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달샘, 쉴만한 물가190 주이불비 周而不比 저 사람은 왜 저러지? 소위 말하는 '삐딱선'을 타는 사람, 자기와 뜻이 맞지 않는 상대방에 대해서는 늘 뒷 담화를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공자는 이러한 사람을 두고 소인배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서로 상생하며 살라는 사자성어가 바로 '주이불비'입니다. 주이불비 상생하며 살라는 사자성어 주이불비! 주이불비 周而不比의 유래 (논어 위정 편 14장) 子曰 (자왈) - 子曰 (자왈) 君子周而不比 (군자주이불비) 小人比而不周 (소인비이부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친밀하게 지내되 사리사욕을 위해 결탁하지 않고, 소인은 사리사욕을 위해 결탁하되 인간적으로 친밀하지는 않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주이불비에 맞는 관계만을 맺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최소한 자신의 사리사욕의 잣대로 상대방을 평가해서는 안 됩.. 2020. 11. 19. 후목불가조 朽木不可雕 후목불가조 朽木不可雕 썩은 나무에는 새길 수 없다 올바른 정신을 강조하는 고사 성어 후목불가조 후목불가조 朽木不可雕 朽 : 썩을 후 木 : 나무 목 不 : 아닐 불 可 : 가능할 가 雕 : 새길 조 "일이나 물건이 형편없게 되어서 더 이상 어찌할 방도가 없음" 올바른 정신이 안된 사람에게는 가르쳐도 소용이 없다는 고사 성어입니다. 후목불가조 朽木不可雕 사례 조직 생활을 하다 보면 상사보다는 하급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게 훨씬 쉽습니다. 그 이유는 접촉도 더 많이 할뿐더러 일의 진척도나 성격분석을 접하는 경우가 윗 사람보다는 빈번하기 때문입니다. 오래전에 함께 근무했던 P는 입사도 나이도 3~4년 어렸기에 함께 있는 동안 늘 제 후임였습니다. 그는 가정 환경도 그리 넉넉지 않은 탓에 학력은 전문대 졸에 생김.. 2020. 11. 19.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 / 야글미라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한때 베스트셀러였던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를 읽으면서 감동을 받았기도 했지만,최근 여러매체에서 소개되고 있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 5가지'를 보면서나름대로 재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흔히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는 돈이 있고 없고의 차이라고 생각하지만사실은 근본원인에는 양자의 습관이나 사고의 차이가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 T 하브 에커, 백만 장자 마인드의 비밀중에서'에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를 흥미롭게 대조한 내용이 있는데 몇가지만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부자는 '내가 내 삶을 만든다'고 믿으나 가난한 사람은 '삶이 나를 만든다'고 믿는다. ▶ 부자는 결과에 따라 보상 받지만 가난한 사람.. 2020. 11. 19. 궁즉통 극즉반(窮則通 克則反) 궁즉통(窮卽通) 극즉반(極卽反) 궁하면 통하고 극에 달하면 반전하게 된다ㆍ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궁(窮)이란? 철저하게 끝까지 "온 힘을 다한다는 뜻"이랍니다 극(極)이란? 무슨 일을 함에 있어서 "더할 수 없을 만큼 막다른 지경"을 말합니다ㆍ 궁즉통 극즉반의 정신! 후회하지 않을 정신 무장의 경구! 돌이켜 보면 어느 한 날 쉬운 날은 없었습니다. 사람마다 좌표를 정하기 나름이겠지만, 한국민의 거의 모두는 '무한 경쟁'으로 한 세상을 쫓기듯 내달리다 마감하는 형국입니다. 자신의 인생을 후회하지 않기 위함이라기보다는 어쩌면 "더 더 더" 가지려는 탐욕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어리석은 인간의 표본이 '돈 벌려고 제 몸 망치고는 고장 난 그 몸을 고치려고 번 돈을 다 쓰고 죽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결국 새가 .. 2020. 11. 1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