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과 신학 1217

필로와 신약성서 (Philo and the New Testament) 필로와 신약성서 (Philo and the New Testament) 순서 1. 삶과 업적 (Life and Accomplishments) 2. 필로의 작품 3. 필로와 디아스포라에서의 사회생활 (Philo and Social Life in the Diaspora) 4. 필로와 신약성서 연구 (Philo and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5. 요약 참고문헌 토리 설랜드 (Torrey Seland) Philo And The New Testament: Exploring The Ways Earliest Christian Writing Was Influenced By The Work Of Philo Judaeus Philo And The New Testament: Exploring.. 2021. 5. 22.
랍비 문헌과 신약성서 (Rabbinic literature and the New Testament) 랍비 문헌과 신약성서 (Rabbinic literature and the New Testament) 들어가는 말 1. 랍비 문헌의 서론 미쉬나 토세프타 탈무드 미드라쉬 탈굼 2. 신약과 랍비 저술 (The New Testament and Rabbinic Writings) 예수의 성전에서의 행동 바울의 우상에 관한 교훈 나가는 말: 신약학을 위한 추론 브루스 칠턴 (Bruce Chilton) 들어가는 말 랍비 문학은 서기 70년 성전이 파괴된 후 이스라엘 종교의 지배적인 형태로서 랍비 유대교가 등장하면서 생겨났다. 그 때까지는 랍비 문학의 배후에 있던 구전 (oral traditions)의 기본 틀을 형성하였던 집단에 속한 교사들이 다른 집단들 - 제사장, 묵시적 교사들, 철학적 저자들, 분리주의자들-과 .. 2021. 5. 22.
신약에 나타난 기독론, 구원론, 성령론, 종말론 신약에 나타난 기독론, 구원론, 성령론, 종말론 1. 기독론 마태복음의 초점은 예수 그리스도이다. 그가 누구이시며 무슨 일을 하셨는지에 대해서는 그에게 주어진 여러 가지 호칭을 통해서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예수님의 탄생 시에 주어진 “예수”라는 이름은 “여호수아”라는 히브리 이름의 헬라식 명칭으로 “주가 구원하신다.”(the Lord saves)라는 뜻이며 “그리스도”는 “예수”와 마찬가지로 “기름부음 받은 자”라는 뜻을 가진 히브리 이름 “메시아”(Messiah)의 헬라식 표현이다. 즉 그는 하나님의 뜻을 수행하기 위해 그의 특별한 부르심을 받은 분이시다. 그 외 예수님의 호칭으로 다윗의 자손, 아브라함의 자손, 하나님의 아들, 인자, 주 등이 있는 가운데 “인자”(Son of Man)는 “하나님의.. 2021. 5. 18.
예수와 성전 -김세윤교수 예수와 성전 -김세윤교수 Ⅰ.서론 예수가 예루살렘에 있던 성전에 대해 취한 태도는 아주 독특하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그것은 그가 성전에 대하여 한 말-곧 당시의 성전의 파괴에 대한 예언과 새로운 성전을 짓겠다는 주장-이 그가 산헤드린에서 재판을 받을 때 죄목으로 내세워짐(막14:58/마26:61)을 보아서도 쉽게 짐작할 수있다. 그러나 이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고려하면 이 주제의 중요성을 곧 이해할 수 있다. 1.성전은 당시 유대교에서 예배와 삶의 중심이었으나 예수는 그의 공생애 동안 성전을 완전히 무시해 버렸다. 세 공관복음서들에 의하면 그가 그의 생애 끝에서야 한번 성전을 방문하였는데 그것도 제사에 참여하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2.예수는 성전에서 봉사하는 제사장도 아니면서 죄를 용.. 2021.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