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파괴하는 자가 너를 치러 올라왔나니 너는 산성을 지키며 길을 파수하며 네 허리를 견고히 묶고 네 힘을 크게 굳게 할지어다
2 여호와께서 야곱의 영광을 회복하시되 이스라엘의 영광 같게 하시나니 이는 약탈자들이 약탈하였고 또 그들의 포도나무 가지를 없이 하였음이라
3 그의 용사들의 방패는 붉고 그의 무사들의 옷도 붉으며 그 항오를 벌이는 날에 병거의 쇠가 번쩍이고 노송나무 창이 요동하는도다
4 그 병거는 미친 듯이 거리를 달리며 대로에서 이리저리 빨리 달리니 그 모양이 횃불 같고 빠르기가 번개 같도다
5 그가 그의 존귀한 자들을 생각해 내니 그들이 엎드러질 듯이 달려서 급히 성에 이르러 막을 것을 준비하도다
6 강들의 수문이 열리고 왕궁이 소멸되며
7 정한 대로 왕후가 벌거벗은 몸으로 끌려가니 그 모든 시녀들이 가슴을 치며 비둘기 같이 슬피 우는도다
본문은 니느웨가 어떻게 멸망하는지를 보여준다.
1절) 나훔 선지자는 니느웨에 적군이 쳐들어왔고 이에 니느웨(앗수르)에게 이를 대적하여 잘 방어해보라고 말한다. 이는 그들의 멸망을 바라는 비웃음에 가깝다. 선지자는 그들에게
산성(요새)를 지키며
길을 파수하며
네 허리를 견고히 묶고
네 힘을 크게 굳게하라고 충고한다.
하지만 본문은 아직 명시적으로 누가 누구를 치는지를 특정하고 있지는 않는다. 이는 선지서의 예언의 특성이다. 이후 8절이 되어서야 이 멸망의 대상이 니느웨라고 특정한다.
니느웨를 파괴하는 자들이 누구였을까? 나훔은 누가 니느웨를 공격할지를 알고 있었을까? 아마도 메대인과 바벨론인 그리고 스구디아인으로 구성된 연합군이었을 것이다. 나훔은 정확히 누가 니느웨를 공격할지는 몰랐지만 바로 하나님께서 이 일을 이루실 것을 알았다. 앗수르는 주변의 나라들을 매우 무자비하게 짓밟아 왔다. 이들을 이제 하나님께서 치시는 것이다.
- When Nineveh fell in 612 b.c., the shatterer was a coalition of Medes and Babylonians under Cyaxeres and Nebuchadnezzar. We do not know whether or not Nahum knew this. For Nahum the ultimate shatterer was God himself. No matter who the human agent of destruction might be, God rendered the Assyrians powerless. He planned to rescue the peoples of the world and particularly to rescue his chosen people from the iron hand of the oppressor.
God had decreed the destruction of Nineveh. The only thing the people of Nineveh could do was attempt to defend themselves. Human nature demands that citizens fight to defend their lives and their property even when the cause is hopeless.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197–198.
2절) 선지자는 니느웨에 대한 멸망을 선포하다가 유다를 향한 회복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러한 내용이 부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앗수르의 멸망이 유다에게는 회복의 메시지이기때문에 문제는 없다.
하나님께서 앗수르를 심판하시는 이유는 야곱의 영광을 회복시키기 위해서이다. 본문의 영광은 ‘가온’이라는 표현으로 영광, 높음, 위엄, 자부심을 뜻하는 단어이다. 하나님께서는 땅에 떨어진 이스라엘의 명예를 회복시키실 것이다.
본문의 영광이라는 단어와 포도나무라는 히브리어가 비슷하다.
- The word “splendor” (gĕʾôn) refers to the former majesty of the nation Israel. The Hebrew word means “height” (Job 38:11) and thus eminence either as pride (Exod 15:7; Isa 24:14; Mic 5:3) or as presumption (Jer 13:9; Ezek 16:56; Hos 5:7; 7:10).18 By 627 b.c. Israel had fallen to the Assyrians almost a century earlier, and Judah consisted of a small area surrounding Jerusalem. The former splendor of the nation now consisted only of ancient memories. With the ascendance of Josiah to the throne of Judah in 627 b.c. and the corresponding death of Ashurbanipal of Assyria, a series of events began that saw the literal return of much of the glory of Israel.
Some translations use the word “vine” in place of the word “splendor.”19 The two words are the same except for one Hebrew letter. Hebrew parallelism would normally call for “vine” since the last phrase literally reads “and they have ruined their branches.” “Branches” and “vines” would be parallel. The NIV attempts to follow the Hebrew but also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imagery of the vine by translating “and have ruined their vines.”20
3-5절) 본 절은 니느웨를 공격하는 자들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그 용사들의 방패는 붉고, 그의 무사들의 옷은 붉으며(보라색) 그 항오를 벌이는 날에 병거가 쇠를 번쩍이며 나아오고 노송나무의 창이 요동을 친다. 그 병거는 엄청난 속도로 거리를 달리며 이리저리 달리는 그것이 횃불같고 번개같이 빠르다. 그가 그의 존귀한 자들을 기억하고 그들이 엎어지면서도 달려 돌격하여 급히 성문에 이르러서 성벽을 부수는 장치를 준비한다.
당시 첨단무기라고 할 수 있는 병거를 앞세워서 니느웨를 치러 달려오는 적군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당시 앗수르를 대적할 나라가 없으리라고 여겨졌지만 선지자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이들을 치실 것을 선포한다.
용사들은 붉은 방패와 자주색 군복을 입었다. 어떤 주석가들은 침략자들의 방패와 군복이 피로 얼룩진 것이라고도 말하지만 적들에게 위압감을 주기 위해서 일부러 붉은 색으로 치장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앗수르 군인들은 청색 혹은 보라색 군복을 입었던 반면(겔 23:6) 메대와 바벨론 사람들은 붉은 군복을 입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겔 23:14-15) 침략군들의 창은 그 수를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고 온 땅을 휩쓸듯이 요동친다.
번쩍이는 쇠로 무장한 병거가 빠른 속력으로 질주하면서 적들에게 불 화살을 쏘며 돌진한다. 당시 병거는 1-2차 대전시의 탱크와 같았다. 엄청난 위용을 자랑하며 엄청난 속도로 돌진해오는 병거는 두려움의 상징과도 같았을 것이다.
- 2:3–4 shield … red. Either their shields were painted red, or they were permanently stained with the blood of defeated foes from previous military campaigns. His … he is a reference to the scatterer mentioned in v. 1. The attacking army was a coalition made up of Medes and Babylonians, and possibly Scythians. Cyaxares (625–585 b.c.) was the leader of the Medes (who p 1715 played the dominant role in the destruction of Nineveh), and Nabopolassar (626–605) led the Babylonians. The streets and squares are those of the suburbs surrounding Nineveh, the first areas to be overrun by the attacking army. flashing metal … gleam like torches. The sunlight reflects off of the metal pieces of the chariots. dart like lightning. This could refer again to the light reflecting, or indicate the swift movement of the chariots.
Crossway Bibles, The ESV Study Bible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08), 1714–1715.
5절의 전반부 문구는 해석이 난해하다. 이를 ‘정예부대를 앞세우고 넘어지지 않으면서 돌격한다’로 해석하기도 하고 ‘지휘자들이 군대를 지휘한다’로 해석하기도 한다. 달려오는자가 누구인가? 침략군들이 달려오는데 그 침략군들이 넘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엄청난 군대의 사기로 인해서 앞서 동료 군사들이 넘어져도 전혀 멈추지 않고 전진하여 온다는 것으로 그 무엇도 이들을 멈출수 없다는 것이다.
니느웨 성을 함락시키기 위해서 엄청난 기세로 달려온 이들은 성에 이르러 막을 것(siege tower)를 준비한다. 이는 공성전에서 성벽을 방어하는 수비병들이 공격하는 군사들을 향해서 아래로 던지는 화살이나 창, 돌들과 같은 것들로 부터 그들을 보호해주기 위한 시설물이라고 할 수 있다.
- 2:5 The attacking army now reaches the wall of Nineveh proper. He remembers. “He” (see v. 3) may be so eager to be involved in the attack that he almost forgets to delegate parts of the operation to his officers. These officers, eager both to join in the attack themselves and to please their superior(s), so rush into the action that they practically stumble over one another. Or, as they move toward Nineveh’s wall, they may stumble over the wreckage in the devastated suburbs. siege tower. This could also be rendered “mantelet” (see ESV footnote), a covering that protects the attacking soldiers from arrows, spears, and other objects thrown down on them by the defenders on the wall.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6-7절) 강들의 수문이 열리고 왕궁이 소멸되어 왕후가 벌거벗은 몸으로 끌려가니 모든 시녀들이 그들의 가슴을 치며 비둘기 같이 슬피 운다.
니느웨는 티그리스 강의 서쪽 둑에 세워진 도시로 도시 중심부에 코서 강이 흘러 도시에 생명을 공급했다. 도시 주위의 강은 천연 방어물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이 싸움에 개입하시자 니느웨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던 강들이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물로 인해서 안전을 보장받았다면 이제 그 물로 인해서 패망하게 된 것이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범람한 물로 인해서 도시의 방어벽이 무너졌을 것으로 보인다. 침략자들이 강의 상류를 점령하여 수위를 조절했을 것이다. 강의 수문을 막아두었다가 갑자기 수문을 열어 많은 물이 쏟아지게 함으로 도시를 물에 잠기게 했을 것이다.
방어막이 뚤린 니느웨는 철저하게 유린당한다. 7절의 본문에 왕후(나차브)라는 표현은 매우 난해한 표현이다. 영어 번역본의 대다수는 이제 (니느웨의 멸망이) 선고되었다’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또 다른 학자들은 이를 후잡이라는 이름으로, 이는 앗수르의 수호신인 이스타르라고 해석한다. 이는 전투에 패배함을 통해서 앗수르의 수호신까지 포로로 끌려감으로 그들이 슬퍼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더이상 니느웨는 위엄을 유지하지 못하고 적들에게 수치를 당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 2:6 river gates. The Khoser River flowed through Nineveh; north of the city were dams, most likely with gates to regulate the flow of this river. The besieging coalition could easily have closed the gates (cutting off this water supply), waited until a considerable quantity of water collected, and then opened the gates. The resulting mass of water crashing against and through Nineveh would have done much damage to portions of the city’s wall, system of gates, and internal structures, thus greatly aiding the besiegers. Another river that probably flowed through Nineveh was the Tebiltu, which could have been used by the coalition in the same manner. The destruction caused by the waters no doubt w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short length of the siege—only three months. The palace melts away because of the floodwaters.
2:8 ◎니느웨는 예로부터 물이 모인 못 같더니 이제 모두 도망하니 서라 서라 하나 돌아보는 자가 없도다
9 은을 노략하라 금을 노략하라 그 저축한 것이 무한하고 아름다운 기구가 풍부함이니라
10 니느웨가 공허하였고 황폐하였도다 주민이 낙담하여 그 무릎이 서로 부딪히며 모든 허리가 아프게 되며 모든 낯이 빛을 잃도다
11 이제 사자의 굴이 어디냐 젊은 사자가 먹을 곳이 어디냐 전에는 수사자 암사자가 그 새끼 사자와 함께 거기서 다니되 그것들을 두렵게 할 자가 없었으며
12 수사자가 그 새끼를 위하여 먹이를 충분히 찢고 그의 암사자들을 위하여 움켜 사냥한 것으로 그 굴을 채웠고 찢은 것으로 그 구멍을 채웠었도다
13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에 내가 네 대적이 되어 네 병거들을 불살라 연기가 되게 하고 네 젊은 사자들을 칼로 멸할 것이며 내가 또 네 노략한 것을 땅에서 끊으리니 네 파견자의 목소리가 다시는 들리지 아니하리라 하셨느니라
8-10절) 약탈 당하는 니느웨
앞서 니느웨가 명시된 적은 없다. 여기에 니느웨가 처음 언급된다. 앞서 6절에서 강들의 수문이 열린 것이 언급되는데 니느웨는 티그리스 강 서쪽 둑에 세워진 도시로 중앙에는 코서 강이 흘렀다. 물이 니느웨를 번성하게 했지만 이제 물로 인해서 심판과 멸망이 임하는 것이다.
니느웨는 물이 가득한 연못과 같았는데 이제 그 물이 빠져 나가고 있다. 줄줄 새는 연못이 된 것이다. 성안의 사람들이 연합군의 공격으로 인해 모두 도망가는데 ‘서라 서라’라고 외치지만 이를 돌아보는 자가 없다. 본문에서 ‘서라’고 말하는 사람이 침략자들인지 아니면 성을 방어하기 위해서 애쓰는 장교인지 알 수 없다. 이들은 지금 공포에 사로잡혀서 뒤도 돌아보지 않고 도망가고 있는 것이다. 니느웨는 지난 200여년 동안 근동지역의 패권자로 주변 나라들을 침략하여 약탈과 만행을 저질렀다. 이웃 나라들이 가지고 있던 수많은 보물들과 재화들을 약탈했고 또한 그들에게 엄청난 양의 조공을 바치게 하여서 수많은 금과 은, 보물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제 그 모든 것들을 약탈 당하고 있는 것이다. 풍요롭던 니느웨가 이제 공허하고 황폐하게 되었다. 그곳의 주민들의 상황은 이렇게 묘사된다. ‘떨리는 가슴, 후들거리는 무릎, 끊어질 것 같이 아픈 허리, 그리고 하얗게 질린 얼굴’, 이제까지 주위의 많은 이들의 피눈물을 흘리게 했던 이들이 당하는 고통이다. 위대하던 앗수르는 이제 완전히 무너져 내린 것이다.
10절의 처음 ‘니느웨가 공허하였고 황폐하였도다’라는 표현은 히브리어로 비슷한 발음으로 표현된다. 이를 GNB는 이렇게 번역했다. ’Nineveh is destoryed, deserted, desolate!'
- “Pillaged, plundered, and stripped” all sound alike in Hebrew and have similar meanings (bûqâ ûmĕbûqâ ûmĕbullāqâ).64 Though different translations attempt to duplicate the paronomasia into English (e.g., GNB uses “Nineveh is destroyed, deserted, desolate!”), the power of Nahum’s message comes through without the duplication of the Hebrew verse. Nahum’s pictorial language vividly describes the fear of the people of Nineveh. “The sight would send such a shudder through the strongest people that uncontrollable trembling would seize the entire body and their faces blanch. The portrayal is one of abject terror, painted again in synecdoche and picturesque brevity: melting hearts, knees knocking together, bodies writhing, faces made colorless with fright.”65 Nineveh’s reign of terror would end. In Nineveh the people faint before the sure end of Assyria’s dominance.
64 Robertson notes the rhythmic effect of Nahum’s language. “Each successive word is slightly longer than the former, so that a rhythmic buildup reinforces the message. The first two terms occur only here in the OT, and the third appears elsewhere only in Isa 24:1, where it is connected again with the verb bāqaq” (Robertson, Nahum, Habakkuk, and Zephaniah, 94).
GNB Good News Bible
11-12절) 사자는 힘과 민첩성, 주권을 상징하는 짐승으로 동물의 왕으로 불리운다. 이 강력한 포식자가 잡아 먹히는 짐승들에게는 두려움의 표상이었다. 전통적으로 앗수르는 자신들을 사자와 연관시켰다. 앗수를 왕들은 자신들을 사자로 묘사했고, 그들의 수호신 이스타르가 암사자로, 혹은 사자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자주 등장한다.
선지자는 ‘사자의 굴이 어디 있느냐?’, ‘젊은 사가가 먹을 곳이 어디 있느냐’라고 묻는다. 이전에는 수사자 암사자가 그 새끼 사자와 함께 거기서 다닐 때 그것들을 두렵게 할 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그곳에서 수사자가 그 새끼를 위해서 먹이를 충분히 찢고 그의 암사자를 위해서 움켜 사냥한 것으로 그 굴을 채웠고 찢은 것으로 그 구멍을 채웠었다.
그런데 이제 그 굴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12절은 이전 앗수르가 얼마나 포악하게 주변을 침략하여 빼앗고 약탈했는지를 보여준다. 그들은 자신들의 배를 치우고 자신들의 자녀들을 위해서 남들을 무자비하게 착취하였다. 이제 그 사자의 굴이 없어져 버린 것이다.
13절) 사자처럼 호령하던 앗수르가 이렇게 갑자기 무너져버린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여호와 하나님이 그들의 대적이 되셨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이처럼 무자비하게 다른 이들을 억압하여 풍요로움을 누리는 것을 용납하지 않으시고 그들을 심판하신 것이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앗수르의 대적이 되셔서 그들의 병거를 불살라 연기가 되게 하고 젊은 사자들을 칼로 멸한 것이며 당에서 네가 노략한 것을 끊을 것이며 또한 더이상 너의 파견자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편이 되시면 대적할 자들이 없다. 반대로 하나님께서 우리의 반대편, 대적이 되시면 이에 견딜 자가 없다. 앗수르는 하나님의 대적이 되어 병거들이 불타없어지고, 젊은 사자들, 젊은이들을 멸하심으로 그들의 미래가 없어지게 하셨다. 또한 모든 노략한 것을 빼았겼고 도움을 청하기 위해서 달려가는 파견자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셨다. 결국 완전한 멸망을 당함으로 다시는 회복되지 못할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병거, 젊은 사자, 노략한 것, 파견자는 모두 앗수르의 강력함을 상징하는 것들이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이 모든 것들을 파하실 것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3-4절의 병거는 불타고, 젊은 사자는 죽임을 당한다. 1장 15절에서 이스라엘에 화평을 전하는 자의 소리는 들리겠지만 앗수르의 메신저의 소리를 다시 들리지 않게 될 것이다.
- 2:13 I am against you. This divine pronouncement says it all. The final verse of ch. 2 recalls earlier images in the chapter: chariots (vv. 3–4), now up in smoke; young lions (vv. 11–12), now themselves prey to the sword; and messengers, now “no longer … heard” (v. 1 in the Hebrew text [1:15 in the English text]). The Lord’s vengeance (righteous judgment; see note on 1:2), when it comes, is irresistible and final.
ch. chapter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vv. verses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v. verse in the chapter being commented on
D. A. Carson, ed.,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Grand Rapids, MI: Zondervan, 2018), 1608.
The Holy Bibl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aton, IL: Crossway Bibles, 2016), 나 3:1–7.
3: 3 화 있을진저 피의 성이여 그 안에는 거짓이 가득하고 포악이 가득하며 탈취가 떠나지 아니하는도다
2 휙휙 하는 채찍 소리, 윙윙 하는 병거 바퀴 소리, 뛰는 말, 달리는 병거,
3 충돌하는 기병, 번쩍이는 칼, 번개 같은 창, 죽임 당한 자의 떼, 주검의 큰 무더기, 무수한 시체여 사람이 그 시체에 걸려 넘어지니
4 이는 마술에 능숙한 미모의 음녀가 많은 음행을 함이라 그가 그의 음행으로 여러 나라를 미혹하고 그의 마술로 여러 족속을 미혹하느니라
5 보라 내가 네게 말하노니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에 네 치마를 걷어 올려 네 얼굴에 이르게 하고 네 벌거벗은 것을 나라들에게 보이며 네 부끄러운 곳을 뭇 민족에게 보일 것이요
6 내가 또 가증하고 더러운 것들을 네 위에 던져 능욕하여 너를 구경 거리가 되게 하리니
7 그 때에 너를 보는 자가 다 네게서 도망하며 이르기를 니느웨가 황폐하였도다 누가 그것을 위하여 애곡하며 내가 어디서 너를 위로할 자를 구하리요 하리라
1절) 본문은 니느웨 성이 심판당하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 안에는 거짓이 가득하고 포악이 가득하며 탈취가 떠나지 않고 있었다. 이로 인해서 이 피의 성에는 화가 임했다.
본문에서 ‘화 있을진저’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심판을 표현하는 표현으로 구약에서 53번이나 사용되는데 장례식의 조가로 8번, 관심을 갖기 위한 부르짖음으로 4번, 선지서들에서 다가오는 멸망을 선포할 때 41번 사용되었다.
피의 성이라는 니느웨, 앗수르에 대한 표현은 매우 적절하다. 앗수르는 고대 근동지역에서 가장 잔인한 민족의 하나로 알려진 민족이었다.
살만에셀 (Shalmaneser III) (858-824BC)은 한 도시를 점령하고 나서 다음과 같은 회고를남겼다: “나는 마치 아다드(아시리아의 신)가 폭풍우를 내리듯이 적군들에게 임하여 그들을 죽였다. 그들이 파놓은 방어 구덩이를 그들의 시체로 가득 채웠고 넓은 들판을 그들의 시체로 덮었다. 나는 양털에 빨간물을 들이듯이 산들을 그들의 피로 물들였다. 냐는 많은 병거들과 말을 빼앗았으며 그들의 성읍앞에 해골더미를 쌓았다. 나는 그들의 다른 도시도 불태웠다”(ANET) .
아시리아는 또한 다음과 같은 만행을 일삼았다. 사람의 손, 발, 귀, 코를 자르고 눈을 파내는 것은 일상적으로 하던 일이었다. 사람들의 목을 잘라서 끈으로 동여매어 도성의 문 앞에 쌓아두거나 걸어두었다. 심지어는 살아있는 사람의 가죽을 벗기기까지 했다. 마치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이 유태인들에게 저지른 만행을 방불케 한다. 아시리아 사람들이 이처럼 잔인하고 포악한 짓들을 일삼았으니 선하신 창조주가 결코 그들의 만행을 오래 방관하실리 없다.
- 3:1 “Woe” is a word characteristic of the prophets. Translators use several different words to communicate the distinctive meaning of the Hebrew word (hôy). “Ho,” “Ah,” “Alas,” and “Shame on you” all describe the meaning of the Hebrew term. The word usually announces a theme of judgment.
Though the term “woe” is found in many books of the Old Testament, the prophets used it most often and in relationship to God’s divine judgment. In the present context the word is a statement rather than a wish. In this sense the usage runs parallel to Nahum’s certainty of the destruction of Nineveh. The GNB catches the inevitable judgment against Nineveh: “Doomed is the lying, murderous city.” Of the fifty-three occurrences in the Old Testament, R. J. Clifford listed three possible uses for hôy: (1) to describe funeral laments (eight times), usually translated “alas”; (2) a cry to get attention (four times), usually translated “ho” or “ah”; (3) and announcement of doom (forty-one times and used only by the prophets), usually translated “woe to.”3
2-3절) 본절은 매우 생생한 언어로 앗수르가 대적들에게 만행을 당하는 모습을 표현한다. 휙휙 하는 채찍 소리, 윙윙 하는 병거 바퀴 소리, 뛰는 말, 달리는 병거, 충돌하는 기병, 번쩍이는 칼, 번개 같은 창, 죽임 당한 자의 떼, 주검의 큰 무더기, 무수한 시체, 그리고 그 시체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들
대적들이 말과 병거를 몰고 채찍과 칼, 창을 휘두르면서 수많은 이들을 죽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들이 달려와 그들의 칼과 창을 휘두를 때마다 사상자가 속출하고 이로 인해서 많은 이들이 도망가다가 시체에 걸려서 넘어진다. 하나님께서는 앗수르가 다른 나라에게 무자비하게 행한대로 갚아주고 계신 것이다.
4절) 니느웨가 심판을 받아야 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제시한다.
앞선 모습처럼 이들이 심판을 당하는 이유는 니느웨가 마술에 능숙한 미모의 음녀로 많은 음행을 행했기 때문이다. 앗수르는 그의 음행으로 여러 나라를 미혹하고 그의 마술로 여러 족속을 미혹했다. 마치 여인이 자신의 미모를 동원하여 뭇 남자들을 홀리고 마술로 속이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앗수르는 막강한 군사력과 권력을 앞세워서 다른 나라를 착취하고 거짓 약속등을 통해서 다른 나라들을 속였다. 앗수르가 엄청난 부와 권력을 획득한 것에 대해서 하나님께서는 이들의 행위를 창녀의 음행으로 평가하고 있으신 것이다.
- 3:4 Reasons for Judgment: The Wickedness of Nineveh. This verse uses figurative language to present reasons for the destruction of Nineveh. whorings. As the capital of idolatrous Assyria, Nineveh continually engaged in many violations of God’s will. graceful … deadly charms. Nineveh, with its power and wealth, exerted a corrupting influence throughout the Near East (cf. 2 Kings 16:18). betrays. The monarchy based in Nineveh did not hesitate to use treachery and deceit (see Nah. 3:1) to achieve its aims.
3:4 Nineveh’s punishment prefigures the punishment for the idolatrous seduction of Babylon the prostitute (Rev. 17:1–6; 18:1–3).
5-7절) 심판을 선포하시는 하나님
음행하며 유혹하는 음녀인 니느웨는 그가 행한 수치스럽고 가증한 일에 대해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치마를 걷어 올려서 벌거벗은 부끄러운 모습을 뭇 나라와 민족들에게 보일 것임을 말씀하신다. 또한 하나님께서 가증하고 더러운 것들을 그들 위에 던져서 능욕하여 구경거리가 되게 하신다고 말씀하신다. 그 때에 그(니느웨)를 보는 자가 다 도망하며 ‘니느웨가 황폐되었도도’, ‘누가 그것을 위하여 애곡하며 내가 어디서 너를 위로할 자를 구할까’라고 할 것이다.
앗수르가 집권했을 때 다른 민족들을 두려워하며 그를 좇았지만 하나님께서 그들을 심판하신 후 앗수르는 멸시와 천대의 대상이 된다. 하나님께서 그들로 부끄러운 모습을 당하게 하실 것이고 가증하고 더러운 것, 오물들을 앗수르에 던져 능욕을 당하게 하실 것이다. 이에 수치와 능욕을 당하는 니느웨를 보고 그에게 다가가 그를(앗수르) 도와주기는 커녕 지저분하게 여기면서 멀리 달아날 것이다. 그가 힘과 권력을 가졌을때는 그에게 머리를 조아렸지만 그가 패배하자 아무도 그를 위해 애곡하거나 위로할 자가 없을 것이다.
8 ◎네가 어찌 노아몬보다 낫겠느냐 그는 강들 사이에 있으므로 물이 둘렸으니 바다가 성루가 되었고 바다가 방어벽이 되었으며
9 구스와 애굽은 그의 힘이 강하여 끝이 없었고 붓과 루빔이 그를 돕는 자가 되었으나
10 그가 포로가 되어 사로잡혀 갔고 그의 어린 아이들은 길 모퉁이 모퉁이에 메어침을 당하여 부서졌으며 그의 존귀한 자들은 제비 뽑혀 나뉘었고 그의 모든 권세자들은 사슬에 결박되었나니
11 너도 술에 취하여 숨으리라 너도 원수들 때문에 피난처를 찾으리라
12 네 모든 산성은 무화과나무의 처음 익은 열매가 흔들기만 하면 먹는 자의 입에 떨어짐과 같으리라
13 네 가운데 1)장정들은 여인 같고 네 땅의 성문들은 네 원수 앞에 넓게 열리고 빗장들은 불에 타도다
1) 히, 백성
8절) 본문에서 나훔 선지자는 앗수르(니느웨)를 노아몬과 비교한다. 노아몬은 테베(Thebes)로 이집트의 위대한 도시로 1400여년 동안 세상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난공불락의 도시였다. 테베는 니느웨와 같이 강 사이에 위치한 도시로 하르는 물줄기로 천연 요새를 삼아 오랫동안 번영하던 도시였다. 이곳은 지중해로부터 남쪽으로 650km떨어진 도시로 나일강의 동쪽 둑에 위치했다. 나일강은 마치 바다와 같이 광대한 넓이로 테베를 둘러싸고 있었다. 실제로 나일강의 폭이 800m나 되었기에 이 강이 성벽과 방어벽이 되었어 수성에 용이한 도시였다. 테베는 남서쪽으로는 사막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동쪽으로 나아가면 홍해가 펼쳐져 있었다. 이 도시가 앗수르에게 663년에 정복된 일은 매우 불가사이한 일이었다. 선지자는 이렇게 막강해 보이던 도시 테베(노아몬)이 무너졌다면 상대적으로 별볼일 없어 보이는 니느웨가 멸망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닌가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노아몬’을 히브리어의 음역으로 그 의미는 ‘아몬 신의 보호아래 있는 도시’라는 의미이다.
- 3:8 Are you better than Thebes …? Nineveh was not better fortified and did not appear more invincible than Thebes, a very important, powerful city located in southern Egypt (about 400 miles/644 km from the Mediterranean). Nile … water around her. This mighty river, along with canals and channels from the Nile that surrounded most of Thebes, was an aspect of the city’s strong defense system and its seeming invulnerability. Rampart a sea is a poetic reference to the Nile (cf. Isa. 19:5), which was about half a mile wide at Thebes. The Nile, canals, and channels formed a natural outer wall for the city. Nineveh did not have similar protection.
9-10절) 노아몬은 구스와 애굽, 붓과 루빔의 도움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것이 그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결국 노아몬은 지리적인 요충지였고 주위에 도울 나라들이 많이 있었음에도 자신들을 지킬 수가 없었고 그래서 포로로 잡혀 갔다. 그의 어린 아이들은 길 모퉁이에 메어침을 당하여 죽임을 당했고 존귀한 자들, 귀족들은 제비 뽑혀 나뉘어 졌고 권세자들은 사슬에 결박되었다.
노아몬이 앗수르에게 공격을 당해 점령당하고 그 주민들이 살육당하고 포로로 끌려갔다. 침략자인 앗수르는 매우 잔인하게 포로들을 다루었다. 주민들을 노예로 잡아가고, 어린아이들을 벽에 던져 죽게했다. 그리고 자신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는 존귀한 자들은 제비를 뽑아 그들의 노예로 삼았다.
구스는 애굽의 남쪽에 있던 에디오피아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 3:10 Nahum’s point was that if Thebes, with all its defenses, could fall, how could Nineveh consider itself impregnable? As surely as Thebes fell to Assyria, Nineveh would fall at the judgment of the great God. Though well-positioned with natural defenses and allied with its immediate neighbors, Thebes went into captivity. The same would happen to Nineveh. Nineveh knew the example well. Its armies, under the ultimate command of Ashurbanipal the king, took Thebes in 663 b.c. The policies of exile, slave trading, and slaughter of infants were the ruthless policies of Nineveh as carried out by the most efficient and barbaric army of the time.
Assyria practiced a cruel system of exile for captured nations. Samaria serves as the prime example. When Samaria fell to Assyria under Tiglath-pileser III in 722 b.c., Assyria carried off many of the citizens of the Northern Kingdom to distant nations. Many of the citizens of those and other nations suffered exile to Samaria. The Old Testament indicates that the Samaritans, with their distinctive theological views and enmity with the people of Judea, came from the exile imposed by the Assyrians (2 Kgs 17:1–41).
Four events occurred even though Thebes benefited from its superior geographical defenses and its military alliances. First, the people of Thebes were taken captive and went into exile.
Second, the attackers cruelly destroyed even the infants of Thebes. The picture of dashing in pieces conveys the most barbaric treatment imaginable. The invaders crushed the infants against the stones and buildings of the city. Such cruelty abounded in ancient times. At a later time the psalmist declared the joy of the one who could dash the heads of the infants of Babylon against the rock (Ps 137:9). The whole point of Nahum’s message was that Nineveh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232–234.
11-13절) 이제 선지자는 노아몬과 같이 너희도 견디지 못하고 비참한 종말을 맞이할 것에 대해서 예언한다. 그는 다섯가지의 비유를 통해 종말을 예언한다.
1) 술에 취하여 숨는 사람들
2) 원수들을 피해서 피난처로 도망가는 사람들
3) 처음 익은 열매처럼 흔블면 떨어지는 무화과 나무
4) 연약한 여인
5) 열린 성문과 불타버린 빗장
나훔은 비유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2:1-13에서는 앗수르를 먹이가 없는 사자로, 3:1-7에서는 수치와 수모를 당하는 창녀로, 본문에서는 술취하여 몸을 가눌 줄 모르는 사람으로 묘사한다. 니느웨가 공격을 받아 노아몬처럼 무너지게 될때 마치 흔들기만 하면 떨어지는 무화과 나무를 입에 넣는 것과 같이, 누워서 떡먹기처럼 쉬운 일이라는 것이다. 한때 근동을 호령하던 애굽(노아몬)과 앗수르(니느웨)가 이렇게 몰락하고 멸망을 당했다. 결국 이 텍스트를 통해 나훔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앗수르나 애굽의 국력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권세는 하나님앞에 아무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이다.
- As Achtemeier emphasizes, “Nahum is a master of metaphor.… In 2:1–13 Nineveh was a lion deprived of its prey, in 3:1–7 a harlot shamed and exposed. Now, in this taunt song, Nineveh becomes a drunk, weak and dazed.”67
67 Achtemeier, Nahum–Malachi, 25.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234.
앗수르(니느웨)는 노아몬(테베)과 같이 자신들의 지리적인 위치(강과 바다)와 자신들의 연합군, 지원군들 그리고 산성과 잘 훈련된 병사들이 자신들을 보호해 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을 그들의 보호자가 되지 못한다. 누구도 하나님의 진노에서 이들을 보호해 줄 수 없는 것이다.
14 너는 물을 길어 에워싸일 것을 대비하며 너의 산성들을 견고하게 하며 진흙에 들어가서 흙을 밟아 벽돌 가마를 수리하라
15 거기서 불이 너를 삼키며 칼이 너를 베기를 느치가 먹는 것 같이 하리라 네가 느치 같이 스스로 많게 할지어다 네가 메뚜기 같이 스스로 많게 할지어다
16 네가 네 상인을 하늘의 별보다 많게 하였으나 느치가 날개를 펴서 날아감과 같고
17 네 방백은 메뚜기 같고 너의 장수들은 큰 메뚜기 떼가 추운 날에는 울타리에 깃들였다가 해가 뜨면 날아감과 같으니 그 있는 곳을 알 수 없도다
18 앗수르 왕이여 네 목자가 자고 네 귀족은 누워 쉬며 네 백성은 산들에 흩어지나 그들을 모을 사람이 없도다
19 네 상처는 고칠 수 없고 네 부상은 중하도다 네 소식을 듣는 자가 다 너를 보고 손뼉을 치나니 이는 그들이 항상 네게 행패를 당하였음이 아니더냐 하시니라
나훔은 앗수르에게 조롱섞인 어조로 자신을 방어할 수 있으면 방어해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4-17절) 그리고 이어서 앗수르 왕을 비웃으며 너희가 행한 행위대로 당할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예언을 마친다.
14절) 선지자는 니느웨를 향해서 다가오는 적의 공격에 대비할 것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서 적들의 포위를 대비해서 물을 길어 둘 것을 요청한다. 이는 강물로 둘러싸인 니느웨에 ‘물을 길어두라’는 말은 조롱으로 들린다. 실제로 고대의 전쟁에서는 성을 포위하여 고립시킨 후에 그곳에 식량과 물의 공급을 막아서 자멸할 때까지 기다리는 전술을 많이 사용했다. 앞서 2:6을 보면 적들이 강의 수문을 닫음으로 물의 공급을 제한하거나, 수문을 열어서 수공을 할 수도 있기에 이에 대비한 수로체계을 마련하여 성 안에 물을 마련해 둘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성을 견고하게 할 것을 요청하는데 이를 위해서 진흙으로 들어가 모르타르를 밟아서 찍어낸 벽돌을 만들라고 말한다. 이렇게 벽돌을 만드는 공정을 수리하는 이유는 여기서 만든 벽돌을 통해서 산성을, 요새를, 성벽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나훔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앗수르가 물을 긷고 성벽을 보수함으로 최선을 다해서 자신들을 공격하는 대적들의 침략을 대비하지만 결코 성벽을 방어하는데는 실패할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15절) 앞서 적의 공격을 막기위해서 열심히 준비한다고 할지라도 불이 니느웨를 삼키며 칼이 나와 그들을 칠 것이다.(2:13) 실제로 고고학자들은 니느웨에서 파괴적인 화재의 증거들을 발견했다. 느치(메뚜기)가 휩쓸고 지나가면 곡창과 전원지대는 쑥대밭이 되고 만다. 그렇게 대량 학살과 약탈을 당하는 상황가운데 스스로 느치와 같이, 메뚜기와 같이 많게 하라는 것은 그들을 향한 비꼬는 표현이다.
- Nahum and other prophets used fire as a symbol of defeat and destruction of any kind (Amos 1–2). The prophet used the verb “to eat” with the fire, as if the flames would “lick” the people. The sword and fire both represented the instruments of warfare generally and indicated the coming destruction for Nineveh. After the capture of a city, the enemy often burned it, possibly as punishment for its resisting capture. The resulting charred remains continue to aid archaeological research by helping to date the destruction of the cities.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third line reads, “It will consume you like the locust” (Nah 3:15). Several problems come from this translation. (1) To what does “it” refer? The nearest noun is the “sword,” but the “fire” seems to be most natural. The sword could not be used to destroy the locust, but farmers often used fire to rid themselves of the locust. (2) Does “like the locust” refer to the fire or sword consuming or to the way the locust consumes crops?92 (3) Four different Hebrew words for “locust” occur in Nah 3:15–17. What did Nahum intend to convey by these words? The first word in the text, translated “grasshoppers” in the NIV, probably refers to the young locust, which has a more voracious and destructive appetite than the mature locust. Nahum’s meaning then would be that like the destructive young locust, the attackers of Nineveh would consume the populace of Nineveh.93
The second word for “locust” is translated “locust” in the NIV and apparently refers to the mature locust. The remaining two words (in v. 17) indicate swarms of locusts. The use of swarms probably indicates the large number of Assyrian officials.94 “The devouring of an entire metropolitan area by a small creature like the locust underscores the futility of man’s grandiose plans. The most obscure and seemingly defenseless of God’s creatures brings to their knees the most powerful of God’s adversaries.”95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238–240.
16-17절) 니느웨가 번성한 시기에는 하늘의 별처럼 많은 상인들이 이 광대한 제국에 엄청난 부를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포위 공격을 당하는 이 시점에 이들의 부는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적들은 느치와 같이 이곳을 휩쓸고 지나갈 것이고, 니느웨의 방백들과 장수들은 메뚜기 떼와 같이 추운 날에는 울타리에 깃들여 있다가 해가 뜨면 날아가 사라지는 것같이 그 있는 곳을 알 수 없게 된다.
일이 잘될 때는 주변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서 사람들이 모인다. 그리고 충성은 다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난관에 봉착하면 이런 형태로 이익을 추구하는 목적을 위해서 모인이들은 순식간에 자리를 박차고 도망가게 된다. 니느웨에서 거래를 하면서 부를 축적하던 이들이 니느웨가 공격을 받아 도움이 필요할 때 모두 등을 돌리며 떠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이런 자기중심성을 극복하는 관계, 공동체를 우리는 가졌는가?
본문속애서 메뚜기, 느치가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막을 수 없는 엄청난 군대로 휩쓸고 지나가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것이 해가 뜨면 날아가서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게 되는 것처럼 앗수르의 방백들과 장수들의 약함과 충성되지 않음을 비유하고 있다.
- 3:17 The twin themes of hopelessness and locusts continue in v. 17. As in the preceding verse, those people most likely to defend the city would depart like the locust. The words for “guards” and “officials” are Assyrian loan words that Nahum used to heighten the effect. Though the words are difficult to translate, the idea of guards and officials indicates the nature of those fleeing the city like locusts. “Their leaders may be vast in numbers, but they are inept, ineffective, and essentially looking after their own interests.”98 How could Nineveh stand if those with the most to lose deserted the city? How could Nineveh stand with leaders they cannot trust? This theme of false trust permeates prophetic literature. Usually, such condemnation attacks Israel and its failure to trust God. Nahum shows it can be used “against any who dared to make claims concerning their own power.”99
Cold weather affected the locust. On cold days the locusts barely moved, preferring to hide in the crevices provided by stone fences that surrounded the fields of Assyria. When the weather warmed, the locusts began to move again and flew away. Who knows where locusts fly? Can you keep up with a swarm of locusts? If you can find the locusts who fly away, you can also find the leading officials of Nineveh on the day of attack. Longman shows how Nahum has satirically taken a common image using locusts to describe “unstoppable armies” and used it instead to describe armies and nations characterized by weakness and disloyalty.100
“The Assyrians had based their empire on expediency and self-interest, multiplying power, wealth, and personnel like locusts for their own gratification. Now their empire was to succumb as a victim of the self-interest it had promoted—eaten away from within no less than it was devoured by the sword from without.”101
18-19절) 앗수르의 목자들은 잠들었고 귀족들은 누워서 쉬고 있고 백성들은 산들에 흩어지지만 그들을 다시 모을 자가 없다. 또한 앗수르 왕국이 당한 상처는 고칠 수 없고 그 부상은 위중하다. 이처럼 공격을 받아 백성들이 흩어지는데 지도자들은 사망의 잠을 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앗수르의 패망의 소식을 듣는 자들은 손뼉을 치며 기뻐하는데 이는 앗수르가 이전에 그들에게 행패를 행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앗수르가 강성할 때는 그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그들과 함께하며 그들의 편인 것 처럼 행동했지만 이제 앗수르가 비참한 종말을 맞이하는 순간 그들곁에 함께 있어주는 자들은 없었고 도리어 손뼉을 치며 기뻐하고 있는 것이다. 나훔은 앗수르 왕국과 니느웨가 이전에 고대 근동의 다른 민족들에게 잔인한 포악을 행한 대로 그들이 당할 것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앗수르의 목자들은 잠 자고 있다. 백성들은 흩어진다. 하지만 우리의 목자되신 주님은 자신의 양들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의 생명을 바치시는 분이다. 한마리 잃은 양을 찾아 헤매이시는 분이시다.(요 10:11)
나훔서는 우리의 지난 삶을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우리는 얼마나 의롭게 살아왔으며, 세상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왔는가? 만일 내가 오늘 죽는다면, 이 소식을 듣고 슬퍼활 사람들은 몇이나 되며, 오히려 기뻐할 사람들은 또 몇이나 될까? 노벨이 각 분야에 상을 수여하게 된 동기에 이런 일화가 있다. 그는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여 많은 돈을 벌었다. 그러나 그 다이너마이트가 전쟁에서 살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는 이렇다 할 대책이 없다고 생각했고 또한 그것이 자신의 책임도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조간신문을 받아 든 그는 깜짝놀랐다. 신문사의 기자가 잘못 알고 마치 노벨이 전날 죽은 것처럼 기사를 써서 1면에 대서특필로 기재한 것이었다. 기사의 타이틀은 ‘죽음의 상인 노벨이 죽다’로 되어 있었으며, 노벨의 업적보다는 부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글이었다. 노벨은 심한 충격을 받았고 그 이후로 많은 생각을 하다가 결국에는 자신이 죽으면 전 재산을 털어 인류의 발전과 평화를 위하여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상으로 줄 것을 유언을 남겼던 것이다.
나훔은 마치 영존할 것 같던 악의 성, 육신으로 상징되는 아시리아의 멸망을 선포하고 있다. 혹시 우리는 아시리아와 같은 모습으로 남을 괴롭히고 있지는 않은가? 혹시 우리는아시리아가 마치 영원한 권세를 누릴 것 같이 착각한 것처럼 동일한 착각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하나님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아시리아가 멸망한 것처럼 세상의 악이 심판받을날이 반드시 임할 것이다.(엑스포지멘터리 333)
- “Everyone who hears the news about you” included all the smaller states of Western Asia. All would rejoice in Nineveh’s demise because all had come under Nineveh’s endless cruelty.110 God’s judgment of Nineveh aided Judah and the other weaker nations suffering under the barbaric regime of the king of Assyria. Assyria had stolen, plundered, and committed acts of unconscionable atrocity. God acted in history to remove the oppressor and to restore the oppressed. Thus God’s final message to Nineveh’s king was brutal: “Three continents have reeled for decades from the irrational extremes of your passion. Shall those whose eyes you have gouged out shed tears at your death? Shall those whose ears and nose you have cut off lament now? Shall the tongues you have chopped off recite your praises?” No, the time had come in which “the offer of mercy must be superseded by divine judgment.”111
In this context we find the true point of Nahum. God is the Lord of history who works in history to correct oppression and to lift up the oppressed. “Nineveh is no ordinary city for the prophet, nor is Assyria just another degenerating civilization. They stand for the ultimate supernatural evil that frustrates and suppresses the purposes and people of God. Their defeat is a sign of the victory of God and the basis for hope that his power and justice will ultimately conquer all evil.”112
Kenneth L. Barker,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vol. 20,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1999), 242–243.
14 너는 물을 길어 에워싸일 것을 대비하며 너의 산성들을 견고하게 하며 진흙에 들어가서 흙을 밟아 벽돌 가마를 수리하라
15 거기서 불이 너를 삼키며 칼이 너를 베기를 느치가 먹는 것 같이 하리라 네가 느치 같이 스스로 많게 할지어다 네가 메뚜기 같이 스스로 많게 할지어다
16 네가 네 상인을 하늘의 별보다 많게 하였으나 느치가 날개를 펴서 날아감과 같고
17 네 방백은 메뚜기 같고 너의 장수들은 큰 메뚜기 떼가 추운 날에는 울타리에 깃들였다가 해가 뜨면 날아감과 같으니 그 있는 곳을 알 수 없도다
18 앗수르 왕이여 네 목자가 자고 네 귀족은 누워 쉬며 네 백성은 산들에 흩어지나 그들을 모을 사람이 없도다
19 네 상처는 고칠 수 없고 네 부상은 중하도다 네 소식을 듣는 자가 다 너를 보고 손뼉을 치나니 이는 그들이 항상 네게 행패를 당하였음이 아니더냐 하시니라
The Holy Bible: New Korean Revised Version, electronic ed. (South Korea, n.d.), 나 3:14–19.
나훔은 앗수르에게 조롱섞인 어조로 자신을 방어할 수 있으면 방어해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14-17절) 그리고 이어서 앗수르 왕을 비웃으며 너희가 행한 행위대로 당할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예언을 마친다.
14절) 선지자는 니느웨를 향해서 다가오는 적의 공격에 대비할 것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서 적들의 포위를 대비해서 물을 길어 둘 것을 요청한다. 이는 강물로 둘러싸인 니느웨에 ‘물을 길어두라’는 말은 조롱으로 들린다. 실제로 고대의 전쟁에서는 성을 포위하여 고립시킨 후에 그곳에 식량과 물의 공급을 막아서 자멸할 때까지 기다리는 전술을 많이 사용했다. 앞서 2:6을 보면 적들이 강의 수문을 닫음으로 물의 공급을 제한하거나, 수문을 열어서 수공을 할 수도 있기에 이에 대비한 수로체계을 마련하여 성 안에 물을 마련해 둘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성을 견고하게 할 것을 요청하는데 이를 위해서 진흙으로 들어가 모르타르를 밟아서 찍어낸 벽돌을 만들라고 말한다. 이렇게 벽돌을 만드는 공정을 수리하는 이유는 여기서 만든 벽돌을 통해서 산성을, 요새를, 성벽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나훔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앗수르가 물을 긷고 성벽을 보수함으로 최선을 다해서 자신들을 공격하는 대적들의 침략을 대비하지만 결코 성벽을 방어하는데는 실패할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15절) 앞서 적의 공격을 막기위해서 열심히 준비한다고 할지라도 불이 니느웨를 삼키며 칼이 나와 그들을 칠 것이다.(2:13) 실제로 고고학자들은 니느웨에서 파괴적인 화재의 증거들을 발견했다. 느치(메뚜기)가 휩쓸고 지나가면 곡창과 전원지대는 쑥대밭이 되고 만다. 그렇게 대량 학살과 약탈을 당하는 상황가운데 스스로 느치와 같이, 메뚜기와 같이 많게 하라는 것은 그들을 향한 비꼬는 표현이다.
- Nahum and other prophets used fire as a symbol of defeat and destruction of any kind (Amos 1–2). The prophet used the verb “to eat” with the fire, as if the flames would “lick” the people. The sword and fire both represented the instruments of warfare generally and indicated the coming destruction for Nineveh. After the capture of a city, the enemy often burned it, possibly as punishment for its resisting capture. The resulting charred remains continue to aid archaeological research by helping to date the destruction of the cities.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third line reads, “It will consume you like the locust” (Nah 3:15). Several problems come from this translation. (1) To what does “it” refer? The nearest noun is the “sword,” but the “fire” seems to be most natural. The sword could not be used to destroy the locust, but farmers often used fire to rid themselves of the locust. (2) Does “like the locust” refer to the fire or sword consuming or to the way the locust consumes crops?92 (3) Four different Hebrew words for “locust” occur in Nah 3:15–17. What did Nahum intend to convey by these words? The first word in the text, translated “grasshoppers” in the NIV, probably refers to the young locust, which has a more voracious and destructive appetite than the mature locust. Nahum’s meaning then would be that like the destructive young locust, the attackers of Nineveh would consume the populace of Nineveh.93
The second word for “locust” is translated “locust” in the NIV and apparently refers to the mature locust. The remaining two words (in v. 17) indicate swarms of locusts. The use of swarms probably indicates the large number of Assyrian officials.94 “The devouring of an entire metropolitan area by a small creature like the locust underscores the futility of man’s grandiose plans. The most obscure and seemingly defenseless of God’s creatures brings to their knees the most powerful of God’s adversaries.”95
The last two lines of v. 15 begin a new section that describes the leading men of Nineveh in terms of the locusts. Th
16-17절) 니느웨가 번성한 시기에는 하늘의 별처럼 많은 상인들이 이 광대한 제국에 엄청난 부를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포위 공격을 당하는 이 시점에 이들의 부는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 적들은 느치와 같이 이곳을 휩쓸고 지나갈 것이고, 니느웨의 방백들과 장수들은 메뚜기 떼와 같이 추운 날에는 울타리에 깃들여 있다가 해가 뜨면 날아가 사라지는 것같이 그 있는 곳을 알 수 없게 된다.
일이 잘될 때는 주변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서 사람들이 모인다. 그리고 충성은 다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난관에 봉착하면 이런 형태로 이익을 추구하는 목적을 위해서 모인이들은 순식간에 자리를 박차고 도망가게 된다. 니느웨에서 거래를 하면서 부를 축적하던 이들이 니느웨가 공격을 받아 도움이 필요할 때 모두 등을 돌리며 떠나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이런 자기중심성을 극복하는 관계, 공동체를 우리는 가졌는가?
본문속에서 메뚜기, 느치가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막을 수 없는 엄청난 군대로 휩쓸고 지나가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것이 해가 뜨면 날아가서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게 되는 것처럼 앗수르의 방백들과 장수들의 약함과 충성되지 않음을 비유하고 있다.
- 3:17 The twin themes of hopelessness and locusts continue in v. 17. As in the preceding verse, those people most likely to defend the city would depart like the locust. The words for “guards” and “officials” are Assyrian loan words that Nahum used to heighten the effect. Though the words are difficult to translate, the idea of guards and officials ind
18-19절) 앗수르의 목자들은 잠들었고 귀족들은 누워서 쉬고 있고 백성들은 산들에 흩어지지만 그들을 다시 모을 자가 없다. 또한 앗수르 왕국이 당한 상처는 고칠 수 없고 그 부상은 위중하다. 이처럼 공격을 받아 백성들이 흩어지는데 지도자들은 사망의 잠을 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앗수르의 패망의 소식을 듣는 자들은 손뼉을 치며 기뻐하는데 이는 앗수르가 이전에 그들에게 행패를 행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앗수르가 강성할 때는 그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그들과 함께하며 그들의 편인 것 처럼 행동했지만 이제 앗수르가 비참한 종말을 맞이하는 순간 그들곁에 함께 있어주는 자들은 없었고 도리어 손뼉을 치며 기뻐하고 있는 것이다. 나훔은 앗수르 왕국과 니느웨가 이전에 고대 근동의 다른 민족들에게 잔인한 포악을 행한 대로 그들이 당할 것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앗수르의 목자들은 잠 자고 있다. 백성들은 흩어진다. 하지만 우리의 목자되신 주님은 자신의 양들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의 생명을 바치시는 분이다. 한마리 잃은 양을 찾아 헤매이시는 분이시다.(요 10:11)
나훔서는 우리의 지난 삶을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우리는 얼마나 의롭게 살아왔으며, 세상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왔는가? 만일 내가 오늘 죽는다면, 이 소식을 듣고 슬퍼활 사람들은 몇이나 되며, 오히려 기뻐할 사람들은 또 몇이나 될까? 노벨이 각 분야에 상을 수여하게 된 동기에 이런 일화가 있다. 그는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하여 많은 돈을 벌었다. 그러나 그 다이너마이트가 전쟁에서 살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는 이렇다 할 대책이 없다고 생각했고 또한 그것이 자신의 책임도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조간신문을 받아 든 그는 깜짝놀랐다. 신문사의 기자가 잘못 알고 마치 노벨이 전날 죽은 것처럼 기사를 써서 1면에 대서특필로 기재한 것이었다. 기사의 타이틀은 ‘죽음의 상인 노벨이 죽다’로 되어 있었으며, 노벨의 업적보다는 부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글이었다. 노벨은 심한 충격을 받았고 그 이후로 많은 생각을 하다가 결국에는 자신이 죽으면 전 재산을 털어 인류의 발전과 평화를 위하여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상으로 줄 것을 유언을 남겼던 것이다.
나훔은 마치 영존할 것 같던 악의 성, 육신으로 상징되는 아시리아의 멸망을 선포하고 있다. 혹시 우리는 아시리아와 같은 모습으로 남을 괴롭히고 있지는 않은가? 혹시 우리는아시리아가 마치 영원한 권세를 누릴 것 같이 착각한 것처럼 동일한 착각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하나님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아시리아가 멸망한 것처럼 세상의 악이 심판받을날이 반드시 임할 것이다.(엑스포지멘터리 333)
- “Everyone who hears the news about you” included all the smaller states of Western Asia. All would rejoice in Nineveh’s demise because all had come under Nineveh’s endless cruelty.110 God’s judgment of Nineveh aided Judah and the other weaker nations suffering under the barbaric regime of the king of Assyria. Assyria had stolen, plundered, and committed acts of unconscionable atrocity. God acted in history to remove the oppressor and to restore the oppressed. Thus God’s final message to Nineveh’s king was brutal: “Three continents have reeled for decades from the irrational extremes of your passion. Shall those whose eyes you have gouged out shed tears at your death? Shall those whose ears and nose you have cut off lament now? Shall the tongues you have chopped off recite your praises?” No, the time had come in which “the offer of mercy must be superseded by divine judgment.”111
출처: https://peterjoy.tistory.com
'소선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댜(Obadiah) (0) | 2021.10.10 |
---|---|
신화 - 이슈타르 (Ishtar)/루시퍼(Lucifer) (0) | 2021.10.09 |
나훔 서론 및 1장 (0) | 2021.10.08 |
요나와 앗수르 (0) | 2021.10.08 |
나훔서 1장 연구 (0) | 2021.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