심, 인도를 느꼈기 때문이다. 1.2 현대 교회 생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피상성 때문이다. 전도 활동 뿐 아니라 거룩, 성화 개념까지 피상성은 침투했다. 1.3 이 피상성의 주원인은 성경에 대한 태도에 있다. 성경은 신앙과 삶의 유일한 권위이므로 읽는데 그쳐서 안되고 묵상하고 깊이 연구해야 한다. 1.4 이런 경향은 율법과 은혜의 관계에서도 살필 수 있다. 율법의지나친 강조로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자유의 복음을 도덕 훈화집으로 전락시키든지 은혜의 지나친 강조로 율법을 전적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가 복음을 얼마.. 2020. 7. 16. 산상수훈, 산상보훈, 산상복음, 8복의 올바른 이해 산상수훈, 산상보훈, 산상복음, 8복의 올바른 이해 산상수훈(山上垂訓)은 산상보훈(山上寶訓), 산상복음(山上福音)이라고 부르며 흔히 8복(八福)으로 쉽게 이해합니다. 산상수훈은 예수님이 갈릴리 지역 한 야산에서 말씀하신 기독교 도덕의 근본과 극치를 말한다는 의미에서 기독교의 대헌장(大憲章)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합니다. 흔히 8복(복이 있나니~~)이라고도 하며, 시편1편(복 있는 사람은 ~~)과 연결이 됩니다. 산상수훈은 마태복음 5-7장에 기록이 된 예수님의 교훈과 설교를 가리킵니다. 이런 산상수훈은 누가복음 6:20-49에도 비슷하게 기록이 되어 있으며, 누가복음의 저자 누가는 누가복음 11-16장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학자들은 마태복음과 구분하기 위해 누가복음의 수훈을 ‘평지수훈“이.. 2020. 7. 16. 4복음서 비교 분석 예수님 관련된 4복음서 비교 1. 4복음서 비교 제 목 마 태 복 음 마 가 복 음 누 가 복 음 요 한 복 음 그리스도의 모 왕이신 예수 종이신 예수 인간이신 예수 하나님이신 예수 별 명 사자 복음 소 복음 사람 복음 독수리 복음 저자의 유형 교 사 설교가 역사가 신학자 강조 내용 그리스도의 설교 그리스도의 기적 그리스도의 비유 그리스도의 교리 대 상 유대인 로마인 헬라인 세계 만민 족보의 기록유무 1:1-17 이유: 왕은 족보 가 있어야 한다. 없다. 이유:종은 족보가 필요없다. 3:23-38 이유:완전한 인간은 족보가 있어야 한다. 없다. 이유:하나님은 족보가 없다. 활동 무대 갈릴리의 가버나움 갈리리의 가버나움 갈릴리의 가버나움 유다의 예루살렘 두 구분 그리스도의 인성 그리스도의 인성 그리스도의 .. 2020. 3. 23. 이전 1 ··· 51 52 53 54 55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