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1 신약 공동체의 종말론적 해석에 대한 소고 신약 공동체의 종말론적 해석에 대한 소고 - 새 밀레니움의 해석학을 기대하면서 I. 들어가는 말 글을 쓰는 저자는 자신의 글을 읽는 독자들을 염두에 두고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바를 그들에게 전달하고자, '의도된'(intended) 생각을 문자의 집합으로 구성된 '텍스트'(text)에 담는다. 그래서 역사적 비평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현대의 석의(釋義)는 '텍스트'의 저자가 의도했던 바인 '그때의 의미'(what it meant)를 찾아내는 작업을 주 사명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글이던간에 일단 '텍스트'로 고정되는 그 순간부터 저자의 손을 떠나게 되며, 그로 말미암아 '텍스트'는 저자와 상관없이 어느 정도 자기 운동성을 갖는 독자적 주체가 된다. 이러한 '텍스트'의 독립성은 저자와 독자 사이의 .. 2023. 6. 28. 유대인의 '18 기도' 유대인의 '18 기도' 십팔기도(十八祈禱, eighteen benedictions) 유대인이 하루 세 번 드리는 중요한 기도. 이 기도가 선자세로 경건하게 드려진데서 '셰모-네 에스레-'이름 붙여진 것이다. 제자들이 예수께 “주여 요한이 자기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친 것과 같이 우리에게도 기도를 가르쳐 주옵소서”(눅11:1-)하고 원한 것은 유대교에서 '십팔기도'가 행해지고 있었던 것과 구별할 수 있는 그리스도교의 정신을 담은 기도의 교시를 청한 것을 의미한다. 1. 주님, 우리 조상들의 하나님,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 전능하시고 무서우신 하나님, 하늘과 땅을 지으신 지고하신 하나님, 우리 방패 그리고 우리의 조상들의 방패이신 하나님, 매세대마다 우리의 의지할 분이신 당신을 .. 2023. 6. 28.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의 재물 주제에 관한 연구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의 재물 주제에 관한 연구 1. 들어가는 말 다른 복음서와 비교할 때, 누가복음이 재물 주제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는 것은 학자들 사이에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1) 그러나 한편으로 안타깝게도, 공관복음의 두 책인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에서 재물 주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많은 연구가 없어 왔다. 물론 재물 주제가 복음서 해석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은 분명 아니지만, 인간 생활에 있어 실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일부임에 틀림없는 재물에 대한 논의는 매우 유익한 연구가 아닐까 생각한다. 즉, 예수님의 사역과 교훈을 보여주고 있는 복음서에서 주님이 재물에 대하여 주신 교훈이나 재물과 관련하여 보여주신 태도에 대한 연구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매우 값진 가르침일 수.. 2023. 6. 28. 신약성경에 나타난 '경건'(eusebeia) 신약성경에 나타난 '경건'(eusebeia) I. 들어가는 말 신학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는 '경건'이다. '경건한 사람,' '경건 생활,' '경건 훈련,' '경건회' 등 참으로 '경건'이란 용어는 신학교 안에서 신학도들의 신학적인 사고와 신앙적인 삶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불가피한 개념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장로회 신학 대학교의 '교훈(校訓)'이라고 할 수 있는 '경건과 학문'(pietas et scientia)의 순서가 보여주는 것처럼 신학교 안에서 행해지는 학문의 연마는 경건을 그 토대와 전제로 한다. 그 경우 경건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피할 수 없다. 왜냐하면 경건을 정의하지 않고는 '경건함,' '경건하지 못함,' '경건 없음,' '왜곡된 경건,' '거짓 경건' .. 2023. 6. 28.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7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