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과 신학 1217 예수님 시대 성전의 성소와 구조도면 예수님 시대 성전의 성소와 구조도면 기원전 538년에 고레스의 포로귀환 승인이후에 돌아온 포로민들이 예루살렘성과 성전을 재건하는 이야기는 이미 느헤미야서와 에스라서에 잘 나와 있습니다. 성전 건축은 잠시 중단되기고 하는 우여곡절 끝에 다리우스왕 때 (521BCE)에 다시 재개 되었습니다. 그리고 518/7년에 성전 봉헌식이 있었지요. 이 때에 성전이 재건되기는 했습니다만, 이 성전을 다시 헤롯대왕때에 증개축을 합니다. 요세푸스의 기록에 의하면 헤롯이 왕이된 후 17년 후에 성전을 재건축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룹바벨에 의해서 건축되었던 성벽의 돌을 걷어내고는 완전히 새롭게, 그리고 아름답게 성전을 꾸몄기 때문에 이것을 걱정하는 많은 유대인들의 있었다는 이야기가 요세푸스의 고대사 15.388-89에 나와 있는.. 2020. 9. 8. 회당(Synagogue, 시나고게) ☆ 회당(Synagogue), 시나고게 ☆ 회당의 전통적인 기능은 그것이 갖고 있는 3가지 히브리어 이름인 베트 하테필라(기도하는 집), 베트 하크네세트(집회하는 집), 베트 하미드라시(학습하는 집)에 반영되어 있다. 회당이라는 말은 그리스어로 '함께 모이다'라는 뜻의 synagein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집회 장소를 뜻한다. 오늘날 일부 개혁파와 보수파 회중들은 성전이란 말을 쓴다. 회당의 기원은 BC 3세기 이전이 틀림없지만 AD 70년 티투스가 제2성전을 파괴하자 회당의 중요성은 훨씬 더 커져서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유대인들의 종교 생활의 중심지가 되었다. 회당은 자율적으로 움직이므로 회당을 세우고 유지할 때 랍비와 직원들은 지역공동체의 요구들을 반영한다. 회당 건물에는 일정한 표준이 없다. 전형적.. 2020. 9. 8. 신약 개론 신약 개론 서언 신약성경을 개요함에 있어서 먼저 신약성경 전체를 한눈으로 볼 수 있도록 그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이 유익하리라 생각된다. 이는 마치 우리들이 어떤 지역의 구석구석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전에 높은 산꼭대기에 올라가 그 지역의 전체 지형을 살핌으로써 대략적인 지식을 확보하는 것과 같다. 제 1 장 신약에 비추어 본 구약 신약과 구약의 관계의 중요성은 여기서 다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구약 없이는 신약을, 신약없이는 구약을 올바로 이해할수 없다. 구약과 신약은 한 권의 책과 같은 책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장에서 신약이 구약을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를 간단 명료하게 생각해 보고자 한다. (1) 신약은 구약 성경을 영감된 것으로 취급한다. 구약성경을 쓴 사람들은 "성령의 감동하심.. 2020. 9. 7. 누가복음 14:1-24의 문학-역사비평적 연구 누가복음 14:1-24의 문학-역사비평적 연구 오덕호 I. 들어가는 말 1. 연구의 동기 신약성서 해석에 있어 역사비평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 발달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학비평적 방법들은 이제 우리들에게도 생소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성서라는 독특한 글을 해석하는데는 역사비평만으로도 한계가 있겠지만, 문학비평만으로도 역시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두 방법을 적절히 결합시킨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 그런 방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것이 문학비평 방법에 속하는 독자반응비평을 수정하여 역사비평의 장점이 포함되도록 한 문학-역사비평 방법이다. 본 연구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누가복음의 한 문단을 해석해 봄으로써, 이 방법론을 검증해보고, 아울러 그 문.. 2020. 8. 26.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