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수님 50

'결코'와 '항상' 사이 '결코'와 '항상' 사이 “되찾은 아들의 비유”(누가 15,11-32) - 4 돌아온 탕자(Rembrandt,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1669, The Hermitage, St. Petersbur, Russia“되찾은 아들의 비유”의 후반부가 시작되는 루카 15,25에서 마침내 큰 아들이 등장한다. 작은 아들이 아버지에게로 다시 돌아왔을 때 큰 아들은 들에 나가 있었다. 그는 집 가까이에서 잔치 소리를 “들었다.” 그저 그는 잔치 소리를 들을 뿐이다. 26절에서 큰 아들은 집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그와 아버지의 집 사이에는 하나의 경계가 존재한다. 그 경계는 큰 아들 자신이 설정한 것이다. 이것은 큰 아들과 아버지, 그리고 큰 아들과 작은 아들 사이의 경계이기도 한다.. 2020. 3. 16.
하나님의 아들이 받은 십자가형 하나님의 아들이 받은 십자가형… ▲ 인류사에서 가장 참혹했던 형벌 십자가 (사진제공: Jesus Christ Wallpapers) 가장 치욕적이고 오랜 고통 줘 근육경련 호흡곤란으로 질식사 십자가형에 대해 로마의 치체로(Cicero)는 가장 잔인하고 혹독한 형벌이라고 언급했다. 로마제국은 기원전 1세기 말에 식민 통치의 방법으로 광범위한 규모로 십자가형을 적용했다. 처음에는 노예들을 나무에 묶어 놓고 고통을 주는 체벌이었지만 기원후 1세기부터 로마 제국에 대항해 폭동이나 반란을 선동한 자들에 대한 처형 방법으로 바뀌었고, 로마의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노예들과 피지배자들에게만 이 형벌을 적용했다. 십자가형은 신체의 중요 부분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사형수를 발가벗겨 십자가 형태로 세운 기둥에 양손과 .. 2020. 3. 16.
"경쟁 보다는 연대를, 이윤 보다는 인간을 예수, "경쟁 보다는 연대를, 이윤 보다는 인간을 “선한 포도밭 주인의 비유”(마태 20,1-16) - 2 빈센트 반 고흐 포도밭에 맨 먼저 고용된 일꾼들과 주인이 생각한 정의는 달랐다. 주인은 장터에 나가 하는 일 없이 서 있는 일용 노동자를 고용한다. 주인은 장터에서 고용되지 못한 이들에게 일자리를 주고 생존의 기회를 주는 자비로운 사람이다.하루 품삯 없이는 맨 나중에 고용된 사람은 살아갈 수 없다. 일몰이 다가오는 오후 다섯 시에도 고용되지 못해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주인은 그를 고용하고 한 데나리온을 준다. 주인은 선하다. 그는 가난한 이를 배려한다. 마지막 사람에게도 하루 양식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주인의 정의는 마지막 사람에게도 고용의 기회를 주고 동일한 품삯으로써 생.. 2020. 3. 16.
왜 예수님의 탄생기록들이 이토록 다른가? 왜 예수님의 탄생기록들이 이토록 다른가? 예수님의 동정녀 탄생에 관한 기록은 네 복음서 중에서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만 나온다. 동정녀 탄생은 사도신경에서도 언급될 만큼 아주 중요한 교리인데도 불구하고 마가복음과 요한복음에는 나오지 않는다. 특히 공관복음이라고 부르는 마태, 마가, 누가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에 관한 기록이 비슷하다고 말하는데, 왜 동정녀 탄생이 마가복음에는 나오지 않는가? 그리고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오는 두 가지 예수님의 탄생기록이 아주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성서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두 복음서에 기록된 동정녀 탄생 이야기에서 예수님의 출생 연대가 서로 다르다고 한다. 예수님이 헤롯 왕 시대에 태어난 것으로 언급된 마태복음에서는 헤롯이 기원전 4년에 죽었기 때문에, 예수님.. 2020.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