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서시대의 유물

성서 시대의 향수 생산과 향수병(Perfume Industry and Bottles)

by 은총가득 2020. 3. 21.


성서 시대의 향수 생산과 향수병(Perfume Industry and Bottles)


성서 시대의 향수와 향유는 성전의 분향이나 헌주에 관계된 제의용, 시신 처리 및 제사를 위한 장례용, 약용, 그리고 화장품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의 성전의 제사나 특히 왕과 예언자들의 즉위식 때 자주 사용되었다. "사무엘이 기름 뿔을 취하여 그 형제중에서 그에게 부었더니 이날 이후로 다윗이 여호와의 신에게 크게 감동되니라" (사무엘상 16:13). 예루살렘 왕궁에서도 "향품과 보배로운 기름"은 금과은 못지 않은 중요한 보물창고의 저장품이었다. (열왕기하 20:13). 또한 레위 자손 중에서도 향품과 향기름을 제조하고 관리하는 계층이 별도로 임명될 정도로 성전의 중요한 물품 주의 하나였다. (역대기상 9:29,30). 구약시대 향유의 원산지는 아라비아나 길드아드 지방이었고, 신약 시대에는 여리고와 엔 게디에서 향유를 제조하였다. 성서시대의 화장품을 비롯한 향품들은 가루, 연고, 액체, 기름의 형태로 다양한 식물의 꽃과 수액, 송진, 식물기름, 그리고 짐승의 기름 등에서 추출한 것이었다. 초기의 향수는 향기를 지닌 식물의 꽃이나 줄기를 천에 담아짜서 사용하였으며 서기전 10세기 이후부터 올리브를 비롯한 식물성 기름의 추출 기술이 발달해져 요즈음의 알콜을 이용한 향수와는 달리 기름을 기본 용액으로 활용한 향유 제조법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즉 동물성 기름을 두른 두 개의 나무 판 사이에 쟈스민이나 장미 꽃잎들을 잔뜩 집어 넣고 하루 쯤 지난후 꽃잎들을 새로 갈아주는 식으로 일주일 이상 지속하면 기름에 짙은 꽃향기가 배어나와 일종의 포마드(pomade)가 만들어진다. 가장 많이 사용되던 향유 제조는 뜨거운 기름을 이용한 방법이었다. 포도주나 물을 섞은 올리브 기름에 방향 재료를 잘게 썰어 넣고 섭씨 65도 정도로 중탕을 한 뒤 몇칠이 지나서 고운 체로 쳐서 용기에 담으면 향기로운 향유가 된다. 이러한 향수나 향유나 워낙 비싼 것들이어서 소량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이들의 용기도 작으면서도 소비자들을 유혹한 만한 아름다운 토기들로 발전되었다. 향수나 특히 연고 등을 위한 병들은 차가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집트에서는 주로 단단한 돌이나 알라바스터(alabaster), 그리고 파이앙스(faience) 등으로 만든 병들이 대부분이었다. 가나안 지역에서는 서기전 1800년경 서양배 모양의 향수병(pirifom juglet)이 개발되었고, 키프로스에서는 양귀비 열매 모양의 고리 향수병(Base Ring Juglet)이 만들어졌다. 그리스에서는 잘 채색된 토기가 향수병의 역할을 하였고 서기전 5세기 이후부터는 유리병이 향수의 주된 용기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유리 향수병은 "핵-형성(core-fromed)"유리병이 주류를 이루었고, 서기전 1세기 이후부터는 대롱 막대를 이용한 "틀-불기( mold-bown)" 유리병들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서기전 5-4 세기 핵 형성 향수병

서기전 16세기 경 개발된 유리는 향수나 기름과 같은 값비싼 용액의 그릇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핵-형성"유리병은 막대기에 병내부의 모양으로 빚은 진흙 덩어리를 바른 다음 짙은색의 녹은 유리를 주위에 바른다. 독특하고도 아름다운 줄무늬를 만들기 우해 막대기를 돌리면서 몸통 주위로 여러 색깔의 유리 띠를 두른다. 유리띠가 식기전에 뾰족한 막대기로 중간 중간에 갈매기 무늬를 만들어서 미적 감각을 높였다. 병이 식은후 병 내부의 진흙을 조심 스럽게 긁어내면 아름다운 향수병이 만들어 진다.  


 

?


유리병류(Glass Bottles)서기 1-6세기  



서양배 향수병(piriform Juglet)

서기전 1800-1600  

 

실린더 향수병(cylindrical juglet)

서기전 1700-1550  



고대 이집트의 향수 제작

서기전 4세기에 조각된 이집트의 한 부조에는 백합 꽃을 따서 천에 담은 후 항아리에 짜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맨 왼쪽의 여인은 들에서 따온 백합이 든 광주리를 머리에 이고 있다. 향수의 재료는 꽃잎 뿐 아니라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도 짜서 그 수액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