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시대의 기록 문화(Writing and Inscriptions)
엄밀한 의미에서 역사시대는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서기전 3300년경부터 시작되며 그 이전 시대를 선사 시대라고 부른다. 초창기의 문자들은 매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두스(Indus) 유역등지에서 그림문자로 시작하였고 동양 최초의 문자인 중국의 한자도 모두가 상형 문자로 시작되었다.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문자인 수메르어 (Sumerian)는 시대가 지남에 따라 기록의 재질인 토판에 뽀족한 갈대 펜으로 그림의 윤곽을 쉽게 그릴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짧은 선을 연결한 스케치 형태로 발전되었고 각 선들의 패인 형태가 삼각형 모양을 띠기 때문에 쐐기문자(cuneiform)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집트에서는 최초의 그림문자, 또는 상형문자(hieroglyph)는 주로 신전 벽이나 석비에 새겨지거나 무덤의 벽화에 그려지는 방식으로 후대에까지 이어져 내려왔고 파피루스에 갈대 펜 등으로 쉽게 쓸 수 있는 일종의 흘림체로서 초서체(hieratic)와 속기체(demotic)가 후대에 발전되어서 같이 사용되었다. 고대 이스라엘 지역에서는 이집트의 상형문자나 메소포타미아의 쐐기문자 등을 사용하다가 서기전 17-16세기경 알파벳의 발명을 계기로 독자적인 문자를 통한 문학과 기록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서양 알파벳의 기원이기도 한 고대 이스라엘의 알파벳은 이집트 상형문자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25개 정도의 그림에 자기들이 부르는 명칭의 첫 발음의 음가를 부여한 일종의 소리글자(phonetic)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러한 가나안의 알파벳이 페니키아 민족에 의해 지중해 지역으로 퍼졌고 배우기 쉽고 쓰기에 간편한 소리글자 알파벳의 영향으로 민중 문학이 발달하여 호메로스(Homeros)의 작품이나 구약성서 등의 경우와 같이 비교적 기록 문학의 전통이 희박한 곳에서도 장편의 저작이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구약 시대 최초의 성서는 서기전 1000년경 예루살렘의 궁전 부속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서기관들이 제사장이나 예언자들의 지도에 따라 파피루스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대부분 쉽게 불에 타 없어지고 지금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된 성서는 1947년 사해 북서변의 쿰란(Qumran) 동굴들에서 발견된 서기전 100년경 기록된 양피지 두루마리이다. 성서 시대의 기록물은 파피루스나 양피지(parchment), 석비(stela), 금속판 외에도 여러 종류의 도장, 그리고 토기 조각 기록인 오스트라콘(ostracon), 나아가 일종의 주술적인 기능으로 기록된 주문 사발(magic bowl)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기록물들은 금석문학(epigraphy), 또는 고문자학(paleography)을 통하여 연구하게 되며 글의 내용 외에도 글자의 형태에 따라 기록의 연대를 추정하게 된다.
킬라무(Kilamu) 석비
서기전 800년경 오늘날의 시리아 북부와 터키 접경지역인 야디 사말(진지를리)을 통치하던 킬라무 왕의 기념비로서 당시 가장 발달된 페니키아어의 진수를 보여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다. 모두 22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된 페니키아어 비문은 점으로 표시한 단어 나눔표(word divider) 때문에 문장의 의미를 비교적 쉽게 해독 할 수 있다. 독일 베를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석비는 하야(Haya)의 아들 킬라무가 영토를 넓혀서 왕권을 굳건히 하는 공적이 기록되어 있다.
남부아랍어 석비(South Arabic Stela)
15.6*16.6 센티미터
서기 3-5세기
1)헴-셈 어족(Hamito-semitic language): 아프로- 아시아어족
1-1)아프로-아시아어족(afro-asiatic language family).
//Afro-Asiatic languges(아프로-아시아 언어들)은 Semitic, Berber, Cushitic, Egyptian, and Chadic 등의 하위(branchs) 언어들을 포함한다. 이 어군의 약 250 여개 하위 언어들(member)들 중 부분은 Chadic(120-150 여 개의 언어들)와 Cushitic(약 50 여 개)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fro-)-A(siatic)언어들은 오늘날 중동과 북 아프리카를 차지하고 있다. 개관을 위해서는 D.Cohen(1968)을 참조하자.
과거 40 년 동안 학자들은 셈어(Semitic)와 헴어(Hamitic)로의 두 겹 구분을 거부 해 왔다. 본디 헤미틱(헴어)은 Berber, Cushtic, Egyptian, 그리고 Chadic 일부 그리고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지금은 AA로 간주되지 않는) 다른 아프리카 언어들을 때로는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됐다. '헴어' 라는 용어는 이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비록 그 어족 전체가 때로 (드물게는 'Semito-Hemito'로) 여전히 '헴어-셈어'로 지시되기는 해도 말이다. 그 전체를 위한 새로운 이름들 곧 Afrasia와 Erythraic과 Lisamic 등은 거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남서부 에디오피아의 Omotic 언어는 주(主) AA의 다른 종(從) 언어를 구성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전통계학에 근거한 가정은 이제 정확치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언어들은 새롭게 된 서쪽 Cushitic로 다시 분류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주로 수단에서 말해지는 북 Cushitic Beja 어를 AA의 다른 주요한 독립된 종(가지, branch, 從) 언어로 분류하려는 시도들 역시 인정받지 못한다. 가지 언어 Berber는 때로 'Libyco-Berber' 또는 'Berber-Libyan'이라고 불리우나, 이런 용법은 정당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소위 리비아 비문(inscriptions)들의 언어는 Berber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Berber에 기껏해야 부분적인 연결을 보여주는 카나리아(Canary) 섬의 소멸된 Cuanche처럼 빈약하게 입증된다.
AA의 주요한 다섯 가지(하위 언어)들은 똑 같이 병행한다는 것에 한 넓은 합의가 있지만, 그 하위 셈어는 Berber와 더 가까울 것이다. 이것들 양자(兩者)는 다소 더 먼 Cushtic에 연관되면서 말이다. 결과하는 그룹은 결국 이집트어에 근접한다. 여태까지 부분적으로만 설명됐던 Chadic은 AA의 가장 먼 가지라고 임시방편적으로 숙고될 수 있을 것이다.
헴-셈어(아프로-아시아 언어)은 그것의 셈어 가지들이 인접 아시아지역으로 넓어지는 동안 북 아프리카 모든 지역을 덮는다. 그것은 다섯 가지들로 구성된다.
ㄱ)카나리아 섬과 사하라의 Tuareg에 이르는, 이집트를 제외한 북 아프리가 모두에서 이전에 말해졌던 Berber어는 지금은 모로코와 알제리와 사라하 사막 일부로 부분 한정된다. 리비아어로 알려졌던, 고 베르베르 족의 비문들은 카르타고의 페니키아 인들의 그것들로부터 아마 파생됐을 알파벳들로 쓰여진 채 발견된다. 이런 알파벳은 여전히 사용 중에 있다.
ㄴ)그리이스어로부터 파생된 알파벳으로 쓰여진 곱트어라고 말해지는 것의 후기 형태 속에서 알려졌던, 그리고 상형문자 비문들로부터도 알려졌던 고 이집트어. 이집트 고어는 지금 소멸됐다.
ㄷ)
북아프라카를 지금 점령하고 있는 아랍어를 포함하는 셈어와 그리고 에디오피아인들의 셈어 그리고 마찬가지로 서 아시아의 언어들. 에디오피아 셈어는 보통 Tigre와 Tigrinya 등의 북쪽 언어와 Amharic와 Gurge방언들과 Gafat와 그리고 남부 에디오피아 Harar의 무슬림 중심지의 언어 Harari 등의 남쪽 언어로 구분된다.
ㄹ)에디오피아와와 그 인근 지역에서 말해지는 Chushitic. Chustic은 다섯 언어그룹으로 구성된다: ㄹ-1)Beja, ㄹ-2)Agau 그룹, ㄹ-3)동부 Chushitic(Galla, Somali, Afar, 동부Sidamo, Konso, Arbore, Geleba), ㄹ-4)서부 Chushitic(Kaffa 그룹), ㄹ-5)남부 Chushitic(Tanganyika의 Mbugu와 Mbulunge).
ㅁ) 북 나이지리아와 그 주위 지역의 Chad 언어들. 이 차드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단지 임 시적으로만 설정될 수 있을 큰 그룹인 Hausa어이다.
아프리카-아시아 어족에 관한, 또는 심어지 Berber 혹은 Cushitic 혹은Chadic에 관한 비교문법은 현재까지 없다. 가장 중요한 일반적인 개괄은 여전히 Diakonoff(1965)이다. M.Cohen(1947)의 개척적인 작업과는 별도의, 포괄적인 첫 사전은 Diakonoff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편찬됐었지만 여전히 1988 년 후반기에도 출간됐다. 셈어, 특히 아카디아어와 고전 아랍어가 가장 오래됐다 (archaic). 즉 AA 원형(proto-AA stage)에 가깝다. Berber 족의 하위 가지인 Tuareg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그리고 Cushitic 족의 Beja와 Afra-Saho가 오래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집트어는 고어체들(archaisms)을 많이 갖었지만 그것의 동사 체계는 철저히 재 구성됐다. 비록 이런 해석은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것이 아니지만 말이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Chadic 언어는 혁신적인 것처럼 보인다.//
헴-셈 족의 말(speech)이 지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ㄱ)억양(tone)의 부재. 그러나 차드어 일부 또는 모두는 이웃 언어들의 영향으로 인한 억약체계들을 획득했다. ㄴ)문법적인 성(gender)--Shilh(Berber): 남성 idilli, 여성 t-idilli-t(검음); Hausa(Chad): yazo(he came), tazo(she came). ㄷ)접미어와 내재적인 특히 -a의 변화와 부분적인 반복을 포함한 명사 복수 형성에 있어서의 다양화. Shilh(Berber): iliwi, pl. ilawan(thorn); Logone(Chad): ngun, pl. ngwaren(belly). Hebrew(Semitic): `?r, pl. `
// AA에 공통인 주요 형태론적 요소들은 인칭명사들이다-아래 도표 참조. 즉 인칭명사 독립형들과 접미형들이 직접목적어 또는 소유격으로서 사용되며 그리고 동사 어근의 앞과 끝에 붙는다는 (접두되고 접미돤다는)것. 두드러지게 일정한 형식을 지니는 이런 명사들은 1850 년 경 이후로 아프로-아시아 어족의 존재의 주요한 증거들이라고 생각돼왔다.
Afro-Asiatic 인칭명사의 요소들
나. 우리 당신의(남성) 당신의(여성) Akkadian ana?ku -ka -ki Arabic nah?nu Berber n?kk n?kunn -k Beja hanan -ka -ki Egyptian ?i-n-k ?i-n-n -k -c? Hausa -ka -ki
Proto-AA는 추상명사의 어미이기도 하며 단수 어미이기도 한 -at를 여성 명사 접미 어미로 지니며, 최소한도 주격 -u, 소유격 -i, 비(非) 목적격(absolute) a을 명사의 공유된 격 형태소들로 지닌다. 명사의 다른 공통적 요소들에는 복수 형 -u?/-Vw, -a?n, -a ? t과 그리고 예를들어 -a-와 같은 모음교체를 통해 내적으로 복수를 나타내는 것과 그리고 명사 접두어 mV와 그리고 형용사적 접미어 -?가 있다. 동사체계는 주로 접미적 인칭명사 형태소와 더불어 상태와 조건을 나타내는 소위 '접미적'(suffixal) 변화와 그리고 모음교체의 다른 패턴들을 지니면서/또는 다양한 시제/상(sapect, 相)을 나타내는 어미들을 지니는 '접두적'(prefixal) 변화(conjugation) 사이의 근본적인 형태론적 립이 있다. 그래서 접미적 변화에서 우리는 일인칭 단수의 경우 아카디아어 -a ? ku, Berber의 경우 -Vg, 이집트어 의 경우 -k-w-y를 지니며, 접두적 변화에서 우리는 Proto-AA의 경우 1인칭 단 수 *'a-, 2인칭 단수 *tV-(여성의 경우 -i), 3인칭 남성 *yV-, 3인칭 여성 *tV-, 1인칭 복수 *nV-, 2인칭 복수 *tV-, 3인칭 복수 *yV-, 그리고 2인칭과 3인칭 복수에서 특수 복수형과 여성접미사들을 지닌다. 나아가서, 모음교체의 다른 패턴들
과 더불어 우리는 예를들어 아카디아어 i-prus(he split), i-parras(he splits), 소말리아어 ya-qaan(he knows), yi-qiin(he knew) 등을 지닌다. Proto-AA(원시 아프리카아시아어)는 사역형 s-, 재귀형과 중간태 t-, 수동태 n-, 그리고 강조를 위한 중복을 포함한다.
유형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초기와 중기국면의 모든 AA의 가장 특징적인 특색은 내재적인 변화(모음교체, ablaut)가 극단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것과 함께하는 보통 셋 또는 두 자음으로 된 자음어근이다. 음성학적인 수준에서의 유형적인 특징은 일련의 소위 음성학적으로 인두음(咽頭音, pharyngeal)화 되는, 연구개음 화되는, 후음(喉音)화되는 강조된 자음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후두음(喉頭音,
laryngeal)적 그리고 인두음적 음소들의 발생이다. 모음체계는 아마 길이의 구분을 지녔을 i a u 등 세 모음으로 한정됐을 것이다.
Nubian 또는 Merotic과 같은 다른 언어 또는 언어군들과 AA 사이의 관계를 증명하려는 시도들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인도유럽어를 포함하는 Nostratic와 연합된다는 것 그리고 예를들어 Teda와 같은 Nilosaharan와 생성적인 고리를 아마 지닐 것이라는 것이 현재 유력한 폭넓은 그 관계의 유일한 가정들이다. (Andrazej Zaborski)//
1-2)셈어(Semitic language)
셈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분류와 분포 지도에 해서는 4~5 쪽을 보자.
/팔레스타인과 페니키아와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와 바빌로니아와 앗시리아와 아라비아, 즉 지중해에서 다른 쪽의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에 그리고 아르메니아 산들로부터 아라비아 남부해안에 이르는 나라들의 토착어였던 서부 아시아의 언어 군인 셈어는 아라비아로부터 압시니아(abssinia, 에디오피아의 옛날 이름)를 넘어 그리고 페니키아 식민지들을 통해 예를들어 카르타고 해안에 이르기까지 지중해 사람들의 뱃전과 많은 섬들을 넘어 확장된다. 초기에는 이 셈 어군(family, 群)의 언어들과 나라들을 위한 포괄적인 지시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셈어들로 말하는 거의 모든 민족(nation)은 (Shem)의 후손들이라는 창세기 10 장 21 절의 사실에 근거하여 셈어(Semites 또는 Semitic language) 라는 이름이 지금1은 일반적으로 인정되므로, 여기에서도 그 이름이 취해질 것이다. 셈어라는 이름은 Eichhorn의 Repertorium fur bibl. u. morgenl. Literatur(1781, p. 161)에 서 Schlozer에 의해 처음 사용된다 그리고 바로 이 셈(Shem)으로부터 히브리 인 뿐만 아니라 아람인 과 아랍인 들이 갈라져 나온다(창세기 10장 21절 이하).
그러나
가 나안 사 람 들의 언어가 지금 셈어족라고 불리우는 것에 결정적으로 (endscheiden, decidedly) 속하기는 하지만, 헴(창세기 VV.6:15ff)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 나안 사람들 (Canaanites, 페니키아인들)이 셈으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것은 아니다.
앗수르 인 (As?s?ur, 창세기 1023)들이 Shem(셈)의 아들들 중에 포함되는 것처럼, 바 빌 로니아 인 들과 앗시리아 인 들(Assyrians)의 언어도 마찬가지로 오래 전에 마찬가지로 셈어임이 보여졌다./
셈어들로 말했던(spoke) 사람들 부분이 Shem 또는 Sem(Gen. x-xi)을 조상 으로 지니게 된 사람이기 때문에 1781 년에 독일 역사가 A.L.Schlozer에 의해 ‘semitic’ 이라고 이름 붙혀진 ‘semitic’ language(셈어)들은 셈 족속들이 거기로 부터 확산됐던 아라비아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에서 기원전 첫 1 1909년 W.Gesenius에 의해 첫 출간한 뒤, 1995년 E.Kautzsch에 의해 증보 발행된 책 28 판, Hebraische Grammatik을 중심으로 지금 나는 번역하고 있다.
번째 밀레니엄(천년)과 더불어 시작하여 에디오피아와 그리고 그 후에는 이집트와 북 아프리카로 퍼지게 된다. 다양한 셈어들의 역사적으로 입증된 특징들로부 터 자신의 일반적인 구조가 파생될 수 있는 ‘원시-셈’(proto-semitic)어로 셈어는 올라간다. 아마 원시-셈어는 하나의 단일한 언어로 사용된 적이 없이 단지 다양한 방언들만을 지녔을 것이다. 어떤 개별 셈어도 원시-셈어 류형을 표한다고 말해질 수 없다. 음성학에 있어서 하나의 언어가 아마 비명(epigraphic, 碑銘)에서 보여지는 남부 아랍어의 경우에서처럼 원시-셈어 류혐에 가장 가까울 수는 있을 경우에도 형태학적인 어떤 특색에 있어서는 다른 언어들이 그 원시-셈어를 표한다고 간주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셈어들은 공통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므로 이 원시-셈어를 말했던 자들의 위치 문제가 중요하다. Kurdistan과 메소포타미아와 그리고 고 아무르(Amurru) 지역의 북 시리아 그리고 아라비아와 아프리카 등이 그 위치로 간주돼 왔다. 그러나 위치문제에 있어 확정된 어떤 답도 주어질 수 없다. 가장 그럴듯한(likeliest)지역들은 아라비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들이긴 해도 말이다.
셈어는 헴-셈어(Hamito-Semtic)라는 더 큰 언어 그룹의 한 부분이다. 헴-셈어족에 속하는 언어 군들은 Semitic, 고 이집트어, 북 아프리카에서 말해지는 Berber, 에디오피아에서 말해지는 비(非)-셈어인 Cushitic이다. 이런 구성 언어들의 발생적인 관련성는 음성학과 형태학(morphology)과 어휘들로 볼 때 명백하다. 다양한 셈어들 사이의 관계가 다양한 게르만어들 또는 로만스어들 또는 슬라브어들의 그것들로 비교될 수 있는 동안, 헴-셈어는 인도-유럽어의 역할을 더 또는 덜할 것이다.
셈어들은 북 셈어과 남 셈어로 분류된다. 북 셈어는 결국 아카디아어 만을 자신의 표언어로 지니는 북동 셈어와 그리고 Canaanite(Hebrew, Moabite, Phoenician)와 Ugaritic와 Amorite와 Aramaic을 포함하는 북서 셈어로 나뉘며, 남 셈어는 남 아랍어와 에디오피아어를 포함하는 남동 셈어와 그리고 아랍어(Arabic)를 자신의 표로 지니는 남서 셈어로 나뉜다. 이들 언어 중에서 아랍어와 현 남부 아랍어와 히브리어와 그리고 제한된 정도에서의 아람어들이 여전히 말해지고 있다. 흥미있는 점은 거의 모든 셈어들이 자신들의 말 살이가 끝난 오랜 후에도 문어 언어로서 사용되면서 자신의 글 살이를 계속 누려왔다는 것이다.
셈어의 일반적인 특색들은 다양한 언어들의 개관 후에 논의 될 것이다.
1-2-1)아카디아어 또 는 앗시리아-바빌로니아어(Akkadian or AssyroBabylonian). 이 언어는 확인된(attested) 셈어들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Akkadian 이라는 이름은Mesopotamia의 고 수도인 Akkad(6, 48쪽 지도 참조)에서 온다. 이 언어로 된 문서들은 기원전 2500 년부터 기독교 시 시작까지 걸쳐 있다. 다양한 발전의 기간들이 있다. 이 중 고 아카디아어는 기원전 2500부터 기원전 1950년까지의 문서 언어이다. 이 기간 동안에 아카디아인들은 수메르인들과 나란히(side by side) 살았다. 고 아카디아어 말기를 향하면서 그 언어는 바빌로니아 방언과 앗시리아(Assyrian)방언으로 나뉜다. 사람들은 바빌로니아 방언을 고 바빌로니아어(기원전 1950~1530년 경)와 중기 바빌로니아어(기원전 1530~1000 년 경)와 신(new, 新 )- 바 빌 로 니아어 (1000년~기원전 625년 경)와 후기 바빌로니아어( 기원전 625년 이후)로 나눌 수 있으리라. 이 마지막 시기의말해지는 (구어체)언어는 아람어(Aramaic)였던 반면 문학(Literaray, 문어체)언어는 후기 바빌
로니아어였다. 앗시리아어(8, 48쪽 참조)는 고 앗시리아어(기원전 1950~1750년 경)와 바빌로니아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던 중기 앗시리아어(기원전 1500~1000년 경)과 신 - 앗시 리아 어 (기원전 1000~기원전600 년경) 등의 언어학적인 다양한 국면으로 나뉜다.
비문들은 메소포타미아의 문학과 역사와 종교와 주술과 법률과 학문과 상업의 중요한 문서를 나타낸다. 바빌로니아의 문화적 명성 때문에 아카디아어 역시 Cappadocia와 Elam과 Canaan(Tell el Amaran letters)와 Hittite제국(Bogazkoy)와 Mianni(Nuzi) 등의 이웃 지역들에서 사용됐다. 마찬가지로 아카디아어는 한 때 근동의 국제 언어였다.
1-2-2)Canaanite(가나안어).
페니키아와 시리아 일부인 팔레 스타인(Palestine) 의 고 낱말인 C anaan(가 나안) 으로부터 Canaanite 라는 이름이 왔다. 직접적인 재원들을 통해 알려져 가나안사람들의 언어로 간주되고 있는 것들은 Hebrew와 Moabite와 Phoenician이다.
가장 오래된 시기의 가나안어는 Tell el Amarna letters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알려진다.
///Canaan(heb. ke?na `an)?Canaanites. 현의 레바론과 시리아 일부와 요르단의 팔레스틴 서부 부분을 포괄하는 지중해 동쪽 해안에 연이어지는 땅을 나타내는 Cannanites(가나안 사람들)이라는, 지질학적 용어로부터 파생된 민족학적 아이콘(ethnicon)은 첫째 고 그 지역의 토착민 그리고 토착민과 동화된 거주민들을, 둘째로 거기에서 특징있게 말해지는 관련 셈어들의 그룹을 가리킨다. 가나안을 이스라엘 인들(israelites)에 의해 확보된 땅과 실제로 동일하게 여기는 것은 구약의 중심적인 주제이다. 지질학적 이름인 ‘Canaan’은 북서 셈어 알파벳 텍스트(Ug, Heb. Phoen-Pun) 들에서는 Kn `n 이라는 스펠링을 지닌다. 맛 소라 모음 찍기에서 는 두번째 음절에 강세가 놓여지는 ke ? na `an이며 70 인역 구약 희랍어 번역과 벌게이트 (Vulgate, 불 가타) 라틴어 성서에서는 Channan 이라고 음역된다. 아 카디아어 로는 h ? 로 표현되 는 인두(咽頭) 자음이 나타날 경우에는 Ki-na-ah?-num(비 유인, gentelic) 이라고 그러나 인두자음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에는 Ki-na-a-nim 이라는 음절적인 이름으 로 쓰여져 발견된다. 이집트어 스펠링들 K-i-n- `-nw와 K-?-n- `-?은 일관되게 그 인 두자음을 나타낸다. 두 번째 밀레리엄의 지엽적인 서부 아카 디아어 텍스트들은 알파벳적으로 쓰여진 예들의 마지막 ?n이 아마 접사적인 형태소일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면서 짧아지는(reduced) 어근 Kinah?h?를 지니는 그 이름을 입증해준다. ‘가나안’ 이라는 낱말의 어원론은 애매하다. 만약 그것이 서부 셈어에서 나온 것이라면 아마 afformative ?n을 지니는 어근 kn ` (to bend, to bow)로부터 파생됐을 것이다. 석양(Occident, 夕陽)이라는 ‘가나안’의 의미는 그러한 파생을 근거로 하 여 주장된 것이다(Astour 1965: 348). E.A.Speiser(1936)는 Nuzi로부터의 쐐기문자 텍스트로 된 푸르게-염색된 옷을 가리키는 그리고 아마 아카디아어 uqnu와 그리 이스어 kyanos와 관련되는 지중해 사람들의 용어를 Hurrian이 채용한 것을 나타내 는 단어일 Kinah?h?라는 임시적인 낱말로부터의 어원론을 구성한다. 그러나 아마 qinah?h ? 라는 스펠링을 지녔을 그 Hurrian 단어는 Speiser(1967: 166-67)가 제안한 것 과는 전혀다른 역사를 지닌 것으로 보여졌다.
세번째 밀레니엄의 시리아-팔레스타 인으로부터 온 많아진 지질학적 이름들의 증거는 ‘가나안’을 위한 후리아어 어원 론의 그럴듯함을 감소시킨다. ‘가나안’ 이라는 이름이 지니는 의미는 아마 셈어 사 전에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Astour 1988).. ‘Canaan’은 쐐기문자 텍스들 안에서 지질학적인 어떤 이름으로 맨 먼저 포착된 다. ‘Canaanite’라는 민족학적 아이콘(ethnicon)은 Mari로부터의 텍스트들에서 발 견된다(Dossin 1973; Sasson 1984; luki-na-ah?-num). Alalah?로부터온 15세기 전 기적(傳記的)인 텍스트는 “가나안 땅의 Ammia”(ANET, 557; 아카디아어 ki-nanim)이라고 언급한다. Ammia는 현 Tripoli 근방의 Ammium과 동일시된다. Alalah?로부터 온 후기 쐐기문자 텍스트도 가나안(Canaan)을 언급한다. 쐐기 알파 벳으로 쓰여진, Ugarit로부터 온 경제적인 텍스트(UT 311.7; KTU 4.96.7)는 가나 안 사람(kn `ny, Canaanite)을 상인들의 목록에 포함시킨다. 이것은 우가리트 사람들 은 자신들을 가나안 사람들의 범주에 포함시키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so Rainey 1965).
Amarna 편지는 Tyre(EA 148.46)와 Byblos(EA 109.46; 131.61; 137.76) 와 다른 연안 도시들 그리고 갈릴리의 Hinnatu?ni(HANNAHON[PLACE}, Josh 19:14)를 포함하는 이집트 속주(province)로 가나안을 지시한다. Elbe[ARET 3:31 r. II 13:42 III 6; VII 6; 769 II 1; ARET 4:23 v. VIII 4]로부터의 세번째 밀레니엄 쐐기문자 텍스트들 안에서 발견된 신성(divinity, 神性)의 이름은 지리학적인 이름 가나안을 포함하는 것으로 Pettinato(1979: 103)에 의해 단언됐으나, 그 텍스트들의 연이은 연구는 이런 해석을 지탱해주지 않는다[contra Stolz, TRE 17: 540]
이집트 텍스트 안에서의 가나안 사람들에 관한 가장 이른 언급은 기원전 15세
기 후반 Amenhotep(그리이스어 Amenophis) II 세의 아시아 전쟁으로부터의 전 리품 목록 안에서 발견된다. Merneptah의 기원전 13 세기 ‘이스라엘 비석’은 피 정복지 목록에 가나안을 기입한다.
이집트는 시리아-팔레스틴을 Amurru와 Upi와 Canaan(Weinstein 1981; Upi의 역사에 관해서는 Pitard 1987: 49-80, 특히 pp.59-60; Wright 1988; Dever 1987; Leonard 1989를 보라) 등의 세 속주로 다스렸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된다(Helck 1971: 246-55). 가장 북쪽 속주인 아무루는 Kadesh에서의 이집트 패전 후에 힛타이트 지배 하에 들어간다. 이 기간 후의 이집트의 텍스트들은 가 나안과 우피에 의해 둘러쌓인 지역을 H?urru 라는 일반적인 지시어를 가지고 때 로 가리킨다. 해상 민족들의 침입후에 ‘Canaan’은 보다 제한된 의미에서 남부 팔
13
레스타인을 가리키는 데에 사용되며 그리고 ‘가나안의 도시’라는 표현은 특히 Gaza를 지시할 수 있다(Alt 1944: 4-6; RLA 5: 353). 가장 늦은 이집트인의 가나
안 지시(reference, 指示)인 Philistia로부터 가나안에로 보낸(so Weippert, 1974:
429)외교관의 22 번째 왕조의 비문은 종종 다양한 해석에 직면한다.
‘Canaan’이라는 낱말은 그리이스 재원(자료)에서는 때로(PW 3: 2109) 그리고 70인 역에서는 자주(예를들어 창세기 9:22, 25; Jdt 5:9-10; 1 Macc 9:37)Chanaan 이라고 음역된다. ‘Canaan’은 신약에서 두 번(Acts 7:11; 13:9) 음 역된다. 그러나 더 자주 가나안은 그리이스어로는 ‘Phoenicia’와 그리고 이에 관 련된 민족학적 아이콘(ethnicon), ‘Phoenician’이라는 지시에 의해 가리켜진다. 페 니키아와 가나안 이 두 용어들이 그리이스 인에 의해 등가(equivalence)로 쓰였
음은 Beirut 화폐 주조국으로부터 온 3 세기 화폐들의 전설에 의해 확정된다: 페 니키아어 텍스트 l ,dk , ,s ? bkn `n(가나안에 있는 Laodicea)는 그리이스어 Laodikeia he en Phoinike ? (페니키아에 있는 라오디케아)에 상응한다(참고문헌을 지닌 RLA 5: 354). 이러한 같음은 ethnicon Chananaia를 한 번(마태 15:22) 사용한 신약성서에 반영된 다. 드문 단어 Syrophoinikissa는 비교 논의(Mark 7:26)에서 사용된다. Byblos 출신 Philo의 Phoenician History에 있는 어려운 한 글월은 Chna를 이름 ‘phoenican’과 처음으로 동일시 한다(Attridge and Oden 1981: 60-61 and n. 144) . 기원 후 2 세기의 Herodianus Grammaticus(Lentz 1868: 913)와 비잔티움의 Stephanus(s.v. Chna)는 페니키아 사람들은 전에 Chna로 불리웠다고 지적한다. 두 번째 밀레니엄 의 아카디아 텍스트들에 쓰여진, 이름 Canaan의 짧아진 Kinah?h?는 그리이스어로는 Chna로 나타내어졌으리라. 구약에서의 그 지질학적인 이름 ‘Canaan’의 분포는 성서 텍스트들에 나타나있 는 이 낱말의 의의 어떤 척도를 제공한다. 낱말 ‘Canaan’은 MT에 80 번 나타난 다. 부분 그것은 ‘가나안의 땅’( `ere≥s ke ? na `an)이라는 구문으로 자주(이러한 발생 의 64x 또는 80 퍼센트) 나타난다. 이러한 구문은 창세기에서는 아주 빈번하나, 출애굽기(6:4, 16:35)와 레위기(14:34, 18:3, 25:38)와 민수기(12x(번))와 신명기(한번) 에서도 나타난다. 신명기적 역사에서의 ‘Canaan’ 이라는 낱말은 여호수와와 사사 기에 ‘가나안의 땅’ 이라는 구문으로 아주 자주 제한된다. 이렇게 그 우선적인 역 사는 그 낱말의 쓰임새의 88%를 보고한다. ‘가나안’이라는 낱말은 문헌-비평 분석에 의해 J(여호와적)와 E(엘로힘적)와 P(사제적) (문서)재원들에게 배정된 글월들에서 발견된다. 모세오경 토라를 보라.
성서 안에서 족장들에게 한 땅의 약속(즉 창세기 12-50; 부분 P에게 배정되는 글월들)이라는 그 주제를 끌어들이고 발전시키는 모세 오경에서의 그리고 그 땅 약속의 이행으로서 간주되는 정복과 정착 이야기 속에서 집중되는 낱말 가나안은 약속과 이행 이라는 주제에 그 낱말이 어떻게 밀접하게 묶어지는 지를 보여준다 (Clements 1967; Lohfink 1967). 예를들어 그래서 그와 그의 후손들에게 ‘가나안의 모든 땅’이 주어질 것이라는 아브라함에로의 신성한 약속은 Brueggemann(1977: 21) 에 의해서 모세 오경 안에서의 족장적인 약속 주제의 ‘집중적인 구’(focal verse, 句)라고 불려졌다(마찬가지로 Clines 1978: 36). 사사기에서의 가나안 정착이 더 이 상 주제로 되지 않음과 더불어 ‘가나안의 땅’ 이라는 용어는 우선적인(주요한, Primary) 역사로부터 사라진다 ...... ///
///그러한 가나안 땅에 사는 사람의 언어들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점들을 공유 하고 있는 것들로 확인될 수 있으리라: *qattila와 *haqtila가 소위 ‘intensive’(강 조)와 사역(causative, 使役) 변화의 완료형에 있어 각각 *qittila와 *hiqtila로 변 하는 북서 셈어의 공통 특징(히브리어의 Pi `?l과 Hip `il); 본디 1인칭 명사 단수 * `ana ? ku??가 처음에는 *a ? > *o ? 의 무조건적인 변화를 지니는 * ,ano?ku??로(Canaanite shift, 가나안 어들의 변이) 그리고 나서 이화됨이 없이(dissimilation, 異化) * ,ano ? k? ? 로의 변 화, 그리고 접미어 변화 속에서 1인칭 단수의 표시로서의 *-tu??의 *-t??에로의 부수적 인 (concomitant, 附隨的)변화(즉 *qabartu?? → *qaberti??(나는 파 묻었다); 히브리어 qa ? barti 비교); 일인칭 복수 교체형(allomorph, 異形)의 일반화, 본디 독립 명사와 그 접미 변화에만 고유한 것이 이제는 소유 접미어와 마찬가지로 사역 접미어로 서(즉 히브리어 suse?nu??(우리의 말, our horse)과 s ? e ?ma?ra?nu(그가 우리를 보호하다)에서 처럼, 각각 명사와 동사에 붙는 접미어로서). 아카디아어로 쓰인 Amarna 편지들에 서의 Canaanite 증거와는 별도로, 기원전 첫 번째 밀레니엄의 전 반부에 기록되기 시작하는 가나안 사람들의 다양한 언어들 모두는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발전된 22 개의 자음 알파벳을 통해 오른 쪽에서 왼 쪽으로 쓰여진다.
이집트의 Amarna(고 Akhetaten) 쪽에서 발견된 아카디아어 텍스트들 중에는 시리아에 있는 이집트 지배하(vassal)의 도시들의 장들(mayors, 長)로부터 온 많은 편지들이 있다. Byblos와 Gezer와 Jerusalem과 Shechem 등의 이러한 도시들로부터 온 편지들 중 몇 몇의 언어들은 (몇 몇 토속 어구(語句)들을 지닌) 부분 아카 디아 어휘들이지만 형태론과 구문론은 토속 북서 셈어 방언들로 간주되는 일 종 의 짬뽕언어(Creole)이다. 위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진단적인 혁신들의 현재는 가나안 사람의 방언들이 그 바탕에 깔려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ru-s ? u-nu /ro ? s ? unu??/(우리의 머리)(EA 264: 18, 불확실한 출처; 히브리어 ro?( ,)s ? -e??nu, vs. 아카디아어 re ? s ? -ni를 비교하자); a-nu-ki / ,ano?ki??/, ‘나, I’(EA 287:66, 69, 예루살렘으로부터; 히브리 어 ,a ? no?ki vs. 아카디아어 ana ? ku를 비교하자) 그리고 (‘I’를 위한 ?ti를 지닌; ibid.: 53) mu-s?e-er-ti, ‘내가 보냈다, I sent’; h?i-ih?-bi-e[hih?bi ,e] < /hih?bi ,a/, ‘그가 감추었다, he concealed’(EA 256:7, pi≥hilu/Pella; 히브리어 hi≥hbi , 를 참조하자).///
1-2-2-1)Moabite.?기원전 8 세기까지 날짜가 매겨지는 단일한 비문이 모압 어에는 있다. 이것은 이스라엘 왕과 맺고 있는 자신의 관계에 한 사해(dead sea, 死海) 남동부의 모압 왕 Mesha의 기록이다.
1-2-2-2)Phoenician.?이 언어는 Tyre와 Sidon과 Byblos와 이웃 마을들의 페니키아인들의 도시들에서 고에 유포되어 있었다. 페니키아 자체의 비문들은 상적으로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가장 이른 해독될 수 있는 비문들은 기원전 10 세기 경부터의 Byblos 왕들의 것들이다. 페니키아 자체로부터 온 자료들의 량(bulk)은 부분 기원전 5 세기에서 기원전 2 세기까지의 왕가의 비석들(stelae)이다. 많은 비문들이 고 페니키아인들의 식민지들 Malta와 Cartage와 같은 쪽의 그리고 아나톨리아의 Karetepe와 같은 북 아프리카 해안의 다른 쪽 지중해 해변 지점들에서 발견됐다. 북 아프리카 해안의 페키아 언어는 Punic(포에니 어) 라고 불리우며 기원전 5 세기에서 기원전 2 세기까지 다다른다.
정보의 다른 중요한 재원은 이집트어와 아카디아어와 히브리어와 같은 다른 언어 스크립트로 페니키아 낱말들이 옮겨 써진 것들이다. 아주 풍부한 외부 재원은 예를들어 Punic(포에니 어)를 담고 있는 그리이스어와 라틴어 이 양자의 고전 문
학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재원들 중 가장 이른 것들 중에는 아마도 기원전 9 세 기 경, ‘페니키아 알파벳’과 함께 그리인들이 넘겨 받았던 그 알파벳 문자들의 이 름들일 이다. 사본에 들어 있는 한 페니키아 인의 화가 기원전 2 세기 경 Plautus의 Poenulus에서 발견된다. 페니키아 알파벳은 모음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런 재원들은 특히 그 언어의 모음찍기(vocalization)의 구성에 도움이 된다.
///페니키아어는 Byblos와 Tyre와 Sidon과 다른 도시들 그리고 이들 주위 지
역들과 식민지들의 페니키아 도시-국가들의 언어이다. 다양한 도시들의 방언들이
어느 정도에서 서로 차이나는 반면에 가장 이른 증거를 보여주는 Byblos 방언은 ‘표준’이라고도 불리울수도 있을, 다른 것들과 분리된 페니키아어의 한 가지로 간 주되기에 충분한 특성을 보여준다. 비블로스 텍스트들은 기원전 10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의 포착한다.
페니키아 자체와 시리아와 지중해로부터의 표준 페니키아 스크립트들은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에 사용됐다. Tyrian 식민지인 카르타고(페니키아어 *qart ≥hadas?t, 새로운 도시)와 그 식민지들 의 페니키아 방언인 Punic은 기원전 5 세기부터 확인된다. 기원전 146 년 카르타고의 함락 이후 비문들은 Neo-Punic(신 포에니어)로 지시된다. 히브리어와 아람어를 포함, 첫 밀레니엄 시에 다른 말하는 자들(speaker)에 의해 차용(borrowed, 借用)된 곧은 모양의(linear) 22 개 알파벳의 근원이 바로 이 페니키아어(Phoenican)이다.///
1-2-2-3)Hebrew. /히브리어(Hebrew Language)라는 이름은 구약 정경을 형성하는 이스라엘사람들의 신성한 글쓰기 언어를 보통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그것은 성서 이후 시기의 유 글쓰기들의 신 히브리어와 조되어 고 히브리어(Ancient Hebrew)라고도 불리운다. 히브리어라는 이름(tyir:bi( }O$fl glw/ssa tw/n `Ebrai,wn( e`brai<sti,)은 구약성 서 자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신에 우리는 이사야서 19장 18절에서 ‘가나안의 언어2’와 2K 1826,28(cf. Is 3611,13 ) Neh 1324에서 ‘유 언어로’( tyidUh:y ) 라는 용어를 발 견한다. 마지막 인용된 글월에서의 그것은 학개와 느혜미야와 에스터의 책에서처 럼 이미 그 전체 국가에 Jew, Jewish 라는 이름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바빌론 유 수 이후의 후기 용법에 일치한다. 이름 Hebrew(myir:bi( `Ebrai / oi)와 Isralelites(l")aaafr:&iy y"n:B) 사이의 구분은 오히려 후 자가 종교적인 의의를 마찬가지로 지니고 그 백성 자신들에 의해 사용된 명예로운 국가 이름인 반면 전자는 그 국가가 그것에 의해 외국인에 의해 알려지는 덜 의의있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구약에서의 Hebrews는 자신들을 외국인들과 조할 때 사용되거나(창세기 40장15절, 출애굽기 2장6절이하와 3장18절 등, Jon 19) 또는 그것이 Isralelites이 아닌 자들의 입에 놓이게 되거나(창세기 39장 14절과 17절 그리고 41장 12절) 또는 마지막으로 그것이 다른 국가들과 립적으로 사용될 때(창세기 14장 13절 43장32절, 출애굽기 2장11절과 13절 그리고 21장2절)만 단지 말해진다. 사무엘상 13장3절과 7절에서의 그 텍스트는 분명히 그 원형이 손상됐다. Josepus같은 그리이스와 라틴 저자들에서는 `Ebrai/oi( Hebraei 등만의 이름이 나타난다. 그 이름의 Graeco-Roman 형식은 히브리 어 yir:bi(에서 직접 파생된 것이 아니라 팔레스틴 아람어 `ebra ? ya ? (the Hebrew)로부터 파생된것 것이다. 이방인들의 많은 설명들 중에서 파생접미어 ‘ yi ’와 더불어 다른 쪽의 나라 라는 뜻을 지닌 r:bi(로부터 파생된 것이 yir:bi( 이라는 것만이 문헌학적 가능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그 이름은 `eber 즉 Jordan(혹은 다른 사 람들에 따르면 유프라테스 강)의 다른 쪽 지역에거주했던 자들로서의 Israelites을
2 현의 히브리어 형식이 가나안에서 실제로 발전했다는 것은 서쪽을 표현하 는 ya?m(sea)과 남쪽을 표현하는 negeb(본디 dryness, 후에는 팔레스타인 남쪽을 나타내는 고유명사로서)의 쓰임새와 같은 그러한 사실로부터 나타난다.
가리켰으므로, 요르단 또는 유프라테스 이 쪽 국가에 의해 사용됐을 때만 근원적 으로 적절할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들은 문제의 그 강을 건넌 후에 그것은 아브 라함자손들에 의해서 오래동안-확립된 이름으로 보유됐다고 그리고 (위에서 보았 던 것처럼) 어떤 한계이내에서 그들 사이에서 자연스러워졌다고 우리는 반드시 상정해야만 한다. 족장 이름에 붙는(patronymic) Eber에게 이 이름을 지시하면서 히 브리 계보학자들은 그것에 훨씬 더 많은 포괄적인 의의를 배정했다. (Nu 2424에서 는 아니지만) 창세기 1021에서의 Shem은 Eber의 모든 아이들의 그 아버지라고 불 리우므로 그리고 후자에게 마찬가지로 창세기 11장 14절 이하와 15장 25절 이하 에 따르면 아람 족속과 아랍 족속이 속하므로, 이방(gentile 異邦)적인 `ibri 형식에 있어서는 곧장 배타적으로 Israelites에게만 한정되는 까닭에 그 이름은 나라들과 국가들의 두드러게 큰 그룹을 근원적으로 반드시 포함해야만 한다.
그 이름의 어 원론적인 의의가 그러한 경우에 강조돼서는 안된다. 마찬가지로 우리들은 기원전 1400 년 경의 Tell-el-Amarna 편지들에서 팔레스틴과 그 이웃의 약탈자들과 상인으 로서 나타나는 H ? abiri를 ` Ibriyyim과 언어적으로 가능하다고 해서 동일화시키는 것 으로부터 벗어나야만 할 것이다. e`brai<sti, 라는 용어는 Sirach의 아들 Jusus에로의 서문(기원전 130 년경)에서 그 리고 신약성서 계시록 9장 11절에서 고 히브리인(old Hebrew)을 지시하기 위해 서 사용된다. 다른 한 편으로 그것은 Jn 52, 1913, 17에서 마찬가지로 아마도 계시록 16장 16절과 Jn 1920에서도 그리이스어에 립되는 것으로서의 팔레스틴의 (아람 어) 토속어였던 것을 지시하는 데에 봉사한다. 사도행전 21장40절 22장2절 26장14 절의 e`brai<s dia,lektoj 라는 표현의 의미는 의심스럽다(Kautzsch, Gramm. des Bibl.Aram., p.19f.를 참조하자). 마찬가지로 요세푸스(Josephus)도 고 히브리어와 그리 고 자신의 시의 아람어 토속어 이 양자에 Hebrew 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 히브리어는 Lingua profana 즉 아람어 세속어에 립되는 신성한 책들의 언 어로서의 구약의 유-아람어 버젼들의 신성한 언어(the sacred language)로 불리운 다./
///여태까지 가장 잘 알려진 가나안 사람들의 언어인 히브리어는 기원전 10세기 말에 비명(epigraphic, 碑銘)에서 처음으로 포착(입증) 된다. 그러나 성서 텍스트의 부분들 특히 고 시(poetry, 詩)는 기원전 12 세기 만큼 이른 시작을 지닐 것이다. 이런 이른 성서 자료에 의해 표현되는, 원시-히브리어라고 이름 붙혀질수 있을 방언 또는 방언들은 부분의 더 늦은 히브리어 텍스트들이 잃어버린 많은 특색을 드러낸다. 고전 히브리어라는 용어는 군주제 시작부터 바빌론 유수까지 쓰여진 성서와 비명의 텍스트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많은 언어적인 발전을 보여주는 바빌론 유수 이후 텍스트들은 고전 말기 히브리어(Late Classical Hebrew)로 지시될 수 있으리라. 비문 유적들은 유어(Judean)라고도 불리우는 남부 방언과 이스라엘어(Israelean)라고도 불리우는 북부 방언등 최소한도 성서 시 동안의 주요한 히브리어 두 방언들의 증거를 제공한다. 방언적 특색들은 의심할 것도 없이 본디 성서 텍스트에 잘 주어져 있었으나, 이러한 특색들을 중성화시키려는 경향을 지닌 편집적 조화로 인하여(editoral harmonizing)상적으로 형식이 일정한 언어, 아마 예루살렘의 공식적인 표준 방언이 유래하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몇 다양한 방언들이 특히 욥과 전도서와 같은 어떤 책들에 남아있다.
아마 히브리어는 이 시가 끝나기(the turn of) 한 세기 또는 그 이상 이전에 부분의 지역에서 말해진(spoken, 구어체)언어이기를 중지하고 신 아람어로 히브리어 구어체 언어로 들어섰을 것이다. 기원전 2 세기부터 기원 후 5 세기까지의 중기 히브리어 기간은 꿈란 히브리어와 사마리아 히브리어 그리고 그것들 각각이 구분되는 방언 또는 여러 방언들로 표현된 미슈나 히브리어에서 발견된다.
꿈란 히브리어는 비록 자주 토속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기는 해도 부분 고전 말기 언어를 재 생산하려는 정교한 시도인 문어적인 방언이다. 다른 한편으로 미슈나 히브리어는 직접적으로는 고전히브리어까지 뿐만 아니라, 최소한도 부분의 성서 방언인 표준 예루살렘 방언의 계통도 잇지 않는다. 오히려 미슈나 히브리어는 아마 분리된 히브리어 방언적 기질을 연속적으로 표현하고있는 초기 북쪽 히브리어에 연결된 토속어의 쓰여진 버젼일 것이다. 중기 히브리어는 쓰여진(written) 언어로 이어지면서 폭넓은 문어의 다양함을 창조하기위해 성서히브리어와 미슈나히브리어 이 양쪽을 이끌어들이는 저술가들에 의해 애용된다. 지난 마지막 세기에 말해진 (일상, 구어체) 언어로 다시 살아난 현 히브리어는 오늘날 이스라엘 국가의 언어로 번영하고 있다.///
1-2-3)아람어(Aramaic) .
[위 사진: aramaic_Bar-rakib.] 아람인(Aramaeans)들은 14 세기의 쐐기문자 텍스트에서 ah?lame?, 그 이후에는 ah?lami? armaya로 나타난다. 그들은 메소포타미 아에서부터 시리아-팔레스타인과 북 아라비아까지 자신들의 정복을 확장한다. 아람어(Aramaic)는 정복된 나라들의 다양한 언어들을 갈아치우면서 기원전 8 세기 시작무렵에는 페르시아 제국의 공식언어 뿐만 아니라 근동의 상호국제적인 언어로 됐다. 그 언어의 최 확장 시기는 기원전 4 세기부터 그것이 아랍어에 의해 갈아치워졌던 기원후 7세기까지였다. 기독교 시의 시작 이전까지는 코이노이아(common)아람어라고 불리워졌던 언어는 두드러진 방언적 다양함들이 있지 않았다. 그 후에 그 언어는 서부 아람어와 동부 아람어로 나뉘었다. 코이노이아 아람어의 문서들은 종류상 다양하다. 다마스커스와 Aleppo 사이의 Hamah 왕들 그리고 Aleppo 북쪽 Zingirli에서 발견된 Samal 왕들의 그런 것과 같은, 시리아의 속국들의 비문들은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8 세기까지 날짜가 메겨진다.
이집트의 Elephantine(Aswan)의 유 식민지의 비문들은 기원전 7 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그 날짜가 메겨진다. 성서의 아람어 부분들(에스라 4장 8절~6장 18절; 7장12절~16절; 다니엘서 2장 4절~7장 28절, 그리고 격리된 문장들)은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날짜가 메겨진다.
서부 아람어 방언들은 Judeo-Aramaic, Samaritan, Palestinian-Christian, Nabat a ean , Palmyrene와 Western Neo-Aramaic이다. 유-아람어는 사해 문서들 중에서 발견된 아람어 작품들과 그리고 팔레스타인 Targums 즉 구약성서의 아람어 번역들과 그리고 기원후 5 세기에 편찬된 팔레스타인 탈무드(Palestinian Talmud)와 그리고 몇 몇 비문들의 언어이다. 사마르티아-아람어는 기원후 4 세기의 모세 오경의 번역과 그리고 몇 몇 다른 기도들과 종교적인 작품들에 의해서 표된다. 팔레스타인-기독교 아람어는 신구약 성서의 번역부분과 기원후 8세기와 9세기 팔레스타인의 기독교인 Melchites에 의해 번역된 몇 몇 종교적인 텍스트들의 방언이다.
나바타이아 아람어는 기원전 1 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까지의 시나이, 북 아라비아, Transjordania를 통한 caravan의 길들에서 발견된 비문들에 있는, Petraea 아랍 그리고 팔레스타인 동부에 이르는 Hauran의 아랍인들에 의해 사용된 아람어 방언이다. 팔미레네 아람어는 주로 기원후 첫 삼세기로부터 그 날짜가 메겨지는, 다마스커스(Damascus)북 동쪽에 이르는 Palmyra의 비문들 의 방언이다. 서부 아람어는 Ma `lu?la (기독교)와 그리고 Bah? `a와 G ? uba `di ? n(무슬림) 마을들의 레바논과 Anti-Lebanon의 산악지들에서 여전히 말해진다.
동부 아람어는 Syriac와 그리고 Babylonian Talmud의 Aramaic과 그리고 동부 Neo-Aramaic을 포함한다. 시리아 아람어는 2세기 말경 기독교의 중심지였던 (현 Urfa) Edessa의 언어이다. 기원후 5 세기 이후로 신학적인 차이때문에 시리아 아람 어로 말하는 기독교인들은 페르시아 영향 하의 Nestorians 또는 East-Syrians 그리 고 비잔틴 영향 하의 Jacobites 또는 West-Syrians로 나뉜다. 이 두 그룹들은 발음 차이들에 의해서 언어학적으로 구분됐다. 시리아 문학의 가장 위한 시기는 3세 기와 7 세기 사이였다. 기원후 6 세기 경에 편찬된 바빌로니아 탈무드의 아람어는 동부 아람어 그룹의 중요한 다른 방언이다. Mandaic 아람어는 메소포타미아 하류 의 (Sabaeans라고 불리우는) 그노스틱 분파(gnostic sect)의 방언이다. 동부 아람어 방언은 Urmia 호수와 (네스토리아 인들, 때로는 앗시리아 인들에 의해 불리웠던) Van 호수 사이 지역에서 그리고 Tur Abdin(Jacobites)의 관할구에서 그리고 Mosul의 북쪽지역에서 여전히 말해지고 있다. 카토릭과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은 모슐 방 언을 문어언어로 발전시키려고 노력했다. ///모든 아람어 방언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다음과 같은 언어학적인 새로움들을 공유한다: ‘아들’과 ‘딸’과 ‘둘’ 등의 경우 *r에로의 아마 모음적인 *≥n이었을 것 의 변화(예를들어 아들의 경우 *b≥n > *bir, Testen 1985); 가나안 언어들의 *-nu??와는 반로, 모든 환경에서 일인칭 복수의 접미사로서의 *na??의 일반화; 새로운 사역-재 귀 변화의 발생, *hittaqtal (vs. 초기 셈어 *(v)s ? taqtala); 그리고 (히브리어 Nip `al에서 처럼) 수동형 n-어근의 손실. 현 말해지고 있는 언어들을 제외한 모든 아람어 방언들은 비록 그 언어의 형식들 중에 많은 고서체의 다양한 스크립트가 있긴 해 도, 페니키 아인 들 로부터 빌려온 22 개 알파벳 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 로 쓰여 진 다 .
그 언어의 가장 초기 국면의 것으로 알려진 고 아람어는 기원전 9 세기 중반 부터 기원전 6 세기까지 그것들 중에서 어떤 것은 아주 긴, 북 시리아의 Tell Fakariya로부터의 2 개 언어적인 앗카디아-아람어 비석과 더불어 시작하는, 작은 수의 비문들에서 입증된다. 이런 비문들 부분은 어떤 표준 방언을 보여주기 보 다는 오히려 방언적인 다양성을 가리키면서 서로에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 의 언어적인 특색들을 드러낸다.
아람어는 기원전 6~4세기 페르시아 제국의 공식언어가 되면서 언어의 사용 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공식적 또는 제국 아람어라고 불리우는 표준방언을 생산 해내는 발전을 이룬다. 어떤 것은 이집트에서 쓰여지고 어떤 것은 예를들어 페르 시아에서 쓰여졌던 많은 수의, Offical 또는 Imperial Aramaic파피루스 텍스트들이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에서 발견됐다. 에스라 서의 성서 아람어도 이러한 제국언어 시기에 놓여질 수 있을 것이다. 페르시아 붕괴 후 아람어 텍스트 그룹들 사이의 방언적인 다양함이 다시 한 때 두드러지게 된다. 기원전 3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의 기간은 중기 아람어(Middle Aramaic)라고 집 단적으로 명칭붙혀지는 많은 수의 아람어 텍스트들을 생산한다. 시리아와 Transjordan으로부터의 이 시기의 비문의 방언들은 Nabatean, Palmyrene, Hatran, 그 리고 old syriac이다. 표준 문어 아람어(Standard Literary Aramaic) 라고 용어화됐던쓰 여진(Written, 문어체) 방언이 다니엘 성서의 아람어에서 그리고 꿈란으로부터의
많은 아람어 텍스트들에서 그리고 onqelos와 Jonathan Targums의 아람어에서 확인 된다(attested). 이 시기의 다른 팔레스타인 아람어 텍스트들은 Bar Kokhba 편 지들과 무덤 비문들과 미 슈나 에서 인용된 낱말들 과 구(句)들과 기독교 신 약성서이다. 분산된 텍스 트들도 예를들어 이집트 와 저 멀리 덜어진 아프 카니스탄에서 발견됐다. 기원 후 3 세기부터 우 리는 세 가지 주요한 후 기 아람어(late Aramaic) 가지들을 구분할 수 있으 리라. ㄱ) Late Western Aramaic은 쉬나고게(유 회당)와 장례 비문들과 마 찬가지로 팔레스타인 탈무 드와 미드라쉬와 타르굼 들의 언어인 Galilean(또는 Jewish) Aramaic, 그리고 Judean 또는 Christian Palestinian Aramaic(소위 SyroPalestinian or Palestinian Syriac), 그리고 Samaritan Aramaic을 포 함한다. ㄴ)Late Eatern Aramaic 은 바빌로니아 탈무드 언어인 Babylonian Aramaic과 그리고 남부 바빌로니아의 gnostic Mandaeans의 언어인 Mandaic 과 그리고 기원후 4~7세기로 부터 온 사발에 쓰여진 주술 적인 실제 주문 방언을 포함한다. ㄷ)고 시리아어(old syriac)에 근거를 둔 그리고 서부와 동부 아람 양자에 서 발견되는 특색들을 드러내주는 문어적인 시리아어(literary Syriac)는 기원후 4~13세기까지의 방한 기독교 문헌의 언어이다. 동부(Nestorian)와 서부(Jacobite) 방언이 인정된다. 기원후 7 세기 이슬람의 확장과 더불어 말해진(spoken, 일상) 언 어로서의 시리아는 쇠퇴하기 시작한다.
Modern Armaic Language는 근동의 다양한 부분들이 공동체 좁은 지역에서 그 리고 상적으로 최근인 이주의 결과로서 [구]소련과 스웨덴과 미국과 같은 나라 들에서도 계속 [일상언어로서] 말해지고 있다. 신-아람어 방언들의 주요 네 가지 방언들이 알려져있다: 단지 다마스커스(Damascus)의 북동 세 마을(기독교마을 Ma ` lu?la와 그리고 무슬림 마을 Jubb `da?n과 Bah? `a)들에서만 말해지는 Western; 남동 터 이키의 마을들에서 말해지는 Turoyo(여러 방언들)dhk Mla≥hso?로 이루어진 Central; 본디 Kurdistan과 그 근방이었지만 지금은 넓게 흩어진 수십만의 사람들에 의해 말해지고 있는 자주 의의있게 나뉘어진 방언들의 큰 그룹인 Eastern(마찬가지로
비록 고전 시리아어와 직접 관련되지는 않았지만 NeoSyraic이라고도 불리운다); 그리고 서부 이란의 Ahwa?z에 사는 소수 Mandaeans에 의해 말해지는 Neo-Mandaic.
1-2-4)남부 아랍어(South Arabic)
Epigraphic South Arabic(남부 비석 아랍어). 이 언어는 현 예멘과 Hadhrmaut와 Aden Protectorate 지역에서 발견되는 약 5000 여개의 돌 비석에 의해 표현된다. 남 부 아라비아의 Himyar 부족은 이슬람 시 전에 중요 했으므로 ‘Himyarite’ 라는 이름이 마찬가지로 남부 비석 아랍어 신에 사용된다. 남부 아랍에는 Sabaean과 Minaean 이라는 주요 두 방언들이 있다. Qatabanita-Awsanite 방언과 Hadhramaut 방 언은 Minaean과 관련된다. Minaean과 Sabaean 사이의 주요한 차이는 사역형 그리 고 3인칭 독립 인칭명사와 접미 인칭명사의 형태소의 용법에 있다. 이런 요 소들은 Sabaean 그룹의 경우 h인 반면 Minaean 그룹의 경우 s이다. Minaean 비문 들은 마찬가지로 El `Ola와 Tebuk 이웃에 있는 북 Hegaz에서 발견됐다. 마찬가지로 에디오피아의 Aksum과 Yeha 지역에서도 발견된 Sabaean 비문들은 Ma `in과 Saba 와 Qataban과 Hadhrmaut이 가장 중요한 ‘Arabia Felix’의 고 왕국들의 정치 문화 종교적 역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부분의 고 Minaean 비문들은 아마 후기 Sabaean 기원전 8세기부터 있을 것이다. Morden South Arabic. Hadhramaut와 Oman 사이의 남부 아라비아의 어떤 지역들 에서 말해지는 비-아랍 방언들이 있다. 편리하게 ‘현 남부 아라비아어’ 라고 불 리우는 이들 방언들은 (Mahra에서 말해지는)Mahri, (Mahri와 가까운)Botahari와 Harsusi, (마찬가지로 Qarawi, Ehkili라고도 불리우는) Mahri의 동쪽 Shahari, (Shahari 와 가까운)아라비아 해안의 다섯 섬들의 그룹인 Kuria Muria, 그리고 (Aden 만의 Socotra의 섬에서 말해지는) Sokotri이다. 이것들이 남부 비석 아랍어에 해 맺는 관계는 확정되야 할 것으로 남아있다. 현 남부 아라비아(arabic) 방언은 아랍 (arabic) 방언들에 의해 둘러쌓여 있으므로, 그것들은 어휘에 있어 쉽게 그것들에 의해 두드러지게 영향을 받는다.
///중앙 셈어의 아랍어(Arabian) 가지는 그것의 선조 비문 방언들과 그것의 말해 진 일상 후손들과 나란히 고전 아랍어(arabic)를 포함한다. 이슬람 이전의 고 남부 아라비아어로부터 파생됐던 알파벳 스크립트로 쓰여 진 그리고 후의 고전 아랍어와 언어학적으로 흡사함을 드러내는 비문들은 Old( 또 는 Early) North Arabic이라고 용어화된다. 여러 방언들이 구분된다: 서 아라비아 중앙 북쪽 아라비아(특히 Midian)에서 발견되는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후 4세기에 걸치는 1.000 graffiti를 포함하는 Thamu?dic, 그리고 Tayma의 오아시스 주위에서 발 견되는 특수한 스크립트로 쓰여진, 초기 하위-가지(Taymanite를 포함); (북서 아라 비아) 고 Deda ? n, al- `Ula ?의 오아시스로부터 기원전 5 또는 6 세기의 후기 Ki ≥ hya?nite와 Deda?nite 스크립트들; Dura Europos 만큼이나 떨어져 있는 Damascus의 동쪽 지역에서 그리고 현의 Saudi Arabia의 남쪽에서 먼 북쪽에 이르는 지역에 서 발견되며 15,000 개 넘게 graffiti가 포착되는 그리고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까지 날짜가 메겨지는 Safa ?
` ` itic; 페르시아 만 근방의 북동 Saudi Arabia의 al≥Hasa?로부터의, 부분 장례 비문들인 약 30 개 텍스트가 넘는 ≥ Hasaean(또는 ≥ Hasa?
` itic). 이슬람의 문어 언어인 Classica Arabic은 무하메드에 의해 말해진 Mecca의 방언 특색들을 드러내는 꿔란(Qur ` a?n)의 영향하에 이슬람-이전의 그리고 초기 이슬람 아랍들의 시적인 koine ? 에서 기원한다. 이 언어의 고전기는 Cu f a와 Basra의 도시 들에서 문법가들에 의해 표준화되어지고 조직화되어졌을 때인 기원후 8세기와 9 세기 였다. 문어적인 아랍어의 역사 내내, 더 또는 덜 고착된 말해진 구어체 방언 들이 지니는 문법이 자연스레 존재했고 발전했다. 오늘날 말해지는(spoken, 구어 체) 형식의 많은 아랍어들은 자주 상호 비 지성적이다. 그러나 이런 방언들이 쓰 여진(written, 문어체)형식를 항상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다. 말해진 방언들의 영향 을 드러내는 문어적인 아랍어가 Middle Arabic 라고 용어화된다.
아랍어(Arabic)는 아람어로 글 살이(wrote)를 했던 아랍어 말하는 자들(speakers) 인 Nabateans에 의해 사 용된 아람어 스크립트로 부터 빌려와 부가적인 여섯 자음소(phonemes)를 포함시켜 변형시킨 알파 벳과 더불어 오른 쪽에 서 왼쪽으로 써진다 (written). 자음 스크립트 에서 ,와 w와 y는 보통 각기 a ? 와 u ?와 ?를 나타내 는 데 사용됐다. 기원 후 8 세기에 모음들을 나타내기 위한 구분 발음부호(diacritics)의 사용과 중복과 그리 고 다른 특색들은 시리아어로부터 차용된 것들이다.
1-2-5)셈어 쓰기법(Script) 쐐기문자 스크립트와 북 셈어 스크립트와 남 셈어 스크립트 등, 셈어에서 사용 되는 세 가지 스크립트(쓰기법)이 있다. 쐐기문자는 아카디아(Akkadian)에서 사용 됐다. 그 발명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들의 것이었으며, 바로 이 수메르인들로 부터 앗시라인들과 바빌로니아인들이 문제의 그 스크립트를 취했던 것처럼 보인 다. 시작할 때의 기호들(symbols)은 회화(pictorial, 繪畵)적이다. 보다 후에 그 기호 들은 낱말-부호들(word-signs) 또는 표의문자들(ideograms)로서 마찬가지로 추상적 인 관념(ideas)들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됐다. 예를들어 해 그림(solar disc)은 ‘날’(day)과 ‘시간’(time)의 관념을 가리키게 됐다. 더 나아간 발전이 이루어지자 그 낱말-부호들은 그림들로서의 자신들의 어떤 의미와도 관련이 없이 낱말들의 음 (성학적인 값, phonetic value)가(音價)를 나타내게 됐다. 그래서 음절이 그러나 알파벳 체계에 다다름이 없이 생산됐다. 쐐기문자 부호들은 마찬가지로 Ugaritic에서도 사용됐따. 우가리트어의 경우에는 특별한 쐐기문자 알파벳이 Sumerian-Assyrian-Babylonian에 의존함이 없이 발전됐 다. 그러한 기호들은 모음들(e , a, e , i-, e ,e, e , u-, e , o)을 지니는(with) 세 가지 alephs을 예외 로 한 단지 자음들만을 나타냈다.
북 셈어 스크립트는 Canaanite와 Aramaic 이라는 두 가지 주요 가지들을 지닌다. 가나아니트 가지의 후손들이 ‘Early Heberw’와 ‘Phoenician’이다. Moabite 비석 스크 립트는 밀접하게 초기 히브리어 쓰기에 관련된다. 초기 히브리어 쓰기법의 한 후 손이 Samaritan 알파벳이다. 아람어 로 쓰여진 가장 이른 문서는 기원전 9세기부터이다. 기원전 첫 번째 밀 레니엄 후반부에 아람어는 근동전체의 가장 널리퍼진 쓰기법이 됐다. 아람어 알 파벳의 셈어 후손들은 현 히브리어 쓰기법으로 발전된 네모 꼴
히브리어 (Square Hebrew)와 (Naskhi와 Kufic 이라는 두 주요 가지들을 지니는) Nabaraean-SinaiticArabic과 Palmyrene와 Syriac-Nestorian과 Mandaean이다. 이러한 모든 알파벳들은 단지 자음들만을 표현한다. 시리아어와 아랍어와 히브 리어의 모음 기호들은 아마 기원후 8 세기에 도입됐을 것이다.
남 셈어 스크립트. 남 셈어 알파벳은 남부 비석 아랍어와 Thamudenic과 Lihyanite와 Safaitic의 북 아랍 비문들에서 사용됐다. 남부 아랍 알파벳은 기원전 첫 번째 밀레니엄에 Ethiopia로 변했다(passed inte, 4쪽 지도 참조). 그러나 남부 알파벳은 자음적인 반면에 에디오피아 알파벳은 음절적이다. 즉 에디오피아 알파벳에는 모음과 함께하는(with) 자음을 위한 단일한 기호가 있다. 남부 셈어 알파벳의 기원의 문제와 에디오피아적 모음들의 발명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 고 있다.
/ 어떤 쓰기법의 체계도 한 언어의 소리들의 미묘한 다양한 차이(shade)를 완벽 하게 재 생산할 수 있었던 적은 한번도 없었다. 더구나 셈족들(Semites)의 글쓰기 (Writing)는 놀라운 근본적인 하나의 결함, 즉 실로 그 언어의 실체를 실로 형성하 는 자음들만이 실제적인 글자들(letters)로 쓰여진 반면 모음들의 경우에는 더 길게 소리나는 것만이 어떤 표적인 자음 들에 의해서 가리켜진다는 결함을 지닌다. 에디오피아 인의(Ethiopic) 본디 글쓰기는 후에 자음들에 작게 첨가함에 의해 또는 자음들의 모양을 다르게 변화시킴에 의해 모음들을 표현했으며, Assyrio-Babylonian 쐐기문자 쓰기법은 끝까지 비슷한 방식으로 모음들을 가리킨다. 후에야 비로서 작은 특별한 부호들(marks)(점들 또는 자음들 위 또는 아래의 점들 또는 스트로크 (strokes))이 모든 모음 소리 들을 눈에 나타내도록 하기위해 발명됐다. 그러나 이 것들은 능숙하게 읽는 자에게는 불필요(superfluous)한 것이며 그래서 자주 셈어 수고(manuscripts, 手稿)들과 인쇄된 텍스트들에는 그 전체 모음부호가 생략된다.
나아가서 셈어 글쓰기는 거의 변화없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한다. Sabaean(Himyaritic)글쓰기는 종종 왼쪽에서 오른 쪾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심지어 선택적으로 양 방향(boustrophedon)에서 진행되기도 하나, 체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나아간다. 에티오피아어의 글쓰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방향이 하 나의 규칙으로 된다. 그러나 아주 적은 몇 몇 오래된 비문들은 그 반 방향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쐐기문자의 글쓰기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아간다. 그러 나 이것은 의심할 것도 없이 비-셈어 사람들로부터 빌려온 것이다. 약 기원전 400 년 경 배타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방향 만을 채용한 그리이스어도 본디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 내려갔다. 선택적으로 양 방향 각 각에서 시작하는 boustrophe ? don 글쓰기는 초기 그리이스어와 초기 Sabaean와 기원후 첫 3 세기의 Safa-비문들에서 이루어졌다(Lidzbaski, Ephemeris, i. 116f를 참조하자).
앗시리오-바빌로니안 쐐기문자를 예외로하면, 다양한 모든 셈어 글쓰기는 비록 어떤 측면에서는 폭넓게 다르더라도, 동일한 근원적인 알파벳으로부터 파생됐다. 근원적인 이 알파벳은 약 기원전 850 년 경의 Moab 왕 Mes ? a `의(열왕기하 3장 4절 이하 참조) 비석(stele)에서 사용된 철자들(characters)에 의해서 아주 충실하게 현존 기념물에 그리고 고 페니키아어의 비문들(inscriptions)이 Mes ? a ` 보다 더 이 르게 거기에 기록된 Baal 사원으로 온 청동 사발들에 주어져 있다. 그 종류에 있 어 유일무이한 모압왕 메사의 비석 기념물은 독일인 선교사 F.A.Klein에 의해 그 지점에서 1868년 8월에 처음 보여졌다. 그러나 후에 그것은 아랍인들에 의해 조 각들로 쪼개졌기 때문에 단지 그 비문(inscription)의 미완성 복사본 만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조각들 부분은 지금 프랑스 루브르(Louvre) 박물관에 있다. 그 발견 의 역사와 그 돌에 관련된 초기 문헌을 위해서는 Lidzbarski의 Nordsemitische Epigraphik[ i. ppl 103f., 415f., 그리고 (Me 아래의) p. 39 ff. 참고문헌]을 보라. Smend 와 Socin(Freiburg in Baden, 1886)에 의한 그 비문의 유용한 재 생산과 번역은 후에 Nordlander(Die Inschrift des Konig Mesa von Moab, Lpz. 1896)등의 다음 사람들에 의해 개정되고 보완됐다: Socin and HOlziger, ‘Zur Mesainschrift’(Berichte der K. Sachsischen Gesell. d. Wiss., DEc. 1897); Lidzbarski, ‘Eine Nachprufung der Mesainschrift’(Ephemeris, i. I, p. 1 ff..; Alisemitische Texte, pt. I, Giessen, 1907 안의 텍스트); J. Halevy, Revue Semitique, 1900, pp. 236 ff., 289 ff., 1901. p. 297 ff.; M.J.Lagrange, Revue biblique internationale, 1901, p. 522 ff.; F. Pratorius in ZDMG. 1905, p. 33 ff., 1906, p.402. 그러나 그것의 진본임은 A.Lowy(Die Echtheit der Moabit. Inschr. im Louvre, Wien, 1903)과 G.Jahn(Das Buch DAniel, Lpz. 1904, p. 122 ff. 마찬가지로 ZDMG. 1905, p. 723ff와 743ff)에 의해서 공격받았다. 그러나 E.Konig(ZDMG. 1905, pp. 233ff. 그리고 743 ff.) 에 의해서 보여진 것처럼 그 공격은 정당화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Driver(Notes on the Hebrew Text of the Books of Samuel, Oxford, 1890, p. lxxxv ff.)와 Cooke(op. cit., p. 1 ff.)을 참조하자. 가장 오래된 기념물인 Siloam 비문(inscription)에 나타난 것과 같은 고 히브리 어 글쓰기도 본질적으로 동일한 철자(character)를 보여준다. 고 그리이스어 그리 고 간접적으로는 모든 유럽 알파벳들이 고 페니키아인들의 글쓰기의 후손들이 다. 히브리어 글자들이(letters)지니는 숫자 값와 이름들과 순서는 페니키아 인들을 통해 그리이스인들에게로 건네졌다. 그리이스 인들의 알파벳들 중 A에서 U까지는 고 셈어에서 차용된 것들이다.
?
그래서 마찬가지로 로마의 그것들과 마찬가지로 Old Italic alphabets 결국 이것으로부터 또는 그리이스어로부터 파생된 모든 알파벳 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페 니키아인들 이 가져온 그것 들 ? 페니키가 인 들 이 사 용하던 알파 벳들 또는 페니키아 인 들 의 알파벳 또는 페니 키아 인들에 의해 만들 어진 소리글자 알파벳들 ?에 의존한다.
고(older)의 다양한 셈어 글쓰기들이 서로에 해 맺고 있는 관계를 그리고 특히 이런 다양한 고 셈어의 원시적인 모양들로부터 온 현재의 히브리어 철자 들의 기원을 보여 주고 있는 위 알파벳 표를 보자. 보다 더 완성된 것을 보기 위 해서는 Gesenius의 Scripturae linguaeque Phoeniciae monumenta, Lips. 1837, 4to, pt. i. p.
15 ff를 보라. 발견된 이후 수많은 기념물들로부터 셈어 철자(charaters)들, 특히 페 니키아어의 철자들에 관한 우리의 앎은 두드러지게 확장됐으며 보다 더 정확해졌 다. Lidzbarski의 ‘ Handbuch der Nordsemitischen Epiraphik, i. p. 4 ff.’ 안에 있는 모든 그러나 1616년부터 1896년까지의 철저한 참고문헌을 참조하자. 그리고 셈어 알파 벳의 기원에 관해서는 위의 책 p. 173 ff., 그리고 Ephemeris, i, pp. 109 ff., 그리고 그 의 ‘Altsemitische Texte’, Kanaanaische Inschriften(Moabite, Old-Hebrew, Phoenician, Punic), Giesses, 1907을 보라. 좌측은 히브리어 알파벳에 관한 최선의 도표이다.
페니키아 비문들은 별도로 하고 그리고 구약성서를 예외로 하면, 고 히브리 어 유물 또는 고 가나안 사람들의 문헌은 단지 아주 적은 수만이 보존되어 오 고 있다. 이런 후자(가나안사람들의 유물) 중에 ㄱ)사해 동쪽에서 약 12 마일 떨 어진 Reuben 지파의 고 영토, 더 이른 때에는 Gadites이 그 후에는 Moabites가 거주했던 Dibon(지금의 Dibon)의 도시 폐허들 속에서 발견된, 서른 네 줄로 된 그 러나 불행히도 많이 손상된 비문 안의 Moabite 왕 Mes ? a ` (약 850 년 경)는 이스라 엘(열왕기하 3장 4절 이하)과의 전쟁과 자신의 건물들과 다른 문제들을 기록한다. 고 히브리어 유물들 중의 하나인 ㄴ)아마 기원 전 8 세기 여섯 줄로 된 비문은1880 년 6월에 Virgin’s Spring과 예루살렘 Pool of Siloam 사이의 tunnel에서 발견됐다.
(윗 사진: 실로암 비문). 불행히도 날자가 기록되지 않았지만(not dated)언어학적 으로 그리고 고서체학적으로 아주 중요한, 그 터널 뚫기에 관련되는 비문의 복사 본(facsimile)이 이 문법의 시작에 주어진다. 마찬가지로 Lidzbarski, Nordsemitische Epigraphik, i. 105, 163, 439(참고문헌, p. 56 ff.; fascimile, vol. ii, plate xxi, i)을 보라. Socin(ZDPV. xxii. p.61 ff. 그리고 Freibrug에서 따로 출간된 것 i. B. 1899)에 의한 그 것의 새로운 묘사에 관해서는 Liszbarski, Ephemeris, i. 53 ff. 그리고 310 f. (text in Altsemit. Texte, p. 9f.). 그 여섯 줄들은 결코 달성되지 않았던 어떤 비문의 연속이라는 A.Fischer(ZDMG. 1902, p. 800 f.)의 견해에 한 반에 해서는 Lidzbarski, Ephemcris, ii, 71을 보라. 그 비문은 1890 년 이동 도중에 깨져 6 또는 7 조각 나버 렸으나 후에 잘 복구되어 지금은 콘스탄티노플의 Imperial Museum에 있다. 만약 결코 의심될 수 없을 것처럼 ahoLi$ 라는 이름(이사야 8장6절)이 그 Vrigin’s Spring으 로부터 그 터널을 통해(그래서 Stade, GEsch. Isr. i. 594) 물의 퍼냄을 지시한다면, 후 자(터널) 그래서 그 비문은 이미 약 기원전 736 년 경에 존재했을 것이다[ Cooke, op. cit., p. 15 ff 참조할 것]. ㄷ)약 40 여 개의 매장된 돌 인장 (seal, 印章) 중 어떤 것들은 바빌론의 유수 이전의 것이지만 고유명사들을 제외하면 거의 지니고 있는 것이 없다[M.A. Levy, Siegel u. Gemmen, &c., Bresl. 1869, p. 33 ff.; Stade, ZAW. 1897, p. 501 ff.(1896 년에 출간된 네 개의 고-셈어 인장들); Ephemeris, i. 10 ff.; W.Nowack, Lehrb. d. hebr. ARchaol.(Freib. 1894), i. 262 f.; I.Benzinger, hebr. Archaol.2 (Tubingen, 1907), pp. 80, 225 ff., 벤징어의 이 기고문은 m(bry db( (m#l 라고 새겨진, Megiddo의 언 덕 성체로부터 1904 년에 발굴된 아름다운 인장을 포함하고 있다(Cooke, p. 362 참조). ㄹ)Maccabaean 군주 Simon 과 그후계 자들의 화폐 (석방 2년 째부터, 기원전 140-139년) 그리고 Vespasian 과 Hadrian 시 때의 주조된 화폐. 구약에서 그리고 마찬가지로 바로 윗 단락에서 설명된 비(non, 非)-성서적 유물 들에서 발견되는 것으로서의, 고 히브리어의 일련의 전체 글(Writings)들에 있어 서의 그 언어는 자음의 형성으로부터 판단컨데 그것의 일반적인 철자(character, 특성)에 관련되는 한 그리고 발전의 동일한 과정에서의 모양에 있어서의 다소간 의 변화와 그리고 스타일의 차이를 별도로 하면 그로 유지된다. 이런 형태로 초기 시에 그 언어는 문어언어로서 고정됐을 것이다. 그리고 구약에 포함된 책 들은 신성한 글들로서 전달됐다는 사실이 그 모양의 꾸준한 이런 일정(uniformity, 一定)함에 반드시 기여했음에 틀림없다.
이런 고 히브리어에 가나안 사람들 또는 페니키아 사람들의 어계(stock, 語系) 가 다른 모든 셈어들보다 가장 근접해 있다. }a(an:K yin:(an:K는 팔레스타인의 가나안 부 족들과 그리고 우리가 페니키아인들이라고 부르는 시리아 해변에 그리고 레바논 가까이에 거주하는 자들 이 양자(兩者)에 공통인 토착민의 이름이다. 반면에 그들 은 스스로를 자신들의 화폐에서 }(nk 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카르타고 사람들 도 스스로를 그렇게 부른다. 페니키아인들과 가나안사람들의 어계가 고 히브리 어와 가장 가깝다는 것은 구약에 나타나는 모양(형식)과 의미를 지닌 사람들과 지역들에 관한 많은 가나안 이름들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명해진다?예를들어 qerecyiK:lam deK:m tay:riq 등 등. 기원전 약 1400 년 경 Tell-el-Amarna의 쐐기문자 표들의 앗 시리아 낱말로 나타나는 ‘Canaanite glosses’(가나안 사람들의 광택)에 해서는 H.Winekler의 ‘Die Thontafeln con Tell-el-Amarna,’ in Keilinschr. Bibliothek, vol. v, Berlin, 1896 f.와 비교하라[Transcription과 Translation]. 그리고 J.A.Kudtzon(Die El-AmarnaTafeln, Lpz. 1907 f.)와 H.Zimmern,(ZA. 1891, p. 154ff.와 KAT.3, p. 651 ff.)와도 비교할 것. 나아가서 페니키아인들과 가나안사람들의 어계가 고 히브리어와 가장 가깝 다는 것은 페니키아 사람들과 포에니 사람들의 언어들의 많은 유물들로부터 부분 적으로 분명해진다. 포에니어와 페니키아어을 우리는 Gesenius, Judas, Bourgade, Davis, de Vogue, Levy, P.Schrode, v. Maltzan, Euting에 의해서 모아졌던 많은 비문들과 화폐들에서 그러나 특히 the Corpus Inscriptionum Semiticarum(Paris, 1881 ff.)의 제 1 부에서 그들의 독특 한 글쓰기와 더불어 발견한다. 비문들 중에서는 예를들어 희생제물의 두 가지 목 록과 같은 단지 몇 몇의 공문서(public documents, 公文書)들이 발견됐다. 여태까지 의 부분의 것은 묘비명(epitaphs, 墓碑銘)들과 봉헌표들이었다. 이것들 중 특별히 중요한 것은 1885 년에 발견되어 지금은 프랑스 Louvre 박물관에 소장돼있는 시 돈(sidon)의 왕 Es ?munazar의 석관(sarcophagus, 石棺)에 새겨진 비문이다. Lidzbarski(Nordsem. Epigr., i. 23 ff.)문헌목록을 보고, 이 비문에 해서는 i. 97 ff., 141 f. 417, ii. plate iv, 2 그리고 Cooke, p. 30 ff.를 보라.
이것들에 그리이스와 라틴 저술 가에서 그리고 Plautus(Poenulus 5, 1-3)의 포에니어 텍스트들에서 분산되어 나타나 는 낱말들이 더해질 수 있으리라. 플라우트스의 포에니어 텍스트는 Gildemeister의 ‘Ritschl’s editon of Plautus, Lips. 1884, tom. ii, fasc. 5’에서 가장 잘 다루어진다. 이러한 기념물들로부터 우리는 토속적인 정서법(orthography, 正書法)을 배우며, 그리이스 어와 라틴어 필사본들에서는 발음과 모음찍기를 배운다. 이 두 가지 것은 함께 우리에게 그 언어에 관한 어느 정도의 선명한 관념과 그 언어가 히브리어에 해 맺고 있는 관계를 제공한다. 페니키아어(포에니어)의 다음과 같은 낱말들이 비문들에 나타난다: 예를들어 r((Tyre, 뛰레) zdc(sidon, 시돈) t((time, 시간) }lm(king, 왕) tb(daughter, 딸) zb(son, 아들) md)(man, 남자) l)(God, 신) .... 페니키아어의 정서법과 변화에 있어 히브리어와 다른 점은 모음문자들의 거의 부분의 탈락[lOq 신에 lq(소리), tyb 신에 tb(집)]; 심지어 절형에 있어서 조차 어미 )(o)뿐만 아니라 t(ath)로 끝나는 여성명사[#)(페니키아어), r$ A )(히브리 어 관계명사)]. 무엇보다 두드러진 것은 O가 규칙적으로 u로 발음되는 특히 포
41
에니어와의 발음차이이다[예를들어 $lf$(sa?lus, three)]. 그리고 i와 o는 자주 y의 애 매하게 무뎌진 소리로 나타난다[예를들어 UNeNih(ynnynnu, ecce eum)]. 문법에 있어서 의 독특한 것들을 취합해 놓은 Gesenius의 ‘Monumenta Phoenicia’(p. 430 ff.)와 B.Stade의 ‘Erneute Prung des zwischen dem Phonie. und Hebr. bestehenden Verwandschaftsgrades, in the Morgenland. Forschungen, Lpz. 1875, p. 169 ff.’와 Paul Schroder의 ‘Die phoniz. Sprache, Halle, 1869’를 참조하라
1-2-6) 셈어의 일반적인 특징들 1-2-6-1)문법적인 구조 / 다른 언어 군 특히 인도-게르만어와 비교되는 것으로서의 셈어 군의 문법적인 구조는 집단적으로 셈어들이 지니는 많은 특성들 중 여럿을 단일한 다른 언어가 지니고 있기는 해도 그러한 특성들을 드러낸다. 그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ㄱ)이 런 언어들의 실체를 사실 형성하는 자음들 중에서 독특한 후음(gutturals)들이 다 른 정도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동일한 어근-의미의 다양한 전이(modification, 轉移) 를 표현하기 위해 모음들은 동일한 자음 틀 이내에서 커다란 변화를 일으킨다.
ㄴ)단어-어근들(word-stem)은 거의 변동없이 세 개의 글자(triliteral) 즉 세 개의 자 음들로 이루어져있다.
ㄷ)동사는 독특하게 규제되는 쓰임새를 지니면서 두 개의 시제-형식(tense-forms)곧 완료와 미완료를 지닌다.
ㄹ)명사는 단지 두 개의 성 (gender), 곧 남성과 여성만을 지닌다. 그리고 격-관계들을(case-relation)가리키기 위 해 독특한 방편들이 채용된다.
ㅁ)모든 다른 소유 명사들과 동사의 명사 목적 어와 마찬가지로 인칭 명사의 주격과 호격 이외의 격들 곧 사격(oblique, 斜格) 이 격 지배 단어(접미어들)에 직접 들러붙음에 의해서 가리켜진다.
ㅂ)많은 고유 명사들은 예외지만 명사와 동사이 양자 로 이 루어진 복 합어들 이 거의
없다 . ㅅ) 구문론적 관계들의 표현에 있어 아주 단순하다. 예를들어 작은 수의 불변화사 (particles)와 미문(periodic, 美文)적인 구조없이 구들의 단순한 동 격 (co-ordination) 이 많이 나타난다 . 그러나 고전 아랍어와 시리아어는 마지막 언급한 점에 관련해 서는 중요한 예외를 형성한다. /
1-2-6-1) 음성학(Phonology) 원시-셈어의 자음소(consonant phonemes, 子音素)들은 순음(labial, 脣音) b, p, m ; 치음(dentals, 齒音) d, t, ≥t , 측음(lateral, 側音) (?) ≥d ; 혀끝을 위 아래 앞니 사이에 고 발음하는 마찰음(interdentals) d?, t?, √t ; 치찰음(sibilants) z, s, s ? , ≥s , 측음(lateral)(?) s ? ; 연구개음들(velars) g, k, q, 마찰음(spirants, [fricative]) ≤g, h? ; 유음(liquids, 流音) l, m, r ; 후두음(laryngeals, 喉頭音)과 인두음(pharyngeals, 咽頭音) e, i, h, ≥h ; 반모음 w, y . 보여질 수 있는 것처럼, 입술음(순음)들은 풍부하지 않다. 그것들은 b, m, p이다. 히브리어-아람어에서의 ? 는 p의 변이된(variant) 음가이다.
모음 뒤의 p는 실로 마 찰음(spirant) ? 이다. 남부 셈어에서는 본디 p는 모든 위치에서 ? 로 된다. 에디오 피아 인은 두번째로 ( ? 이외의) p와 성문화된(glottalized) p를 발전시켰다. 원시-셈 어에는 v가 없다. 혀끝을 위 아래 앞니 사이에 고 발음하는 마찰음(interdentals) d?, t?, √t 는 단지 아랍어와 남부 아랍어에만 있다. 다른 언어에서는 그러한 마찰음이 치음들(dentals) d, t, ≥t 로되거나 또는 치찰음(sibilants) z, s, s ? , ≥s으로 된다. 그런데 이것은 어떤 아랍 어 방언에는 나타난다. 고 interdentals(혀끝 앞니 마찰음)의 상호응은 아래 표 와 같다.
proto-semitic Akkadian Hebrew Aramaic Ethiopic d? z z d z t? s ? s ? t s √t ≥s ≥s ≥t ≥s
본디 일련의 후두음 i, e, h, ≥h은 단지 몇 몇 아람어 방언들과 고 히브리어 와 아랍어와 납부아랍어와 북 에디오피아어에서만 단지 보존된다. 북확실하게 발음되는 음소들은 ≥d와 ≥t이다. 아마 측음들일 이것들은 히브리어(s ? ) 와 Geez(≥d)와 남부 아랍어(≥d, s2) 그리고 아랍어(≥d)이다. 이런 상호응들은 아래 도표와 같다.
원시-셈어 Akkadian Hebrew Aramaic Ethiopic South Arabic Arabic ≥d ≥s ≥s i(q) ≥d ≥d ≥d s ? s ? s ? s s? s 2 s ? 셈어의 특징은 유성음과 무성음과 2차적 연구개조음(emphatic, 軟口蓋調音)?연 구개조음 부분은 무성음이다)의 삼중적 체계이다. 그래서 d-t-≥t ; g-k-q ; z-s-≥s. 에디오피아어 b-p-p는 2차적인 발전이다. 2차적 연구개조음의 발음과 관련하여 두 개의 류형이 있다: 아랍어의 2차적연 구개조음-연구개음화(velaized)(≥t, q, ≥s)와 그리고 에디오피아어의 후음화된 2차적연 구개조음(te, ke, se). 어느 것이 원시-셈어의 본디 발음이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어 렵다.
// 자음체계는 풍부하며 그리고 똑똑하게 들리는(plain) 무성음과 유성음과 ‘이차 적 연구개조음’(emphatic, 軟口蓋調音) 등의 삼중으로 보통 구성된다. 음역 (transcription)될 때 연구개조음은 글자 아래 점(underdot, ‘ ≥ ’)또는 연구개음(velar) 일 경우에는 ‘q’로 표시된다. 연구개조음적 자음들은 측음(lateral)이 부재할 때 아 랍어에서는 인두음(pharyngeals, 咽頭音, e, i, h, ≥h)화 되나 현 남부 아라비아어와 에디오피아어에서는 다른 길들로 후음화(glottalized, 喉音化)된다. 히브리어의 ≥s는 ‘tz’로 나타내진다. 그러나 그렇지 않을 경우 히브리어 이차적연구개조음은 무성자 음으로 동화된다. 죽은 언어의 경우에는 단지 추측할 수 있을 뿐이지만 후음화된 조음(articulation, 調音)은 일반적으로 Proto-Semitic을 위해 재구성된다. 인두음화(pharyngelized realization, 咽頭音化)는 자주 주위 모음들 심지어는 자 음들의 조음(調音)을 변화시킨다. 이것은 전체 단어를 덮는 그리고 현 동부 아 람어와 아랍 방언들에서 발견되는 ‘동조화’(synharmonism, 同調化)를 일으킨다. ‘후’ 조음(back articulation, 後調音)은 아래 예들에서처럼 둥근 윗 첨자(superscript)로 표 시한다. 아 카디아어 는 보통 어근 하나 당 하나의 연구개조음적 자음 만을 참아내 며, 히브리 어 는 하나의 연구개조음이 주어질 때 분명한(plain) 무성 자음을 허락하 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하나의 연구개조음 현상을 허용한다. 전형적인 셈어 소 리들은 마찬가지로 소위 인두음들 ? ? ≥h x을 포함한다. 전통적인 성서 히브리어와 Outer South Ethiopic 언어에서는 마찰음화 (Spirantization)가 일어난다. 모음뒤의 겹치지않는 파열음(postvocalic nongeminate stops, 破裂音)들은 마찰음으로 바뀐다. //
/// 아래는 원시-셈어의 자음들을 고유 가능한 음성학적 특징들에 따라 배열한 것이다. 전통적인 기호들은 괄호 안에 나타난다. Faber(1985년, 1989년)를 참조할 것.
위 표에서의 ‘방식’(manner)은 혀의 특정 부위가 입 안의 어느 부분들에 접근하 거나 닿으면서 조절되는 날 숨의 량이 자신의 경로를 통해 퍼져나가는 방식을 나 타내며, ‘위치’(place)는 혀의 특정 부위가 입 안의 어느 부분에 접근하거나 닿는 조음점(調音點)의 위치를 말한다.
원시(proto)셈어의 모음체계는 a, i, u와 a ? , ?, u? 라는 패턴의 음성패턴을 지닌다. 다 양한 언어들이 다양한 모음들을 발전시킨다.
//셈어의 모음체계는 류형적으로 한정돼있다. 고전 셈어(Classic Semitic)는 모두 길거나(본디 단지 열린 음절에서만 질다) 짧은 *a *i *u를 지녔다. 후에 그것의 이중모음(dipthongs)은 *aw>o와 *ay>e 등, 단일 모음들로 발전됐다.
아랍어에서의 억양(stress)는 마지막 음절을 포함하여 해당 단어의 상적으로 긴 음절에 보통 놓인다. 마지막 음절이 길 때는(in the absence of non-final long syllabe) 억양이 첫 음절에 놓인다. 성서 히브리어에서는 마지막 두 음절 중의 하나가 억양을 받아들인다. 후기 발전에 의해 수정된, 본디 페널트적인[penultimate, 끝 음절인 울티마(ultima)의 바로 앞 음절] 억양이 재 구성된다. 그러나 이것이 모 든 사실들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확인된(attested) 셈어 억양-체계들의 불일치 때문에 원시(proto)-셈어 억양은 ‘자유롭다’, 즉 음절적으로 규제되지 않는다 (unregulated) 라고 가정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
1-2-6-2)형태론과 구문론(Morphology and Syntax). 어근(Root): 어근의 의미는 자음 들에 놓여 있는 반면, 모음 들은 근본 의미의 뉘 앙스(shades)들을 표현하는 데에 봉사한다. 이것은 예를들어 love와 live와 leave가 다른 의미들을 지니는 영어와는 같지 않다. 셈어 ktb(write) 이라는 어근으로부터 kabata(he wrote), ka ? tib(the writing one), kutiba(it was witten), kita ? b(book) 등이 획득되는 과정에서 모음들은 그 어근의 근본 의미를 변화시킴이 없이 의미의 단지 뉘앙스 (shade)들만을 표현한다. 셈어 어근은 주로 세 개의 근본 철자들(radicals)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현재 셈어 보다는 고 셈어에 두 개의 근본철자들(biradicals)이 더 많이 있었을 거라는 표식(marks)들이 있다. 언어학적인 발전의 과정에서 많은 두 개의 근본철자들이 이차적인 세개의 근본철자들로 됐다. 그 언어 속에 여전히 보 전되고 있는 고의 두개로된 근본철자들은 eab(father), dam(blood), yad(hand)등과 같은 많은 그러한 어휘들의 본질적인 요소들이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qa ?m(stand) 와 mad(d)(stretch) 류형의 두개의 근본철자로 된 많은 동사들은 아마 반모음 w, 또 는y(qawama)의 덧붙힘이나 또는 마지막 근본철자의 반복을 통해서 단지 이차적인 세개로된 근본철자들로 됐을 것이다. 세개로된 근본철자들에로 ‘밀려들어 간’(squeesed)두개로된 근본철자의 전형적인 예는 두개로된 근본철자 yad(hand)로 부터 온 아랍방언의 아랍축소명사 yudayy(small had) 또는 에디오피아어 l ?bb(heart) 의 명사유래동사(denominative) lab(b)(understand)이다. 덧붙혀서 자신의 근본 의미 가 두개로된 근본철자 들 에 놓여있 는 많은 어근 들이 있다. qrq(break)와 pr≥s(break), prs(separate), ps ? r(dissolve).
/// 자음 어근(roots)들이 부분적으로 자음과, 부분적으로 모음 접미사와 삽입사 와 접미사 패턴들과 묶어지는, 전반적으로 그렇게 ‘맞물려 돌아가는’(interlocking) 체계가 여전히 셈어군의 각기 구성원에 작동하고 있다. 그래서 모음 하나 또는 자음 하나를 임의적으로 나타내는 문자 C를 사용하여, 고전 아랍어는 어근들을 s ? CrCb(drink)와 fCfCm(understand)처럼 연결한다. 아래 도표를 보라.
고전 아랍어 변화(classical Arabic Inflection) 패턴 (마시다, drink) (이해하다, understand) 과거남성3인창단수 CaCiCa s ? ariba(he drank) fahima(he understood) 非과거남성3인칭단수 yaCCaCu yas ? rabu(he drinks) yafhamu(he understands) 능동분사 Ca?CiC- s ? a?rib-(drinker) fa?him-(an understanding one) 수동분사 maCCu?C- mas?ru?b-(a drink) mafhu?m-(unerstood) 동사적명사(동명사) Cu/aCC- s ? urb-(drinking) fahm-(understanding)
명사들(Nouns)에는 남성과 여성이 있다. 후자 부류는 보통 *-(a)t 라는 전형적인 어미를 지니며 그리고 여성들은 남성들로부터 파생됐을 것이다. 몸에 속하는 짝 을 이루는 부분들과 그리고 몇 몇 안되는 다른 단어들은 어떤 외부적 표식도 없 는 여성들이다. 명사들은 단수와 복수를 지닌다. 쌍수는 단지 몇 몇 언어들에서만 발생하며 그리고 쌍수 어미는 마찬가지로 짝을 이루는 것들의 복수를 위해 사용 될 것이다. 쌍수와 복수는 어미들에 의해서 표시된다. 그러나 그 이외의 곳에서 흔적을 지니는 아랍어와 북 에디오피아어는 부분의 경우에 예측될 수 없는, 패 턴의 변화에 의해서 표시되는 ‘불규칙적인’(broken) 복수들이다. 아래의 아랍어를 보라:
ㄱ) fahm ‘understanding’, pl. afha?m- ㄴ) mas ? rabat ‘drinking place’, pl. mas ?a?rib-
단수명사는 어떤 때는 다른 의미들을 지니는 여러 ‘불규칙적인’ 복수들을 지닌 다. 자주 명사의 복수는, 사전에 규정된 것처럼, 반 성의 외부적 표시를 수반한 다(‘drinking place’에서처럼). 이것이 양극성(polarity)이라고 불리운다. 그러나 이것 은 단지 아랍어에서만 일치규칙을 따르는 구문론적 귀결을 지닌다(아래 파생규칙 의 ‘5)’를 보라). 히브리어 na ? s ? -iym ≥tow-o(w)t (women-MASC.PL. good-FEM.PL)은 그 명 사의 어울리지않는 남성복수어미에도 불구하고 여성복수 형용사를 지닌다. 즉 일 치는 단수 i ys ? -a ? h(woman)의 성(gender)을 따른다. 명사들은 숫자 19(19쪽 참조) 이후 에 복수로 나타나며 그 이후에는 단수로 나타난다. 남부 에디오피 아 어 는 단지 자 연성(natural gender, 自然性)만을, 덧붙혀 축소형을 위한 여성형을 지닌다.
Amharicdms은 본디 각기 명사를 위해 여성 복수형을 만드는 -oc ? c ?를 일반화한다. Western Gurage의 tt-그룹에서의 부분의 명사들은 성과 수 만드는 것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일치요소들(예를들어 직시적(deictics, 直示的)인 것들, 명사들 그리고 동사적 접사들)은 그 명사를 따른다. 한정어(definiteness, 限定語)은 부분 중앙 셈어에서 발전된다. 그러나 심지어 거기에서조차 그것의 표현들은 다양하다: 아랍 어 al-, 히 브리어 ha-, 그리고 아람 어 -a ? . 에디오피아어는 ‘위에서 언급된 것’(the above-mentioned)을 가리키는, 화법지시적인(discourse-referential)관사를 보통 지닌다. 고전-셈어들 중의 하나(one)는 마 찬가지로 명사의 ‘상태’(states)에 관해 말하는데, 가장 중요하는 것은 ‘상태 구 문’(the construct state), 즉 소유격을 한정하는 것에 선행하는 형식이다. 바로 이것 이 함축적인 정관사(implicitly definite)이다. 그것은 외부적으로 표시되는 한정어를 취하지 않지만 그것에 일치하는 형용사는 외부적인 표시를 지닌다. 선택적이고 (Alternative) 전치사적인 소유 구문 역시 존재한다.
/// 형용사들(adjectives)은 형태론(어형론, morphologically)적으로 명사와 같다.
그리고 (경) 구개음(platal, 口蓋音) 접미어의 덧붙힘에 의해 명사들로부터 아주
자유롭게 형성된다.
세 가지 세트의 명사(pronominal) 형식들이 존재한다. 독립 명사들은 주어
와 술어로서 사용된다. 현 히브리어를 제외하면 비록 동사들이 주어를 충분하
게 표시하기는 해도 말이다. 소유 형식들은 명사 또는 전치사들에 덧붙혀진다 그 리고 동사들의 목적어를 형성한다(and object forms to verbs.). ///
명사들과 관사들: 원시-셈어는 정관사를 갖지 않았던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이 차적으로 다양한 언어들에서 형성됐다. 그 관사는 아랍어 에서의 al-, 히 브리어 에서 의 ha-(아마 *hal-), 아람 어 에서의 접미된 -a?, 등 등이다. 아카디아 어 는 어떤 정관사 도 지니지 않는다. Geez 어 는 어떤 정관사도 지니지 않는 반면 다양한 현 에디 오 피아어 는 그 관사의 표현을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사용한다. 격들?원시-셈어는 주격 (nominative)어미 ?u, 명사적용법의형용사 또는 소유격 (possessive)어미 ?i, 그리고 부분 직접보어를 표현하기 위한 관계격 (relational case)어미 ?a. 이런 격 어미들은 마찬가지로 복수에서도 그 흔적을 더듬어질 수 있다. 격 어미들은 아카디아어의 어느 시기와 고전 아랍어에서만 단지 완전하게 보존된다.
/// 고전 셈어는 ?a 목적격, -u 주격, -i 소유격(마찬가지로 전치사와 더불어 사 용된다) 등 세 가지 격-표지(markers)를 지닌다. 복수는 ?u: 주격과 ?i: 사격 (oblique, 斜格, 주격과 호격 이외의 다른 격)을 지닌다. 다른 격의 표시는 접두어 와 전치사들에 의해 행해진다?예를들어 *la-(to), 또는 *bi-(in, with(insr.)). 히브리 어 전치사 ?et, 아람어 와 Geiez어의 la-, Amharic ?n은 정관사 4격을 위해 사용된다. ///
성(gender, 性)?셈어는 남성과 여성을 지닌다. 여성명사는 히브리어 명사의 독립형(absolute state)에서는 -a?로 되며 구어체의(spoken) 아랍어 에서는 ?a로 되는 접미 형태소 ?(a)t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여성 형태소는 부분 일관되게 형용 사와 더불어 사용된다. 몸의 부분들과 지리학적인 용어들과 그리고 이외 다른 것 들과 같은 부류의 특별한 명사들은 여성 어미 ?t 없이도 여성으로 다루어진다. 마 찬가지로 여성을 가리키는 단어들은 아주 자주 여성 어미를 갖지 않는다(*eumm, ㅡmather) 수(Number, 數)?원시-셈어는 단수와 복수와 쌍수(dual, 雙數)라는 세 가지의 수들을 지닌다. 짝(쌍, in pairs)을 이루는 몸의 부분들을 위해 본디 사용됐던 쌍수 는 아카디아어와 히브리어와 남부 아랍어에서 그리고 쌍수가 모든 명사들에게로 확장됐던 아랍어에서 보존되고 있다. 다른 언어들에서도 쌍수의 흔적은 발견된다.
복수(plurals, 複數)에는 외부적인(external) 것과 내부적인(internal) 것 등 두 종류 가 있다. 외부적인 복수는 접미사가 붙은 형태소(suffixed morpheme, 接尾素)를 단수의 어간(base)에 덧붙힘으로서 성립한다. 남성명사의 근본(basic)형은 덧붙혀 지는 자음 ?n 또는 ?m을 지니는 아마 -u ? (또는 ? ?, -a?)였을 것이고, 여성명사의 복 수 형태소는 -a?t이다: 아랍어 malik(왕, king)의 복수는 malik-u?na; 히브리어 m^el^ek(왕, king)의 복수는 m ?la?k?i ? m; 아랍어 여성 malik-a?t, 히브리어 mela?k-o?t. 내 부적인 복수는 단수명사 어간(base)의 모음 변화로 성립한다. 그래서 예를들어 kita?b(책, book)의 복수는 단지 kutub(책들, books). 내부적인 복수는 단지 아랍어 와 남부 하랍어 북 에디어피아에서만 보존된다. 다른 언어들에서는 그것의 흔적 (traces)들이 보존된다.
수사(Numerals, 數詞) ? 수사들의 용법에 있어 수수께끼같은 특색은 그 수의 여 성형은 남성명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반면 그 수의 남성 형은 여성 명사들과 함께 사용된다는 사실에 있다. 그래서 earba?ia? ea≥h-?m(four brothers)에서의 arba?ia? ea은 그 여성형이며, earbai ea?≥ha?yo ? t?(four sisters).
동사들 ? 비록 몇 몇 두개로된 근본철자들(qa?m)과 네개로된 근본철자들 (quadriradicals)(omani h?arwa≥s(stamp))이 있긴해도, 부분의 동사들은 세개로된 근본철자들(ktb)이다. 현언어들은 전체 또는 부분적인 반복에 의해(1.2.1.2: 히브 리어 gilgel(roll); 또는 1.2.3.3: Tigre어 ≥tbll(envelop))또는 유음 n 또는 l 또는 r를 세개로된 근본철자에 끼워넣음( 아랍어 zaniaq(shout), root zip; 이집트어 taiarqal(be bent), root iql; h?alba≥t(hit) root h?b≥t)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네개로된 근본철 자들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완료에서의 세개의 근본철자로 된 동사의 기본 어간(basic stem)은 CaCaC-(C=자 음)( 아랍어 qatala(he killed)) 그리고 마찬가지로 CaCiC- 그리고 CaCuC-( 아랍 어 fari≥ha(he was joyful), ≥hasuna(he was(is) beautiful)) 라는 구조를 지닌다. 히브리어 에서 는 본디 ?i가 ?e-로 되며 ?u-는 ?o-로 된다(그래서 ka ? b?ed?(he was heavy), qa ?≥ ton(he was small). CaCaC- 류형은 그것이 타동사이든 타동사가 아니든 기본적으로 행위 (action)를 표현하는 것처럼 보이는 반면( 히브 리어 ka ? t?ab?(he wrote), 아랍어 kad?aba(he lied)), CaCiC-와 CaCuC- 류형들은 완성된( 히브리 어 ka ? b?ed?(he was heavy), qa ?≥ ton(he was small) 또는 미완성된(≥ha ?pe≥s(he found delightful, he was delighted with a thing, he wished) 상태나 조건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런 원리에는 많은 예외가 있다. 상(aspects, 相) 또는 시제(tenses)?원시-셈어는 시제들이 아니라 상들은 지닌 다. 상들에는 완성(완료, completed(perfect))된 행위와 미완성(미완료,)uncompleted(imperfect))된 행위 상들이 있다. 단지 후에 이르러서야 완료(the perfect)는 과거(the past)를 표현하게 된 반면, 미완료(the imperfect)는 현재 또는 미래를 표현하게 됐다. 인칭들과 수들과 성들은 접미어들에 의해 완료 안에서 표현되며, 미완료의 경우에는 접두어와 접미어들에 의해 표현된다.
아카디아 어 에서만 완성된 그리고 미완성된 행위들 모두가 접두어들을 지닌 형들에 의해 표현 되는(iks?ud(he has conquered), ikas?(s?)ad(the conquer, he will conquer) 반면 지 속(duration, the permansive)은 접미어붙은 형에 의해(kas?d-u ? (they are, were, will be conquering)) 표현된다. 에디오피 아 어 는 접미어가 붙은 형식의 동일한 음
절 구조를 지니지만 다른 기능을 지닌다는 것에 유념하라: ye ? nag(g)e?r(he speak, he will speak), ye?nge?r(may he speak).
전형적인 시제 체계는 비-과거(non-past)와 과거를 포함한다. 아카디아어를 제
외하면, 과거는 접미어들을 활용하여 변한다. 그러나 접미어 k는 중앙 셈어의 경
우 접미어 i로 바뀌며 그리고 접미어 t는 남부 셈어의 경우 k로 바뀐다. 미래시제는 복합어에 의해 만들어진다. 과거는 아카디아어의 경우 접두사들을 활용하여
변하나 히브리어와 그리고 다른 언어에서는 접두사를 활용한 흔적만이 남아있다.
히브리어는 능동분사형을 활용하여 현재시제를 발전시켰다. 현 아람어는 완전
히 고 셈어 시제 체계를 잃어버렸던 것 신에 역사적으로 분사형과 명사형
(nominal)에 근거한 복합한 동사 어형론을 지닌다. 예를들면:
ㄷ) ob - s ?adr -?ytuni -laj FUT-sending-you(PL)i-to + herj ‘you(pl)i will send herj.’ (능동분사로부터 파생됨)
ㄹ) osudr-etunj -lunj sent-you(PL) i-to = by + themj ‘ Theyj sent you(pl)i.’ (수동분사로부터 파생됨)
동일한 접미사들이 본질적으로 위 두 구문들에서 반로 기능한다는 것에 유념
하라.
셈어는 ‘가지다’(have) 라는 동사가 없는 것 신에 ‘나에게 있다’(there is to me)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에디오피어어를 제외하면 현재 시제는 제로 계사
(zero copula)에 의해 표현된다. 제로계사와 그리고 분절적으로(segmentally) 표
현된 에디오피아어의 계사는, 다른 동사들의 현재-미래 시제와는 조적으로, 배
타적으로 현재시제만을 지니는 유일한 형식들이다. ///
어간들(stems)?셈어 동사의 중요한 특색은 기본 의미의 다양한 변화 (modification)을 표현하기 위한 파생된 어간들의 형성이다. 이런 어간들은 모음 변화(qa?tala against qatala)에 의해서, 두개로된 근본철자들의 자음중복 (gemination, qattala)에 의해서, 또는 접미 형태소에 의해서 형성된다. 다양한 언어들에서의 파생 어간들 형성에 있어서의 다양함들이 숙고될 수 있다. 그러나 원
시-셈어를 위해 주어지는 기본패턴들은 주어질 수 없다. 아랍어의 예들이 주어질 수 있겠지만 그것이 셈어의 일반적인 패턴을 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기본 어간: qa≥taea(cut). 강조(intensive)는 두개로된 근본철자들의 중복에 의해서 형성된다: qa≥t≥taea(cut to pieces); 그러나 이 형식은 마찬가지로 종종 사역 (causative, 使役)을 표현한다: ≥hasuna(be pretty)로부터 온 ≥hassana(embellish). 능동(conative, 能動)의 의미는 첫 근본철자의 모음 a를 a?로 변하게 하므로서 형 성된다: kataba(write)에 한 ka?taba(correspond). 사역형은 접미어 ea-가 붙으므로서 형성된다: g?alasa(sit down)으로부터 온 ea-g?lasa(cause to sit down, seat). 다른 언어들은 e, h 또는 s, s?에 의해 사역을 표현한다. 기본어간의 재귀-수동은 접미어 t-가 붙어 형성된 강조나 능동으로부터, 접미어 st-가 붙어 형성된 사영 형으로부터, 접미어 n 또는 삽입어(infix) t가 붙어 형성된다: qa≥taea로부터 온 inqa≥taea(be cut), g?amaea로부터 온 ig?-ta-maea(come together, be united), qa≥t≥taea(cut to pieces)로부터 온 ta-qa≥t≥taea(be cut to pieces), eah?bara(inform)으 로부터 온 ista-h?bara(inquire, take information). 수동의 의미의 경우 히브리어 와 아랍어는 내부 모음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지만 다른 언어들에서는 그렇지 않다: kataba(he write)에 한 kubita(it was written). 상호(reciprocal, 相互)의 의
미는 기본 능동형에 ta-가 더해져 형성된다: ta-qa ? tala(fight with one another).
/// 동사들은 현 동부 아람어에서는 손실된, 주어를 위한 두 개의 변화 (conjugation)를 지닌다?하나는 접두어와 접미어에 근거하며 다른 하나는 단지 접미어에만 근거한다(아카디아어에서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상태를 나타내지 않
는 경우에는 과거.) 1인칭을 위한 성의 구분은 없다. 아래 표에서는 그러한 삽입
어(affixes)들이 보여진다.
셈어의 주어 표지들
접두어/접미어 접미어 표지들
인칭 성 단수 복수 단수 복수 1 ?a- ni- -ku -na 남성 ta ta-....-u? -ta -tumu? 2 여성 ta-....-i? ta-....a?/na -ti -tin(n)a 남성 ya- ya-....-u? a u ? 3 여성 ta- ta-....-u?/na -at -a?
실로 부사(adverb)들은 거의 없다. 전치사구와 그리고 동사들이 부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고전 셈어의 경우 명사를 수식하는(qualifying)형용사는 그 명사 바로 뒤에 와서, 그 명사의 성과 수와 격과 definiteness(한정사)에 있어 일치한다. 그래서 아랍어에서는,
ㅁ) as ?san -at-u -l -masi ?≥hi?yy ?at -u the-year-FEM-NOM the-Messianic-FEM-NOM ‘the Christian year’
술어적인 형용사들은 성과 수 에 있어서만 그 명사와 일치한다.
아랍어 에서는 인간이 아닌 것의 복수들은 일치규칙에 있어 여성명사로서 간주된다. 형용사들은 ?iy-가 덧붙혀진 명사들로부터 쉽게 형성되지만, 자주 2격 구문(genitival constuctions)에 의해서 그 형용사의 한정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ㅂ) san -at -u -s -sala ?m-i -l -qa ?dim ?at -u year-FEM-NOM the-peace-GEN the-coming-FEM-NOM ‘the forthcoming year of peace’
에디오피아어에서의 모든 한정어(qualifiers)들은 명사에 선행한다. 그리고 남부
에디오피아어들에는 일치들이 없다. 수사들은 보통 한정되는 명사 앞에 오나, 고
전 셈어와 현 히브리어에서의 수사들은 이상한 양극화(polarity) 패턴을 보여준 다?즉 어형론적으로는 남성으로 나타나는 수사들이 여성 명사들과 함께-나타나 거나(co-occur)또는 그 거꾸로가 된다. 고 셈어와 현 히브리어 이외의 다른
언어들의 경우에는 일련의 수사들의 세트가 보통 일반화된다.
고전 셈어에서의 어순은 V[e≥rb] S[ubject’] O[bject](동사+주어+목적어)이다. 그러나 아카 디아어 는 수메르 인의 영향 하에서의 주어+목적어+동사였다. 마찬가지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은 Cushitic어의 영향을 받은 현 에디오피 아 어 에서 우세하다. 현 에디오피아 셈어가 겪는 유형론(topological)적인 변화는 철저했다: 즉 종속절이 주절 앞에 오며 그리고 종속관계의 유형이 주절의 첫 낱말(즉 동사)에 의해 표시된다. 동격 문장은 시제는 없지만 보통 연이어지는 지배 동사의 시제와 법(mood)을 함축하는 변화형인 ‘converbs’(합동사, 合動詞)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어떤 간접화법(indirect speech)도 없다. 격을 표시하는 접두사는 전치사 뒷 요소가 보다 더 중한(heavier)역할을 수행하는 순환사(cricumfixes, 循還詞)을 생산한다. ///
1-2-6-3)파생어와 어휘(Derivation and Vocabulary). ‘불규칙적인’(broken) 복수들은 자유롭게(freely)형성된 것들보다 더 많이 ‘파 생’된다. 더구나 파생은 동사체계의 기본 특색이다. 많은 명사들이 동사 어근들로 부터 파생된다. 그래서 아랍어에서는: ㅅ) s?CrCb ‘drink’ s ? urb ‘drinking’ s ? arbat, s?urbat ‘a drink’(cf. Eng. ‘sherber’) s ? ara?b, pl. as?ribat ‘beverge’ s ? arra?b ‘drunkard’ 나아가서, 많은 동사형들이 태와 사역과 다른 의미들을 표현하기 위해 동일한 어근 위에 지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파생되는 부류들이 극단적으로 중요하다.
각각은 모 든 시 제 에 서 나
타나며 분 사들과 파 생명사들 을 지니고 그 리고 확장 된 새로운 의미들을 갖어 올
수 있다 .
이러한 파생 부류 각각의 생산성은 동일하지 않다. (이상적으로 제시된) 일반적
인 패턴은 세 가지 근본 유형들을 포함한다. 첫째 유형은 기본이되는 것으로서 s?ariba, fahima, 등 등 세 가지 하위 부류들 지닌다. 둘째 유형은 중간 근본철자 들의 겹침이며(s?arraba, fahham), 그리고 비록 아랍어에서는 그것이 사역 기능을 취하는 경향이 있긴해도, 반복상(iterativeness, 反復相)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근원적으로 수행한다. 세째 유형은 첫 두 근본철자들 사이에 긴 모음을 지니며, 근본적으로 an applicative(실천적?)이다. 나아가서 접두사들은 많은 의미들을 제공한다: 첫째 유형에 덧붙혀진 n-은 재귀수동의 의미를 부여하며, 어떤 류 형이든 근본적인 것에 더해지는 *t-는 수동/재귀/상호의 의미를 부여하고, 첫째 유형에 덧붙혀진 *?a/ha/s?a는 일반적인 사역의 의미를 부여한다. 더 많은 연결들 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 응용과 의미는 반드시 사전에서 채크되야만 한다. 덧붙혀 서, 남-중앙 셈어는 ‘내적인 수동형’(internal passive)을 지닌다. 내적인 수동형 이란 본디 어느 형에서든 파생될 수 있으며 그리고 u가 삽입됨(infixation)에 의 해서 특징지워진다. ‘ㄱ)’ 등 등의 위 한글 자음 순서 매겨진 항목들의 ‘it was understood’와 ‘it was drunk ’ 등을 보고 나서 s?urriba(he was given to drink), ufhima(he was made to understand)와 비교하라. ///
공통 낱말들의 아래 짧은 목록은 관계의 밀접함을 예시 할 것이다.
Common Words
영어 Akkadian Hebrew Aramaic Arabic Ethiopic Ugaritic brother
1-2-7) 참고문헌. Brockelmann, C. Grundriss der vergleichenden Grammatik der semitischen Sprachen, 2 vol. (1908-1912).
Marcais, W. and Cohen, M. Precis de linguistique (1910), translation of Brockelmann, Semitische Sprachwissenschaft.
Noldeke, Th. Die semitischen Sprachen (1899).
Wright, W. Lecture on the Comparative Grammar of the Semitic Languages (1890).
/// Gray, Louis H. 1934. Introduction to Semitic comparative Linguistics. New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Moscati, Sabatino, et al. 1964.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grammar o f the Sem i t i c l a n gu a ge s : Phono l ogy and morphology. (Portalinguarum orientalium, n.s., 6.) Wiesbaden: Harrassowitz. ///
주술 사발(Magic Bowl)
높이 : 4.7 센티미터
직경 : 18.5 센티미터
서기 5-7세기
만테어(Mandaic)
사마리아어 반지(Samaritan Ring)
서기 5-8세기
타무드어 기록 제사상(Offering Table with Thammudic Inscription)
서기 5-7세기
출저:KCM/
'성서시대의 유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청동기 시대 (서기전 3300-2250)(The Early Bronze Age) (0) | 2020.03.21 |
---|---|
철기 시대 (서기전 1200-586)(The Iron Age) (0) | 2020.03.21 |
The Saints on Coins 성인동전 (0) | 2020.03.21 |
Angels on Coins 2 (0) | 2020.03.21 |
The Three Kings 동방박사 3왕들 (0) | 2020.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