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곱을 축복하는 이삭
족장시대와 고대 근동의 사회상의 비교
성경속의 족장시대 사회상은 그 풍습이 사라지고, 설명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오늘날 이해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으나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이해에 큰 도움을
주었다. 창세기에 기록된 족장기사의 순서대로 사회관습 중심으로 예를 살펴보겠다.
1. 히브리인 아브라함 (창14:13, 마리문서)
아브람은 창세기 14장 13절에서 처음으로 히브리인이라고 언급된다.
1)그런데 마리문서등의 고문서들은 시대적 배경, 명칭의 사용에 있어서의 공통점으로 보아 최소한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하비루란 집단이라기 보다는 사회적 법적 지위를 표시하는 용어로 생각된다.
⍚히브리란 말도 하비루와 같이 특정 인종 집단이 아닌 외국인으로서 사회적 지위를 나타낼 때 쓰여진 것이라 볼 수 있다.
2) 알랄리크 문서를 통해 당시 족장들은 유목이나 반유목 형태로 본향에서부터의 이동과 애굽으로의 여행 등이 가능하였던 것을 짐작 할 수 있다.
2.둘째, 양자 상속법이다 ( 창세기 15장,누지문서 )
아브라함이 외인 출신의 종인 엘리에셀로 상속자를 삼으려는 부분이 나오는데 누지 문서에 의하면 자녀가 없는 부부가 양자삼는 관습이 있다. 그 양자는 양부모가 사는
동안 그들을 부양하고 죽은 후 명예로운 장례를 치러주는 한 편 재산을 상속받게 된다. 그러나 후에 양부모에게 자식이 태어나면 장자 상속권이 그에게로 넘어가는 것이
누지의 법이다.
3.셋째, 고대의 계약 체결 의식이다 (창15, 마리문서)
창세기 15장에 아브람이 짐승을 잡아 쪼갠 것을 마주 대하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것은 고대 근동에 짐승을 잡아 쪼개어 통상적 계약을 체결하는 마리 문서의 내용과 유사하다. 즉, 계약을 파기하면 자신의 몸도 동강날 것과 그 시체가 공중의 새들과 땅 짐승의 식물이 될 것(렘34:20)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4.넷째, 첩을 통한 후사 생산이다
누지문서에는 켈림니누가 아들이 없을 때 남편이 쉔니마에게 다른 아내를 얻어주는 것과 그 여인이 자식을 낳으면 그 자손을 쫓아버리지 말아야 한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러나, 아브람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지법보다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랐다. (창21:12)
5.다섯째, 장자권 매매이다 (누지문서)
야곱에게 장자권을 판 것은 나쁜 행동이지만 누지문서에는 친형제가 아닌 양자에게 장자권이 이전된 것과 장자권을 파는 댓가로 양 세 마리를 받은 얘기가 나온다.
6.여섯째, 구두 축복의 효력이다 (창세기27장33절)
누지에는 야곱이 계교를 써서 형 에서가 받을 축복을 가로채고 그것을 안 이삭이
그 효력이 유효함을 언급한 내용이 나온다. 그것은 누지사회에서 통상적인 것이었다.
7.일곱째, 가신상의 역할이다 (누지)
창세기 31장에 나오는 작은 목신상(드라빔)은, 누지법에 의하면 성공적인 인생과
가산상속을 보장해 주는 물건이다. 누지문서에 의하면 양자가 되면 재산상속이 가능하고, 후에 양자의 아들이 태어나면 재산은 나눠같지만 드라빔의 소유권을 상실하게 된다. 본문은 라반이 야곱을 양자로 삼은 후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이 야곱을 시기하는 모습이다. 그러므로, 라반이 야곱을 양자로 겸 사위로 삼아 야곱의 위상이 높아 졌으나, 라반과 아들들의 태도가 돌변하자, 야곱은 불만을 품고, 라헬은 드라빔을 훔친 후 도주했다. 그러니, 길르앗산에서 야곱을 따라잡은 라반은 드라빔을 찾기에 분주했다는 추측이 나온다.
8.여덟째, 양부의 권한이다
창31:43에서 라반이 모든 소유가 자기 것이라한 것은 이기적이고 탐욕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누지법에서는 합법적이다.
9.아홉째, 양자의 축첩(蓄妾)금지 (누지 )
창31:50에 라반은 그의 딸들과 작별하기에 앞서 야곱에 딸들을 잘 대우해 줄 것을 당부한다. 누지법에 의하면 양자 사위가 다른 아내를 얻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어서 야곱이 다른 아내를 얻는 것은 범죄행위가 되는 것이다.
10.열 번째, 세겜인과 계약형식에 관한 것이다
한 예로 당나귀를 죽임으로써 개인이나 국가간에 조약을 체결하는 관습은 족장시대와 그 이후에도 이스라엘에서 유행했던 관습이었다. 나귀를 죽이는 것은 계약체결에 수반되는 희생제사를 가리킨다. 세겜인들은 하몰의 아들들, 곧 나귀의 아들로 불러졌고, 그들의 부족신은 계약의 주였다. 이들 증거로 볼때 세겜인들은 계약에 의해 이스라엘로 편입되어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11.열한 번째, 장자의 임의지명이다 (알랄리크)
혈통적 장자를 무시하고 임의로 장자를 세우는 일은 알랄리크 문서에 나타난다. 기원전 15세기에 속하는 혼인 계약을 보면 아버지가 장자 상속법을 무시하고 새로이 장자를 지명할 수 있다는 기록이 나온다.
12. 구두유언의 효력이다 (누지문서)
말로 한 축복과 유언도 동일한 효력을 갖고 있었다. 누지 문서에서는 한 건의 소송사건에서 구두유언의 효력을 인정해 주는 판결을 내린 적이 있어서 당시의 높은 도덕 수준을 짐작케 해준다. 야곱의 유언은 다윗 왕조의 성립으로 성취가 되고 창세기 49장에 기록된 다른 아들들에 대한 유언도 동일한 효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한상인, 「족장시대의 고고학 」)
*지금까지 살펴본 12가지의 사실들에서 우리는 족장시대의 사회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구약시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이상의 내용을 도표로 그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족장들과 고대문서의 관련 도표
번호 |
내용 |
성경 |
고대문서 |
비고 |
1 |
히브리인 아브라함 |
창14장 |
마리. 알라리크 |
아브라함 관련 |
2 |
양자 상속법 |
창15장 |
누지 |
|
3 |
계약의식 체결 |
|
마리문서 |
|
4 |
첩을 통한 후사 생산 |
|
누지 문서 |
|
5 |
장자권 매매 |
|
누지 |
야곱 관련 |
6 |
구두축복 유효 |
|
누지 |
|
7 |
가신상의 역할 |
|
누지 |
|
8 |
양부의 권한 |
|
누지 |
|
9 |
양자의 축첩의 금지 |
|
누지 |
|
10 |
세겜인과의 계약 |
|
|
|
11 |
장자 임의 지명 |
|
알랄리크 문서 |
|
12 |
구두유언의 유효 |
|
누지 |
|
'성경과 신학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지주의 (0) | 2011.02.22 |
---|---|
성경 넌센스 퀴즈 (0) | 2011.02.19 |
성경원본과 사본은 일치하는가? (0) | 2010.07.06 |
최고의 법 (0) | 2010.07.03 |
◆ 성령의 여러 가지 사역◆ (0) | 201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