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달샘, 쉴만한 물가190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는 그리스 신화의 일화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사람은 칭찬과 기대를 받으면 기대만큼 성장한다 라는 교육심리학 이론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 말이 어떻게 생긴 건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과연 어떤 신화 일지. 자신이 조각한 여성을 사랑한 키프로스의 왕 키프로스의 왕 피그말리온은 현실의 여성을 불신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는 오랫동안 독신을 고집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를 모델로 한이 상적인 여성을 스스로 조각한 피그말리온은 급기야 조각하고 사랑에 빠지게 되어서 함께 잠도 자고, 먹고, 입맞춤까지 하는 이상행동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그녀는 차고 단단한 조각일 뿐이라는 현실로 인해 슬픔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이 모습을 지켜본 아프로디.. 2021. 1. 9. 아시타비(我是他非)/ 피그말리온 효과 아시타비(我是他非)는 같은 사안도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는 이중잣대를 한자어로 옮긴 것으로, 사자성어보다는 신조어에 가깝다. 1990년대 정치권에서 이중잣대를 비판하는 관용구로 쓰이던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 최근 ‘내로남불’로 줄여 쓰이면서 아시타비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신조 한자어 선정은 처음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는 ‘아시타비’(我是他非)였다.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이른바 ‘내로남불’을 한자어로 옮긴 것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정치·사회 전반에 소모적인 투쟁이 반복됐다는 것이다. 교수신문은 지난 7~14일 교수 9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88명(32.4%·복수응답)이 ‘아시타비’를 선택했다고 20일 밝혔다. 아시타비(我是他非)는 같은 사안도 나는.. 2021. 1. 8. 성경에서 말하는 열가지 대화법 성경에서 말하는 열가지 대화법 1. 들을 준비를 하고 상대방이 말을 끝내기 전에 대답하지 않는다. - (잠 18:13) 사연을 듣기 전에 대답하는 자는 미련하여 욕을 당하느니라 - (약 1:19)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하고 말하기는 더디하며 성내기도 더디하라 2. 말을 더디하고, 먼저 생각하며 서둘러 말하지 아니한다. - (잠 15:23) 사람은 그 입의 대답으로 말미암아 기쁨을 얻나니 때에 맞은 말이 얼마나 아름다운고 - (잠 15:28) 의인의 마음은 대답할 말을 깊이 생각하여 악인의 입은 악을 쏟느니라 - (잠 21:23) 입과 혀를 지키는 자는 그 영혼을 환난에서 보전하느니라 - (잠 29:20) 네가 언어에 조급한 사람을 보느냐 그보다 미련한 자에게 오히려 바.. 2021. 1. 7.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및 르네상스 회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동의어 레오나르도 디 세르 피에로 다 빈치, 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 1452년경, 피렌체 공화국 빈치 1519년 5월 2일, 프랑스 클루 이탈리아 요약 15~16세기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이탈리아의 예술가이며, 주요 작품은 와 .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태어나 15세 때부터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의 도제가 되어 회화, 조각 등 여러 분야에서 훈련을 받았다. 밀라노 대공의 후원으로 17년간 밀라노에 머무르면서 등의 대작을 그렸다. 회화, 건축, 기계, 해부학 등에서 방대한 업적을 남겼다. 목차펼치기 초기 피렌체 시절 첫번째 밀라노 시절 2번째 피렌체 시절 2번째 밀라노 시절 말년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 대한 평가 ┗ 회화 ┗ 조각.. 2021. 1. 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