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과 신학 1217

에베소 교회 : 요한계시록2장1절 ㅡ 7절 에베소 교회 요한계시록2장1절 ㅡ 7절 역사에서 에베소의 이름이 최초로 언급된 것은 BC13세기 경의 히타이트 성경의 헷 족속 비문에서인데 그 비문에 APASAS라고 불리웠던 도시가 바로 이지역으로 추정된다 AD1세기에 에베소는 기독교인들에게는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37-42년 사이에 기독교 전도에 주력하던 그리스도의 사도들이 예루살렘에서 추방당하게 되자 사도 바울은 그의 2차, 3차 전도여행 때 에베소를 방문하여 선교를 하고 교회를 세우기도 했다 사도 요한은 그리스도로부터 성모 마리아를 돌볼 의무를 부여받고 성모 마리아와 함께 에베소에 와서 살면서 말년을 보내기도 했다 64년 사도 바울이 로마의 성 밖에서 순교하자 요한은 그를 대신해서 에베소의 기독교 지도자가 되었다 요한은 노구를 이끌고 버가.. 2020. 12. 12.
소아시아 교회들 주님께서 소아시아 일곱 교회를 향하여 “안다”라고 말씀하신 것은, “그들의 의대로” 갚아주신다는 뜻입니다. 계시록에 소개된 소아시아 일곱 교회는 지상의 모든 교회를 대표합니다. 우리 모두도 일곱 교회에 다 포함됩니다. 그렇다면 주님께서 일곱 교회에 하신 말씀이, 오늘을 살아가는 나와 연관된 말씀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사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서 전해드린 말씀을 다시 한 번 요약해보겠습니다. 소아시아 일곱 교회 중 첫 번째 소개된 “에베소”는 ‘인내’라는 뜻입니다. 세상 모든 일에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내가 필요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다보면 좋은 일도 있지만 힘든 일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땅에는 선과 악이 함께 공존하기 때문입니다. 일세기 당시 소아시아 지역에서는 로마황제숭배를.. 2020. 12. 4.
“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워져야 하는가” “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워져야 하는가” - 허 주/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 “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워져야 하는가?” 이 질문은 기독교 역사 이래로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신앙 위에 마땅히 교회가 세워져야 하는 당위성을 대변하는 일종의 수사적 질문이다. 이 질문은 또한 그 동안 매우 당연시 되었던 진술 - ‘기독교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위에 세워져야 한다’ -이 적지 않게 도전을 받고 있는 학문적 현실을 의식하면서 고려될 수 있는 일종의 변증적 질문이기도 하다. 이 학문적 현실이라는 것은 실제로 서구 신학계에 있어 18세기부터 신약성서 학계에서 이미 발원한 것이었으며, 19-20세기에 소위 ‘역사적 예수’(the Historical Jesus)와 ‘신앙의 그리스도’(.. 2020. 10. 6.
메시야 사상/ 기름부음 메시야 사상 Ⅰ. 서론 성경신학의 핵심은 역시 기독론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이 신,구약 성경속에서 어떻게 연관성을 맺고 있는가?가 중심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예수의 인격과 속성을 표현하는 칭호중에 가장 두드러진 사용을 보인것은 그리스도 즉, 메시야일 것이다. 그렇다면 왜 메시야로 불리워졌는가. 그 이유는 무엇이며, 그 과정은 무엇인가. 그리고 당위성은 역사적으로 인정되는가. 그것은 객관성의 문제에 있어서 여러 비판적 관점에 대해 무엇이라고 대답하는가. 또한 그가 메시야라고 불리워졌을 때, 그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예수의 메시야적 특성에 대하여 개관적이고 순수한 단순역사 속에서 그 과정과 실제의 형태를 편견없이 고찰하고자 한다. Ⅱ.본론 1.메시야의 의미 메시야의 개념을 구분하는데 .. 2020.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