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과 신학 1217

구약의 5대 제사와 그 의미 구약의 5대 제사 -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제사의 종류에는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가 있으며, 이 다섯 가지 제사의 제물이 바로 동물제물과 곡식제물입니다. 번제는 버려질 부분을 제외하고 동물제물 전부를 불태워 바치는 제사입니다. 그래서 ‘완전함, 온전함’의 뜻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번제는 기본적으로 속죄의 제사이며(레 1:4),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제사(레 1:9,13,17)이기도 합니다. 번제가 죄와 연관되지 않는 경우는 ‘전적 헌신’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소제는 곡식으로 드리는 제사인데, 대게 단독으로 드리지 않고 번제(출 29:38-42, 레 9:17)나 화목제(레 7:11-13)와 함께 드렸습니다. 소제 역시 하나님의 기쁘시게 하는 제사입니다(레 .. 2020. 7. 9.
신약에 나타난 ‘감사’ 신약에 나타난 ‘감사’ 최 원 준 「목회와신학」 편집장, 장로회신학대학교 강사 어휘 고찰 ‘감사’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유카리스티아’eujcaristiva이며, 신약에서는 바울서신에서만 15회 나온다. 동사 ‘유카리스테오’eujcaristevw는 신약 전체에 38회 사용되고 있다. ‘유로게오’eujlogevw 역시 ‘감사하다’라는 뜻이 있는데, 식사하기 전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기도를 말하며, 신약에서는 총 41회 사용되고 있다. 개역개정판 성경에서 ‘유로게오’는 ‘축사祝謝하다’, ‘축복하다’ 등으로 번역된다. ‘안쏘모로게오마이’ajnqomologevomai는 누가복음 2:38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보통 ‘은혜’로 번역되는 헬라어 ‘카리스’cavri"는 ‘엑코 카린’e[cw cavrin의 형식으로 사용되어.. 2020. 7. 8.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헬레니즘(Hellenism) 과 헤브라이즘 (Hebraism) 어떤 문화에 대하여 이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지역 문화의 근간이 되는 정신적인 기조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첩경이 될 것입니다. 서양의 문화는 두 가지의 큰 흐름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헬레니즘(Hellenism)과 헤브라이즘(Hebraism) 입니다. 문학 역시 문화의 일부라 할 수 있으므로 다음에 살펴볼 두 기조를 잘 파악한다면 서양 문학을 접근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문학은 철학과 마찬가지로 그것을 탄생시킨 사회와 어떤 식으로든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서양 각 나라의 문학은 서양 고대문학을 밑거름으로 해서 발전해 왔습니다. 따라서 서양문학의 바탕과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양문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그리스.. 2020. 7. 7.
세례요한의 죽음 세례요한의 죽음 예수에 관한 소문은 분봉 왕 헤롯에게도 들어갔습니다. 분봉 왕은 왕이나 황제의 허락하에 한 나라의 일정 지역을 다스리던 군주로, 이 헤롯은 아기 예수를 죽이려 했던 헤롯 대왕의 아들이었습니다. "이는 세례 요한이라 저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으니 그러므로 이런 권능이 그 속에서 운동하는도다." 세례요한은 생전에 아무런 표적을 행하지 않았지만, 헤롯은 세례 요한의 혼이 예수에게 들어가서 이적을 행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예수님은 정치적 행보 없이 오로지 복음을 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위협을 느꼈습니다. 세례요한의 최후는 비참했습니다. 분봉 왕 헤롯은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를 가로채 부인으로 삼았습니다. 이에 세례요한은 그 여자를 취한 것이 옳지 않다고 말했고 헤롯은 분개해 그를 옥에.. 2020.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