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복음서 연구223

매태복음 - 반어, 비유 , 5대설교 마태복음 안의 반의어 큰 자와 작은 자 연구StartFragment cafe.daum.net/correcttheology 1. 서론 마태복음 안에는 여러 반의어들이 많이 나타난다. 큰/작은, 악인/선인, 좋은 열매/나쁜열매 등. 그러나 우리는 마태복음 안의 모든 반의어들을 다 다루지 않을 것이다. 다만 우리는 그 중에서 지상 사람의 신분을 나타내는 용어인 μέγας(큰 자)와 μικρός(작은 자) 용어들에 주의를 기울이고자 한다(10.42 ; 11.11 ; 18,6,10,14 ; 20.26 ; 23.11 ; 25.40,45). 이 대조 용어들과 그 함축 의미에 우리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런데 이 용어들은 신약뿐 아니라, 구약과 그 주변문학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신약의 마태복음 안에서 사용된 .. 2020. 12. 19.
빛과 소금에 대한 연구 빛과 소금에 대한 연구 본문선택의 이유 '빛과 소금'이라는 말은 오늘날 기독인의 대명사로 취급된다. 기독인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빛과 소금'에 관한 설교와 주석서를 접했을 것이다. 평신도들이 일반적으로 '빛과 소금'에 관한 이해는 기독인들이 죄악으로 어두운 세상을 향해 자기의 몸을 태우는 희생의 개념으로 빛을, 그리고 세상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개념으로 소금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는 전적인 오해라 할 수는 없겠지만 성서를 바탕으로 이해하지 않는 '논리적 비약'이라고는 할 수 있을 것이다. '빛과 소금'에 대한 논리적 비약은 평신도들에게 두가지 정도의 큰 문제점을 안겨준다.첫째, 그것은 구체적으로 세상을 향해 그리스도인들이 무엇을 해야하는 지에 대해서 답을 제시하지 못한다. 즉 도대체 자기의 몸을.. 2020. 12. 12.
성전 개념에 대한 신약적 고찰 성전 개념에 대한 신약적 고찰 유영기 (합동신학교 신약학 교수) 1. 서론 신약의 성전 개념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가 기독교 공동체가 하나님의 성전이라는 개념임을 부인할 자는 없을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에게 제기되는 중요한 두 가지 질문은 첫째로 성전이 신약시대 당시에도 그대로 존속할 뿐 아니라 그 곳에서 제사가 날마다 계속적으로 드려지는 마당에 어떻게 성전에 대한 이러한 개념이 형성될 수 있느냐는 점이다. 둘째로 관심되어지는 점은 이러한 신약적 성전개념과 구약의 성전개념과의 상관성에 대한 것이다. 첫째 질문은 성전에 대한 신약 당시 시대적 상황이나 옛날 성전에 대한 현대 정통 유대교인들의 사모함을 볼 때 더욱 그러하다. 오늘날 정통 유대교인들 중에는 이천년 전에 파괴된 제 이 성전에 이어 제 삼 성.. 2020. 12. 12.
무화과 열매 무화과 내가 나무를 좋아하는 이유는 푸르고 좀 특별하게 보이는 잎 때문이다. 따라서 무화과를 보는 관점은 과일 나무라기보다는 원예 식물로 더 친근하다. 무화과는 낙엽성 관목이다. 보통의 무화과나무 최저 생존 온도는 영하 10도다. 영하 10도보다 추운 곳에서 생존하려면 보통 무화과 품종은 겨울에 바람이 적은 양지에 멀치를 많이 해주면 생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영하 20도 온도에 겨울에 죽는다. ​ 추운 지역에서는 무화과를 화분에 심어서 기를 수도 온도가 맞는다면 밖에서 기를 수도 있다. 무화과는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땅이 좋다. 열매는 보통 늦여름에 익고 새 가지에 열리는 열매는 가을에 익는다. 과일이 열리기 까지는 3-5 년 걸린다. ​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은가? -- 무화과 꽃과.. 2020.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