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시대 금화, 한 닢에 8억원..'역대 최고액'
로마시대 제작된 금화 한 닢이 48만 파운드(약 8억2000만원)에 낙찰됐다/ 사진=Dix Noonan Webb |






2000년 전 만들어진 금화 한 닢이 8억 원이 넘는 고가에 낙찰됐다.
28일 아메리카온라인(AOL)에 따르면 지난 23일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 즉위 시절(BC27~18) 제작된 금화 한 닢이 48만 파운드(약 8억2000만원)에 낙찰됐다.
금화 앞면에는 아우구스투스의 초상화가 조각돼 있고 뒷면에는 그리스 조각가가 새긴 어린 암소가 새겨져 있다.
보도에 따르면 당시 만들어진 금화는 22개에 불과하다. 그중 15개는 박물관에 소장 중이고 나머지 7개는 개인이 보관하고 있다.
이번에 낙찰된 금화는 개인이 소장한 7개 금화 중 하나로 이때껏 경매에 나온 금화 중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하다.
런던 유명 경매업체 딕스 누넌 웹(Dix Noonan Webb)은 "(제작된 지) 200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뛰어난 예술성과 정교함을 간직하고 있다"며 "금화가 제작된 정확한 시기와 장소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이전 로마금화와 달리 매우 특별한 것임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경매가 열리기 전 전문가들이 예상한 낙찰가는 30만 파운드(약 5억1000만원). 하지만 실제 낙찰가는 48만 파운드(약 8억2000만원)로 전문가들의 예상가를 1.5배 이상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이번 낙찰가가 역대 경매에 나온 로마금화 중 가장 높은 값이라고 전했다
세상에서 가장 비싼 로마시대의 동전
사실상 거의 알려지지 않은 로마의 통치자 ‘도미티아누스(Domitianus)
대략 AD 270년경에 짬깐 동안 권력을 잡았던 도미아누스의 얼굴이 새겨져 있는 동전은
세상에 단 2개 밖에 남아있지않다.
이 동전 2개는 가격으로 각 15억 20억씩 경매에 나왔다고한다.


20억원짜리 동전... 있다
한국의 옛날 주화 수집가들에겐 '꿈의 동전'이 있다. 광무 10년(서기 1906년)에 만들어진 20원, 10원, 5원짜리 '주화 3종 세트'. 현재 수십 개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 금화 1세트의 가격은 무려 3억원. 어지간한 도시에서 50~60평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금액이다.
그렇다면, 세계 가장 비싼 동전은 어떤 것이고 그 가격은 얼마나 될까? 놀라지 마시라. 서기 270년경 아주 짧은 기간 동안 로마를 통치한 황제 도미티아누스. 그의 얼굴이 양각된 주화는 가격이 15억원을 넘어선다. 이 동전은 현재 지구상에 2개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전 하나 값이 지방 서민아파트 30채 가격을 훌쩍 넘어서는 것이다.
옛날 동전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하러 간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고전사(古錢社). 33년간 한 자리를 지키며 옛 동전을 수집하고 판매해온 최윤봉(81) 옹은 담담한 목소리로 동전에 얽힌 갖가지 이야기를 들려줬다.
1633년 처음으로 제조가 시작돼 고종 25년(1888년)까지 사용된 상평통보. 전국적으로 유통된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인 상평통보는 그 종류만도 3천여 종에 이른다. 상평통보를 포함해 최옹이 가지고 있는 엽전의 종류는 3천여 종. 옛날 동전 수집 33년의 이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에 사용된 이른바 '근대주화'. 1푼과 5푼, 1전, 5전, 10전짜리 동전 역시 최옹은 100여종을 보유하고 잇다. 이 역시 당시 생산된 주전(鑄錢)의 전 종류를 아우르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정도의 고가는 아니지만, 만만찮은 가격을 자랑하는 동전이 또 있다. 고종황제 시절 제조된 1원짜리 은화와 5냥짜리 은화가 바로 그것. 둘의 가격은 각각 3천만원과 300만원을 호가한다. 중소기업 대리의 연봉 혹은, 월급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최옹은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동전의 조건을 "희소성과 보존성"이라 말한다.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아무리 희귀한 것이라도 망치로 때린 자국이 있으면 말짱 도루묵이고, 더없이 깨끗한 형태를 지니고 있더라도 흔해빠진 것이면 비쌀 턱이 없다"는 것이다.
최옹이 기억하는 가장 인상적인 손님은 열성적으로 옛날 동전과 지전(紙錢)을 수집하던 한 여중생. 1970년대 후반 고전사를 제 집 안방 드나들 듯 찾던 수집열에 감동한 여학생의 엄마는 곗돈을 타서 딸의 소원을 들어줬다. 갖가지 주화와 지폐를 맘껏 살 수 있도록 허락한 것.
아이의 정열과 자식의 취미를 묵살하지 않은 엄마의 너그러움에 최옹 역시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여러 종류의 돈을 여중생에게 판매했다. 그리고, 26~27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 때 1만원 정도에 판매한 동전 중엔 지금 200~300만원을 훌쩍 넘어서는 것들도 있다.
지금은 사십대 중반이 됐을 그 여학생이 당시 수집했던 동전들만 팔아도 제 딸의 혼수비용을 거뜬히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옹이 유쾌하게 웃었다.
옛날 돈을 거래하는 가게가 한 때는 인사동에만도 5~6 군데였지만 지금은 딱 2곳만이 남았다. 현재는 회현 지하상가의 옛날 돈 가게 대여섯 곳이 동전과 지폐수집가들의 갈증을 해소해주고 있는 형국이다.
"물건(주화와 지전)이 귀해졌고, 경기도 좋지 않으며, 이익을 남기기 힘든 장사"인지라 비싼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하나 둘 사라지고 있는 것. 하지만, 어려운 상황임에도 최옹의 표정은 밝았다. 그건 돈에 집착하는 사람이 아닌, 돈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있는 사람만이 지을 수 있는 미소였다.
The Flavian Dynasty


For the Victory in Judea
Vespasianus and his 2 sons, Titus and Domitianus











For Domitianus Victory in Germania, the reclining River Rhine, and below the mourning Germania
게르마니아의 도미티아누스 승리, 라인강의 기울어진 강, 그리고 애도하는 게르마니아 아래


more Sesterti of Domitianus

Vespasian Junior, Son of Domitian on Provincial coin of Smyrna

To the Adoptive Emperors, the Golden Age

The jubilee spectacles were organized at the centenaries of the foundation of Rome, and the majority of the first emperors made every effort to invent some computation of the time which proved that the anniversary occurred exactly during their rule. This centenary of Rome was thus celebrated by a number of subsequent Caesars. The spectacles of A.D. 88, especially lavishly organized by Domitian, were even remembered by Suetonius and Martial.
100주년은 여러 차례의 카이사르들에 의해 기념되었다.서기 88의 안경, 특히 도미티아누스가 호화롭게 조직한 안경은 수에토니우스와 무술에 의해 기억되기도 했다.

The rhinoceroses on these coins remarkably resemble the drawing of Durer. They have a conspicuous “second horn,” the “dragon-wing pattern” on the “side piece of their armor,” and, in general, the animal’s posture, legs and the structure of its “armor” are just like that of the papal rhinoceros. Is it possible that Durer supplied from the coins of Domitian for the eventual faults of the sketch of Fernandes? His friend, the Augsburg humanist, antiquarian and imperial councillor Conrad Peutinger with whom they worked together on a number of imperial art commissions ? Peutinger on the program and Durer on the execution ? was one of the most renowned collectors of coins of his age, composing in 1511 the first manuscript catalog of the images and titles of Roman emperors on ancient coins. It is highly possible that at least one of the above two coins ? if I may have a preference, then the golden one with the dragon-wing pattern ? was there in his collection, and that the drawing of Durer was thus made on the model of a Roman rhinoceros indeed: however, this rhinoceros arrived to Rome one and a half thousand years before the other one left Lisbon.
이 동전의 코뿔소는 뒤러의 그림과 현저하게 닮았다. 그들은 ‘두 번째 뿔’, ‘장갑의 옆부분’에 ‘드래곤 날개 무늬’를 두드러지게 하고, 일반적으로 동물의 자세와 다리, 그리고 ‘장갑’의 구조는 교황 코뿔소의 구조와 똑같다. 뒤러가 페르난데스의 스케치의 궁극적인 결함을 위해 도미티안의 동전에서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는가? 그의 친구인 아우크스부르크 인본주의자, 골동품주의자, 황실의 콘라드 푸팅거 의원은 그들이 함께 많은 제국 미술 위원회를 위해 일했는데, 이 위원회는 프로그램에 대한 푸팅거와 처형에 관한 뒤러 등 그의 시대의 동전의 가장 유명한 수집가 중 한 명으로, 1511년에 고대 동전에 대한 로마 황제의 이미지와 칭호의 첫 번째 원고 카탈로그를 작곡했다.위의 두 동전 중 적어도 하나는 - 내가 선호할 수 있다면, 용 날개 패턴을 가진 황금 동전이 그의 컬렉션에 있었고, 따라서 뒤레르의 그림은 로마 코뿔소의 모델에 만들어 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 코뿔소는 다른 코뿔소가 리스본을 떠나기 1년 반 전에 로마에 도착했다.
How good it would be to finish this post here and, sitting back with a laurel placed on our own head, have a good sip of the well deserved Falernum wine! However, there is a small matter left yet.
이 자리를 마치고 우리 머리에 월계수를 얹은 채 앉아, 잘 어울리는 팔레르눔 와인을 한 모금 마시는 것이 얼마나 좋을까!하지만 아직은 작은 문제가 남아 있다.
In the second volume of the standard modern catalog Roman Imperial Coinage, in chapter “Domitian” we find the following coins with catalog numbers RIC 249 (434) and 250 (435):
표준 현대 카탈로그 로마 제국 동전의 두 번째 권에서 "도미티안"장에서는 카탈로그 번호 RIC 249 (434)와 250 (435)을 가진 다음 동전을 찾습니다





These ones are certainly identical with the bronze coins presented by Morellius, also because there are no more bronze coins with the image of rhinoceros in the whole RIC.이 동전들은 모렐리우스가 제시한 청동 동전과 확실히 동일하다. 또한 RIC 전체에 코뿔소의 이미지를 가진 청동 동전이 더 이상 없기 때문이다.
However, these are very different both from Durer’s drawing and from their own representation in Morellius. They do not have the “second horn” protruding from between their shoulder-blades, they have no “armor” like them, and even their legs are thin like those of cattles and horses on contemporary coins, thus attesting that the artists already at that time adjusted to their accepted visual schemes what they saw.그러나 이들은 뒤러의 그림과 모렐리우스에서의 자신의 표현과는 매우 다릅니다.그들은 어깨뼈 사이에 ‘두 번째 뿔’이 튀어나오지 않고, 그들처럼 ‘무기’가 없으며, 심지어 다리도 현대 동전에 소나 말처럼 가늘기 때문에, 그 당시 예술가들은 이미 그들이 본 것을 수용한 시각적 계획에 적응했음을 증명한다
And the other coin, the golden one with the dragon-wing pattern does not even figure in the RIC.그리고 다른 동전은, 용의 날개 무늬를 가진 황금 동전은 RIC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This fact in itself does not mean that it has never existed. At least Morellius must have seen a copy of it. The RIC is continuously being enlarged, but it is still far from complete. The Imperatorum Romanorum numismata (1730) of Franciscus Mediobarbus Biragus, for example, also remembers a coin issued in the same year of A.D. 88 with the representation of a rhinoceros and an elephant together. The RIC does not know about anything like this either. A large Roman golden coin issued in Egypt with a Greek inscription was certainly a rare item. The one copied by Morellius could have been also lost or it may be hidden somewhere.
이 사실 자체가 그것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모렐리우스는 그 사본을 본 게 틀림없었다. RIC는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프란치스코스 메디오바르부스 비라거스의 임페라토룸 로마노룸 누미스타(1730)도 같은 해에 발행된 동전을 기억하고 있다. 88년, 코뿔소와 코끼리를 함께 표현한 동전. RIC도 이런 것에 대해 전혀 모른다. 이집트에서 그리스어로 된 비문이 새겨진 커다란 로마 금화는 확실히 드문 물건이었다.모렐리우스가 복사한 동전도 잃어버렸거나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지도 모른다
However, at the sight of the bronze coins a suspicion arises: did he copy the golden one correctly? Was it not the case which seems to have happened to the bronze ones: that he adjusted the drawing of the Roman coin to the engraving of Durer as an “authentic representation”?그러나 청동 동전을 볼 때 의심이 일어납니다. 그는 황금 동전을 올바르게 복사 했습니까?청동 동전에 일어난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아니었습니까? 그는 로마 동전의 그림을 뒤레르의 판화에 "진정한 표현"으로 조정한 것이었나요?
As the purpose of our present series “Rhinocerology or the power of images” is not to define the exact models of Durer’s image, but to offer an inside view into the “hidden life,” the mutual attractions and assimilations of Renaissance images, therefore we will be just as satisfied if it will turn out that it was not Durer who used Domitian’s coins as his models, but Morellius adjusted his representations of the coins to the engraving of Durer which was, in its turn, made after another indirect model. In this case it will be not Durer’s image to display a Roman rhinoceros that lived a thousand and five hundred years earlier, but the drawing of Domitian’s coin will represent the animal of Lisbon which was born a thousand and five hundred years after the issue of the coin itself.
현재 시리즈 "리노세로지 또는 이미지의 힘"의 목적은 뒤러의 이미지의 정확한 모델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르네상스 이미지의 상호 매력과 동화인 "숨겨진 삶"에 대한 내부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미티안의 동전을 그의 모델로 사용한 뒤러가 아니라 모렐이라는 것이 밝혀지면 우리는 만족할 것이다. 우스는 동전에 대한 자신의 표현을 뒤러의 판화로 조정했는데, 뒤러는 또 다른 간접적인 모델을 따라 만들어졌다.이 경우, 천 년 전과 500년 전에 살았던 로마 코뿔소를 전시하는 것은 뒤러의 이미지가 아닐 것이지만, 도미티아누스 동전의 그림은 동전 자체의 문제 이후 천 5,000년 후에 태어난 리스본의 동물을 대표할 것이다
Zhuangzi dreamed of being
a butterfly or the butterfly
dreamed of being Zhuangzi, albeit
a difference between Zhuangzi and the butterfly
certainly there is
그리고 지금은 그 이유를 모르겠어
장자는 존재하기를 꿈꿨다.
나비나 나비
장자가 되는 꿈을 꾸었지만
장자와 나비의 차이
확실히 있습니다
|
||||||
|
'성서시대의 유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한 과부의 헌금(막 12:41-44) (0) | 2020.03.20 |
---|---|
로마 금화 (0) | 2020.03.20 |
이집트의 재앙을 기록한 이집트인이 쓴 출애굽기 (0) | 2020.03.16 |
가나안 땅에서 벌어진 정복 전쟁의 증거들 (0) | 2020.03.16 |
“창세기 에덴동산과 네강의 생생한 흔적” (0) | 202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