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1]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1]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The Church and Postmodern Culture)
James K.A. Smith
2.
저자는 “텍스트 바깥에는 아무 것도 없다”는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의 유명한 구호는 우리가 겪는 모든 경험은 항상 해석이라는 과정을 거쳐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며, 언어라는 렌즈를 통과하지 않은 순수하고 투박한 사실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말한다. 그의 주장대로 만일 모든 경험은 항상 해석이며 이 세계 전체는 해석을 요구하는 텍스트라면 우리의 경험은 필연적으로 (사실에서 해석으로가 아닌) ‘해석에서 해석으로’ 움직이는 것이며, (해석을 요구하는 세계라는) 텍스트 바깥에는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리다의 주장은 진리란 객관적이어야 하며 만약 복음이 해석이라면 진리가 될 수 없다는 근대적 기독교의 진리관과 어긋난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적 지식개념은 중립적 이성이 진술하는 진리의 체계는 신앙이 아니며 신앙은 ‘들을 귀와 볼 눈’ 을 필요로 한다는 신약성서의 증언과 일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는 객관성이라는 근대성의 신화에 집착하는 대신 데리다를 따라 “성경 바깥에 아무 것도 없다” 고 말함으로서 우리가 성경이라는 특정한 해석틀로 세상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기꺼이 인정해야 하며, 이렇게 기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해석한 사실을 사상의 시장에서 검증받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러한 해체적 관점은 주변으로 밀려난 해석에 관심을 가지고 침묵을 강요당한 정의의 목소리를 소생시킴으로서 선지자들의 전통을 따르는 것이기도 하다.
By James K. A. Smith -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Church and Postmodern Culture)
By James K. A. Smith -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Church and Postmodern Culture)
www.amazon.com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 교보문고
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탈근디 새디에 맞는 교회론을 찾다! 철학적 신학과 현대 프랑스 철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독교 신학의 전통에 서서 문화 비평을 중점적으로 수행 중인 제임스 K. A. 스미스의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근대성을 비판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이 교...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 하는가?
1.
보통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말은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기독교 신앙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자, 세속적 인본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칼빈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저자는 우리 신앙의 근저에 깔려 있는 ‘근대성’의 전제인 자율성과 개인주의야말로 복음을 거스르는 것이며, 그리스도인들은 데리다나 리오타르, 푸코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의 가르침에서 이러한 근대성 비판을 위한 가장 강력한 무기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플라톤을,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이용하여 기독교의 지혜를 보여 주었다면 우리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에게서 ‘근대적’ 기독교의 문제들을 극복하고 교회를 갱신하기 위한 지혜를 얻지 못할 이유는 없다.
Jean Francois Lyotard
3.
저자에 의하면 리오타르(Jean Francois Lyotard, 1924-1998) 가 말하는 메타내러티브란 단순히 세상의 기원과 목적에 관한 ‘큰 이야기’ 가 아니라 보편적 이성으로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거나 정당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야기(과학적 지식)이며, 리오타르는 “메타내러티브에 대한 비판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라는 자신의 구호를 통해 서사지식을 극복했다고 믿는 과학지식을 포함한 모든 지식의 근거가 서사임을 폭로함으로서 과학적 지식의 ‘객관성’ 과 ‘입증가능성’이라는 근대적 가설에 대하여 탈근대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다.
기독교를 보편적 이성으로 입증 가능한 진리와 사상의 체계(메타내러티브)로 간주하는 근대적 기독교 이해에 반대하여, 저자는 리오타르를 따라 기독교의 계시는 그 본질상 이야기(서사)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계시가 이야기의 형태로 주어진 것은 우리 신앙의 핵심적 과제가 명제적 진리에 대한 입증이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 속에 참여하여 세상을 향해 복음의 이야기를 살아 내는 것이라는 사실을 말해 준다고 강조한다. 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탈근대적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만찬을 포함한 의식들을 기념하며 복음의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들어야 한다.
Michel Foucault
4.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모든 권력은 지식이다”라는 그의 도발적인 구호를 통해 근대 사회의 기반에는 그물망 같은 권력관계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권력은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지식체계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권력은 개인을 국가와 자본주의에 속한 유순하고 유용한 주체로 만들기 위해 ‘시선’ 과 ‘훈육’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요람에서 무덤까지’ 통제하고 있으며, 감옥이야말로 이러한 근대사회의 특징을 가장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장소라고 강조한다. 결국 푸코에 의하면 근대사회란 하나의 거대한 감옥이다.
이에 대해 저자는 그리스도인들이 훈육을 통한 통제와 형성이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지금 작동하고 있다는 푸코의 주장에 동의할 수 있지만, 모든 훈육과 형성을 부정적으로 여기는 생각에 대해서는 거부해야 한다고 말한다. 교회는 주류 권력의 억압적이고 자본주의적인 훈육에 반대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 성령의 열매를 맺고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며 고아와 이방인을 돌보는 사람을 만드는 대안적 방법, 대안적 훈육을 시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스트모던 교회는 근본적 변화를 일으키는 하나님의 은총을 구해야 하며, 전통적인 교회의 훈육방법인 영성훈련의 전통을 활용해야 한다.
제임스 스미스는 이머징 교회를 주장하는 개척자들이 교회의 영역에 이와 같은 탈근대성의 가치를 용감하게 도입하고 근대 교회의 종교성을 비판하며 ‘종교 없는 기독교’를 추구했지만, 그들의 주장 역시 여전히 ‘실용주의적 복음주의’ 라는 근대주의자의 전략에 갇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가장 포스트모던한 교회는 가장 고백적인 교회이고, 탈근대세계로 가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전통의 회복이며, 제자도를 기르는 가장 효과적 수단은 예전(ritual)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이러한 그의 결론을 급진정통(radical orthodoxy) 이라고 부른다.
Emerging church - Wikipedia
Emerging church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is lead may be confusing or unclear to readers . Please help us clarify the lead . There might be a discussion about this on the talk page . ( July 2018 ) (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 The emerging church is a Christian...
en.wikipedia.org
나는 종교인이 아니다. 하지만 나는 단연코 말하건대, 매우 영적인 사람이다.
내가 늘 하던 말이 있다.
종교는 지옥에 떨어질까봐 겁에 질린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영성은 이미 거기에 있어왔던 사람들 위한 것이다.
(1) 급진정통 교회는 입증될 수 있는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데카르트적 오류를 거부하지만, 계시라는 은총에서 나오는 지식에 따라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과 화해하신 하나님을 안다고 세상을 향해 고백할 수 있다. 또한 급진정통 교회는 모든 유한성이나 특수성을 폭력으로 규정하는 데리다의 주장과 달리 하나님의 역사적 계시와 교회의 역사를 통해 나타나는 유한성과 특수성이야말로 선하다는 성육신의 논리를 옹호해야 하며 이러한 특수성에 근거하여 우리의 고백과 실천을 비변증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복음을 이미 존재하는 문화의 어법으로 번역하거나 문화적 어법과 복음의 상관성을 찾으려 하는 ‘상관관계의 신학’에 반대하여 우선적으로 상황이 아닌 계시와 기독교 전통에서 교회의 본질과 실천을 찾아야 한다.
Radical orthodoxy - Wikipedia
Radical orthodox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is article needs additional citations for verification .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citations to reliable sources . Unsourced material may be challenged and removed. Find sources: "Radical orthodoxy" ? news · newspapers · bo...
en.wikipedia.org
(2) 자유주의 교회의 無역사주의와 복음주의 교회의 원시주의(초대교회로 돌아가자!) 는 풍요한 기독교 역사의 유산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급진정통 교회는 성육신을 긍정하며 그것은 교회 제도와 실천을 포함한 인간의 문화적 창조물도 성령의 활동과 계시의 결과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급진정통 교회는 시간의 열매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몇몇 고대교회의 의식들과 예전들을 회복하고, ‘관대한 정통’과 ‘건강한 가톨릭 정신’을 지닌 초국적이고 관용적인 공동체로 거듭나야 한다. 또한 성육신을 진지하게 긍정한다는 것은 전체 물질 영역이 계시를 반영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인정하게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기에 급진정통 교회는 (듣기, 보기, 만지기, 맛보기, 냄새 맡기와 같이) 그들의 모든 감각을 일깨우는 예전적 예배의 통전적이고 온전한 물질성을 회복해야 하며, 이야기뿐 아니라 포도주와 성상(icon), 이미지와 춤으로도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기꺼이 들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6.
과연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의 적이며 ‘파리에서 온 사탄’ 인가? 과연 이머징 교회는 불건전한 신비주의 운동이며 위험한 혼합주의적 신앙인가? 이 책은 우리가 이 질문에 대해 ‘그렇다’고 자신있게 대답하기 전에 바로 그 포스트모던 사상가들과 함께 우리의 신앙이 서 있는 ‘근대성’ 이라는 토대가 과연 기독교를 위한 적실한 기초인지 고민해 볼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기독교 역사의 풍요로운 유산이라는 빛으로 우리의 ‘근대적’이고 편협한 신앙을 조명해 보라고 권유한다. 우리가 그러한 과정을 통해 “타성 속에 굳어진 편견을 굽어볼 수 있는 메타적 시선을 획득하고....자기 생각의 순환 속에서 굳어지는 공부의 지옥을 벗어날 수 있다면...(김영민)” 그때도 우리가 이 질문에 대해 선뜻 '그렇다' 라고 말할 수 있을까?
출처: [書淫人의 집]
Retrospective Book Review-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aking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to Church’ by James K.A. Smith
“...No philosophy ? indeed, no knowledge-is untainted by prejudice or faith commitments. In this way the playing field is levelled and new opportunities to voice a Christian philosophy are created...” p. 73 of Who’s Afraid of Postmodernism...by James K.A. Smith (2006, Baker Academic: Michigan, US).
Canadian Professor of Philosophy and self-proclaimed ‘radical orthodox’ Christian, James K.A. Smith, is on a mission to reconcile the apparently disparate interests of postmodern theories and the church. In his 2006 treatise Who’s Afraid of Postmodernism?...he seeks to make the case for common ground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philosophies of three Francophone giants of postmodern thought. Smith believes Derrida, Lyotard and Foucault have been greatly misunderstood (and misquoted); not just by the church but wider society. Postmodernism can be a friend instead of a foe to the Faithful, he proposes. He side-steps the tricky business of precisely defining postmodernism, preferring to suggest what it is not.
Smith’s book is aimed at an audience who aren’t necessarily academics and/or familiar with his chosen domain. To make his propositions more accessible, he liberally uses pop culture references; most notably that of (largely American) cinema.
|
Jacques Derrida |
The first up for scrutiny is ‘father of deconstruction’ Jacques Derrida, or more specifically, one of his most (mis)quoted claims that “there is nothing outside the text”. Smith wishes to debunk what he describes as the bumper-sticker, over-simplified treatment of Derrida’s ideas. He is not suggesting that there is no reality or truth beyond the written word, Smith argues in Derrida’s defence. The statement is merely challenging the Rousseauan concept of a 'pure' state of mind in which a reader can bypass the need to interpret in order to understand. In other words, no matter how basic or instinctive the process, we are constantly interpreting the world. Smith seizes the opportunity to question the notion that since what is interpreted is subjective it therefore cannot be true. Furthermore, he posits that objectivity need not be an essential criterion for truth. Smith suggests this is to play by the rules set by modern/Enlightenment thinkers; rules which are not beyond critique themselves. If Christians choose to be circumscribed by these parametres, they risk losing a game that was never well designed for faith claims in the first instance. Smith instead avers that belief can be a type of knowledge, with such an assertion itself tempered by humility. This sort of knowledge does not assume omniscience (the Good Book itself states that we only known in part this side of eternity). It is instead a result of supernatural revelation courtesy of the Holy Spirit. It’s a question of faith.
This is an ideal segue to discuss Jean-Francois Lyotard’s critique of metanarratives. Smith stresses that Lyotard is not against the idea of Grand Recits or Big Stories per se. He does take issue with certain narratives being elevated above others -again in the name of objectivity-without somehow being subject to the same level of scrutiny. Scientific claims for example, hide behind a veneer of objective ‘rationality’ despite being as much based on belief in a Big Story or myth as any religion. Moreover, like any myth (a word, according to Smith, that need not carry derisory connotations of pure fable) a community of devotees is required to uphold and perpetuate it.
|
Jean-Francois Lyotard |
Smith acknowledges that the Bible could be perceived as emblematic of the Big Story. However, he reassures wary Christians that Lyotard is simply levelling the playing field. Each and every myth must be justified by the community that sustains it. It is not a given. Smith sees in this an opportunity for (American) Christianity to not only state their claim but live it out. Rugged individualism and one of its nefarious offspring, Free Market capitalism, have infiltrated the church, Smith rues. Congregants are more like consumers than participants who are fully engaged in their local as well as church community. Lyotard’s critique of metanarratives can thus also be a chance to become less atomised. In coming together to celebrate and retell our particular narrative, Christians should (re)capture more intimate, interconnected forms of worship and fellowship.
Lastly, Smith turns his attention to postmodern titan Michel Foucault, his analysis of power structures (“Power is Knowledge”) and how they permeate every aspect of society. As well as a concise yet thorough overview of his theories, the author spends much time contemplating whether Foucault observed, critiqued or condoned his findings. Smith believes that Foucault was ultimately not in favour of these power dynamics. He concedes that these ideas are possibly the most sympathetic of those explored in the book. Nobody wants to be subtly or overtly coerced by sinister overlords. Once again modern consumerism rightly comes under Smith’s critical gaze as a prime example of covertly enforced compliance for dubious ends. Nevertheless, he cautions against Christians being opposed to any form of discipline or ‘control’ if the motive is benign. Self-control, order and the observation of precepts are necessary for disciples to be transformed into the image of Christ.
|
Michel Foucault |
Although theologically sound, by this point Smith’s call to embrace some kind of external control is admittedly a hard sell.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author’s enthusiasm for institutions. Smith laments what he perceives to be the lone-ranger approach of many modern denominations and their suspicion of being connected to a larger body. It’s a fair point but, like much of Smith’s criticisms, it fails to adequately take into account the basis of such reluctance. It's not always simply a case of individualism in extremis. The tradition and institutionalism of which Smith seems fond can easily become legalistic and dogmatic. Rather than being an aid to deeper intimacy with God, they have been a straitjacket for many or even a rod with which to be beaten by modern-day Pharisees. On the other end of the extreme, they can become a dry substitute for real spiritual intimacy. Just another religious box to tick. Whilst the baby shouldn't be thrown out with the bathwater, Smith is remiss not to consider these factors in depth.
The author credibly makes a case for why a clearer understanding of postmodernist thought can be advantageous to a contemporary Christian. A number of Smith’s socio-economic and historical critiques are refreshing.
‘...To assert that our interpretation is not an interpretation but objectively true, often translates into the worst kinds of imperial and colonial agenda, even within a pluralist culture...’ (p.51).
He rightfully takes aim at the failings of American evangelicalism, its claims to be the sole arbiter of ‘tru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wilful ignorance of its own ahistorical worldview.
However, Smith’s proposals for adapting and incorporating aspects of postmodernism into church life are problematic. He constantly refers to a pre-modern condition -or radical orthodoxy-unburdened by the Enlightenment’s veneration of empiricism. He champions a return to liturgy-based worship and certain understandings of sacraments such as Holy Communion. He wants (ostensibly eurocentric) traditions without a ‘reified’ traditionalism; seemingly a nebulous have-your-cake-and-eat-it-argument. Christians should boldly embrace catholicism (small ‘c’), Smith opines. He readily disparages synonyms such as ‘the holy universal church’, yet doesn’t address why many would justifiably have reservations about identifying with catholicism of any kind.
|
Author, Prof. James K.A Smith |
This daresay lazy omission is indicative of a smugness that typifies the latter part of Who’s Afraid…?. Under the pretext of prima facie legitimate reasons for improving the Western (or American) Church, he privileges his own preferred orthodox (or maybe even big ‘C’ Catholic?) styles of worship. After spending chapters criticising philosophers who fail to acknowledge their subjectivity, he ignores his own bias. The result is unnecessarily divisive.
In criticising the excesses of what he describes as Protestant Fundamentalism for instance, Smith justly observes that ‘...its fruit has included harm, violence and suffering for [religious and ‘other’] communities...’. Yet fundamentalism is not unique to Protestants. Heck it’s not unique to Christianity or even religion.
Smith endorses infant baptism as if it’s not been a bone of contention for centuries. Not only is it without biblical precedent but many Christians believe it rides roughshod over an individual’s agency in making an informed decision about faith.
Smith also overreaches with his cinematic illustrations. The phrase ‘spoiler alert’ might not yet have been coined in 2006 but that does not excuse his giving away so much of the plot. His scene-by-scene commentary of Whale Rider is the worst example; not just for the extraneous detail but also for the very ropey analogy which he draws from the film.
Sadly, the dissatisfactory elements of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threaten to obscure some of the genuinely thought-provoking -even worldview shifting-ideas evident in earlier chapters.
There is Nothing Outside the Text: James K.A. Smith’s treatment of Derrida in “Who’s Afraid of Postmodernism?”
Pinning down the essence of postmodernism as a philosophical movement can be an intimidating task. Engaging with it fruitfully from the standpoint of Christian thought can be even harder to pull of…blog.naver.com/poongkyung1205/222066816409