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울서신176

구약에 나타난 남은 자 사상 구약에 나타난 남은 자 사상 1. 연구목적 “남은 자”는 종말론의 핵심적인 주제인 동시에 미래의 소망을 집약한 개념이다.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고 헬라어의 갖가지 용어가 남은 자의 다양한 사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 개념이 의미론적으로 한층 폭넓은 언어에 담겨있을 경우도 없지 않다. 특히 구약에서는 이 개념이 540회 이상 사용되었으며 고대 근동의 문헌들을 살펴보면, “남은 자 사상”은 수메르, 아카드, 힛타이트, 우가릿과 이집트 문화에도 있으며, 신화, 전설, 서사시, 예언, 기도, 찬송, 편지와 연대기 등 여러 문학 형식에 등장한다. 또한 개인, 가족, 씨족, 부족, 근대 민족과 전체 인류 등의 실체와도 연관되어 표출된다. 자연, 사회, 정치영역에 있어서 생명을 위협하는 현상의 다양함은 그 분야별로.. 2020. 4. 27.
남은자 사상 남은자 사상 ‘남은 자들’의 신학 [1] 남은 자(the ramnants)는 구약의 핵심 사상의 하나이다. 그리고 신약에서 사도바울에 의해 사용됨으로써 중요한 구원론적인 신학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남은 자”란 간단히 말해, 하나님의 구원 역사가 전개되어 나갈 때 인간의 불순종과 범죄로 인해 구원이 단절될 위기의 때에 하나님은 그 시대마다 모든 심판으로부터 보호하여 남겨두신 소수의 의인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사야가 말한 그루터기 또는 거룩한 씨(사 6:13)가 바로 이들을 가리키는데, 이 소수의 의인들을 통해 하나님은 당신의 구원역사를 계속 진행시키시며, 마침내 완성하신다. 그러므로 남은 자 사상은 기독교사관 및 종말론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2] 구약의 남은 자들 “밤나무, 상수리 나무가 베.. 2020. 4. 27.
로마서 9-11장 1. 로마서 9장 / 이스라엘의 선택 다음의 세 장은 이스라엘의 과거(9장), 현재(10장), 미래(11장)에 대한 영적인 역사를 다룬다. 바울의 목적은 하나님께서 어떻게 그의 선택한 백성을 제쳐두실 수 있었으며, 그리고 이방인을 위한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은 무엇이고, 미래의 어느 날 하나님은 이 민족을 어떻게 회복하실 것인가를 설명하는 데 있다. 1. 이스라엘의 선택에 대한 설명 (롬 9:1-13) 1) 선택으로 인한 축복들(1-5절)-우리는 이스라엘을 향한 바울의 진실한 부담감을 칭찬할 수밖에는 없다. 그의 말은 출애굽기 32장 31-32절의 모세를 상기시킨다. 우리는 잃어버린 영혼을 위하여 이러한 종류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가? 그리스도는 우리를 지극히 사랑하셔서 우리를 대신하여 저주를 받으셨다. .. 2020. 4. 27.
바울과 어거스틴 바울과 어거스틴 ◆ 바울 이후 신학을 가장 잘 집대성한 어거스틴....... 4세기가 낳은 대 성자 어거스틴은 고대 로마 교회가 낳은 4대 박사, 곧 히에로니무스, 암부르시우스, 어거스틴, 그레고리우 스 1세 가운데서 중에 제 1인자로 꼽히는 최대 인물이었다. 마니교를 위시해서 펠라기우스 .. 2020.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