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한복음 및 요한신학 106

새이스라엘 1 - 새 포도주 새 이스라엘 예수(2:1-11) - 가나의 혼인 잔치 요한복음 2장은 가나의 표적(2:1-11)과 연결 구절(2:12)과 성전 정화(2:13-22)와 연결구절(2:23-25)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두 주요 기사는 예수가 가나에서 행한 표적 사건과 예수의 예루살렘 성전 정화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두 사건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어떤 학자는 이것을 정결이라는 관점으로 연결시킨다. 전자에서 예수는 정결례 항아리의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키고, 후자에서 예수는 성전을 청결케 한다는 것이다. 요한복음 2장을 이러한 설정으로 보는 것도 의미 있는 것이지만 여기에서 더 중요한 모티브는 예수 이전의 중요한 예식(정결례)이나 예식 장소(성전)를 예수로 대체한다는 것이다. 결혼식에서 중요한 것이 포.. 2020. 6. 23.
생수의 근원이자 수여자이신 그리스도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의 만남 (4:1-42) 4.1. 만남과 대화(1-30절) 유대 지역에서 사역하던 예수는 바리새인들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갈릴리로 떠난다. 바리새인들은 예수와 세례 요한을 경쟁상대로 몰아 갈등을 조장하려 한다. 이들은 예수의 제자 삼는 사역과 세례 주는 사역-요한복음 저자는 이것이 예수의 사역이 아니라 그의 제자들이 한 것이라고 함-이 세례 요한의 그것보다 많다는 소문에 주목한다(1-3절). 이제 예수는 이들과 충돌을 피하려고 갈릴리로 떠나는데 그 중간 지역에 사마리아가 있었고 그곳을 통과해야만 했다(4절). 당시의 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들과의 반목으로 유대 지역에서 갈릴리로 갈 때 사마리아를 통과하지 않고 멀리 돌아갔는데 반해 예수는 하나님의 뜻 가운데 사마리아로 들.. 2020. 6. 23.
예수를 소개하다 예수에 대한 소개(1:19-51) 1. 세례요한 요한복음 서시 이후의 나머지 1장 부분은 2장에서부터 시작되는 표적을 통한 예수의 자기 계시에 앞서 세례 요한과 예수 자신에 의해서 예수가 소개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 세례 요한의 증언 1: “나는 메시아가 아니다.”( 1:19-28절) 요한복음에서 서시 이후의 첫 기사는 세례 요한에 대한 것이다. 요한복음 저자는 세례 요한에 대한 내용이 저자가 임의로 판단한 내용이 아니라 첫 문장을 “그리고 이것이 요한의 증언이다”라는 말로 시작함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내용이 세례 요한 자신의 증언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19a절). 세례 요한의 증언이 강조되어 있는 것은 이 문맥의 끝에서도 이 내용이 다시 한번 나오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34절). 세례 요.. 2020. 6. 23.
에필로그(21장) 에필로그(21장) 1. 내용 구성 보수와 진보, 서구와 동양, 남녀를 막론하여 신약성서학을 하는 학자들이 공통으로 인정하는 이론은 어떤 것이 있을까? 모든 학자들이 네슬-알란트 27판을 사용하여 학문을 함에도 불구하고-물론 본문비평에 의해서 그 정확한 본문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신약 성서학자들이 공통으로 동의하는 이론적 토대는 갈수록 희박해져 간다. 역사비평적 주석 방법과 (신)문학비평적 주석방법 같은 주석 방법론적 상이함에서부터 여성신학적 읽기과 민중신학적 읽기과 같은 이데올로기적 성서해석에 이르기까지 학자들의 성서 연구 방법론의 차이는 서로가 무슨 말을 하는지를 이해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그래서 수년 전 헹엘(M. Hengel)이 신약학회(SNTS) 회장 취임 .. 2020.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