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복음서 연구223

동방박사(마2:1-12)에 대한 성경적 재조명 동방박사(마2:1-12)에 대한 성경적 재조명 성탄절만 되면 동방박사에 대한 이야기가 예수님 탄생을 축하하는 전형적인 사건으로 이야기 되어 오고 있는데, 과연 그러한 모습이 성경적인가에 대하여 어느 누구도 성경적인 접근을 하지 않고 있음을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 그래서 2003년 성탄절을 앞두고 ‘동방박사’의 성경적인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마2:1-18의 말씀에서 동방박사들의 경배에 대한 성경적 의미(진리)가 무엇인지를 말씀 중심으로 살펴보고, 비교를 위해서 눅2:8-20의 말씀을 참고하고자 한다. 장황한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있는 일반적인 내용들(동방박사의 전승, 신분, 경배의 스토리 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먼저 마태복음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1. 유대인의 관점에.. 2020. 9. 2.
무화과 나무의 비유 무화과 나무의 비유 막11:11-24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이르러 성전에 들어가사 모든 것을 둘러 보시고 때가 이미 저물매 열 두 제자를 데리시고 베다니에 나가시다 이튿날 저희가 베다니에서 나왔을 때에 예수께서 시장하신지라 멀리서 잎사귀 있는 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혹 그 나무에 무엇이 있을까 하여 가셨더니 가서 보신즉 잎사귀 외에 아무 것도 없더라 이는 무화과의 때가 아님이라 예수께서 나무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제부터 영원토록 사람이 네게서 열매를 따 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이를 듣더라 저희가 예루살렘에 들어가니라 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사 성전 안에서 매매하는 자들을 내어쫓으시며 돈 바꾸는 자들의 상과 비둘기 파는 자들의 의자를 둘러 엎으시며 아무나 기구를 가지고 성전 안으로 지나다님을 허치 아니하.. 2020. 8. 24.
신약성경에 나타난 '복있는 사람들' 신약성경에 나타난 '복있는 사람들'/정훈택 교수 1. 시작하는 말 한국교회는 오랫동안 개인 중심의 현세적, 물질적 축복관에 시달려왔다. 현세적 물질적 축복관이란 삶의 모든 해악적 요소 즉 허약, 병, 가난, 사고, 재난, 실패, 단명 등을 복이 아닌 상태 혹은 저주나 하나님의 벌을 받은 상태로, 이것을 극복하거나 없애는 것 혹은 그 반대개념들 즉 능력, 건강, 부, 성공, 명예, 장수 등을 하나님의 축복으로 취급하는 것을 말한다. 이 축복관은 한 편으로는 한국교회의 부흥을 가져왔고, 다른 한 편으로는 한국교회의 타락을 가져왔다. 힘없고, 병들고, 가난하고, 크고 작은 사고로 고통을 당하고, 최선을 다해도 계속 실패와 좌절, 이런 저런 인생의 불행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찌들린 삶에서의 해방이란 희망을 품고 .. 2020. 8. 18.
마태복음과 구약 마태복음과 구약 마태복음은 다른 세 복음서들에 비해 구약성경에 대한 인용구들과 언급들을 두드러지게 많이 포함하고 있다. 마태복음의 이러한 특징은 그 독자들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에 비추어 볼 때 그렇게 놀라운 것이 아니다.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이 그 주된 독자들로 추정되는 마태복음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제시하는 데 있어 그 어떤 다른 복음서들보다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구약과의 연관성 속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에 직면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마태복음을 해석하는 데 있어 그의 구약 사용의 원리와 목적 그리고 그 내용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마태의 구약 사용은 여러 가지 면에서 독특한 측면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상당수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2 본고에서는 마태의.. 2020.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